View : 748 Download: 0

실직자의 음주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Title
실직자의 음주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rinking of the unemployed and self-esteem on the level of depression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uthors
설경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실직자의 우울감과 관련된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조건부과정분석으로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직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실직 경험은 단순히 경제적 수입이 중단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직업을 통해 얻는 잠재적인 이득을 상실하게 되어 심리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하여 상당수의 실직자가 실직 이후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악화를 경험하게 되고, 재취업을 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악순환이 반복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영향은 실직자 개인을 넘어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 대표적인 지표인 우울 수준에 음주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적 측면인 자아존중감과 관계적 측면인 가족관계만족도를 통하여 실직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에서 2016년 12차년도에 취업, 고용주라고 응답하였으나, 2017년 13차년도에 미취업이라고 답한 경우를 실직자로 파악하여 총 244명의 응답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3.0 과 PROCESS v3.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직자의 음주는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관계만족도는 실직자의 음주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부(-)적 결과를 조절하였다. 셋째, 실직자의 음주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우울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가족관계만족도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었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on the effect of drinking of the unemployed 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o observ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total of 244 participants whose working status was ‘employed’ or ‘an employer’ in 2016, but changed to ‘unemployed’ in 2017 was taken from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and used for analysis.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used with Hayes(2015)'s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is an analysis technique that combine mediation and moderation, testing the hypothesis the mediating proces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situations(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rinking of the unemployed had an effect on depression via self-esteem, and full mediation was observed in this process. Seco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of the unemployed and depression.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drinking of the unemployed on depression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the unemployed and on establishing policy and action plan to help the unemployed's adaptation to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