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4 Download: 0

독거가 중장년층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Title
독거가 중장년층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living alone on the loneliness of middle-aged adults :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Authors
김솔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외로움과 독거와의 관계에서 가족교류와 사회교류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장년층의 외로움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장년기는 다양한 상실을 경험하는 시기이며, 이로 인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그동안 중장년층은 우리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사회적 관심이 낮아 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 이러한 중장년층이 고독사의 주 대상으로 급격하게 떠오르면서 개인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외로움은 누구나 경험하는 보편적인 감정이지만, 적절하게 다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로움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 개입 하는 것은 건강한 노년기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2018년 조사된 서울시민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40세부터 64세까지 228명의 중장년층을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는‘외로움’,‘독거’,‘가족교류’,‘사회교류’이다. 연구의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분석, 부트스트랩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가구는 비독거가구보다 외로움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는 외로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장년층의 외로움에 대하여 가족교류와 사회교류의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독거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는 가족교류와 사회교류에 각각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독거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가족교류와 사회교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족교류와 사회교류의 개별 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독거가 중장년층의 외로움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가족교류와 사회교류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중장년층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검증하여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둘째, 사회적 교류의 대상을 가족교류와 사회교류로 구분하여 사회적 교류의 분리된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living alone on loneli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preventing and alleviating the loneliness of middle-aged adults. Participants aged between 40 and 64 years old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were classified into households that live alone or live with someone els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living alon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oneliness than those living with someone else. Second, living alo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neliness. Third, family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lone and loneliness. Fourth, living alone had a direct effect on loneliness when analyzed alone; however, the direct effect was not shown when family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were included for analysis, giving a fully mediated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ubject of social support was classified into family and society, and examined the loneliness of middle-aged adults, who are emerging as a risk group of solitary dea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