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Negative life event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in out-of home car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anxiety
Authors
배인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out-of home care adolescents to their school adjustment by analysing the mediating effects. Out-of-home care adolescents experienced negative life events such as separation experience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or parental divorce before entering the out-of-home care system, and such as experiences can cause problems in adapting to school life. However, in previous studies, the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in out-of-home care youth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psychosocial adapt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on the adaptation of out-of-home care teenagers to school adjustment, which can be seen as an indicator of social adaptation. Also this study tri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ariables for school adjustment by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based on the Regillians theory. For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irst year panel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PSKCOC)l⌟ surveyed by the SSK Research Group, that is conducting the research with support from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PSKCOC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tudy that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youth in out-of-home care(An et al., 201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lived in out-of-home care system, such as child care facilities, group homes, and foster care, and a total of 494 adolescents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the three-step model approach which 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and as follow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sobel test (1982)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more negative life events experienced in the past, the lowe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Second, the three-step model approach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1982) showed that self-esteem, a protective factor, is a full mediation of the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on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the analysis using the three-step model approach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1982) show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are risk factors, is a partial mediation on the impact of the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to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on the adaptation in out-of-home care adolescents to school adjustment, and provide basic data to discuss ways to enhance school adjustment by checking the impact of protection and risk factors.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an increase in self-esteem, the protection factor, and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the risk factors, can improve the adjustment of out-of-home care teens to school life. Out-of-home care adolescents require specific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ach individual because they experienced various negative life events before entering the out-of-home care system. In particular, adolescents living in child care facilities are found to have lower self-esteem and be less adaptable to school life than teenagers living in group homes or foster care, and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and counseling to enhance their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isseminate specific program manual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anxiety programs for the youth who lives in out-of-home care.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study of the program will require efforts such as securing 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and using experimental design methods to measure the net effect of intervention. To achieve this, it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irst so that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do not hav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programs on site through budget expansion.;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위험요인인 우울·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은 가정외보호 체계 내로 들어오기 전 원가족과의 분리경험, 부모의 이혼 등 부정적 사건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부정적 생애 사건의 경험은 학교생활 적응에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의 부정적 사건 경험은 주로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적응의 지표라 볼 수 있는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 사건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레질리언스 이론을 바탕으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변수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SSK연구단에서 조사한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의 1차년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정외보호 체계인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에서 생활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가정외보호 청소년이며 총 494명이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분석은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모형접근법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 후 sobel test(1982)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은 과거에 부정적 사건을 많이 경험할수록 학교생활 적응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모형접근법과 sobel test(1982)를 실시한 결과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의 부정적사건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모형접근법과 sobel test(1982)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의 부정적사건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위험요인인 우울·불안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과거 부정적사건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으며,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된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은 높이고 위험요인인 우울·불안은 낮춤으로써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개입의 시사점을 얻었다. 이외에도 본 연구를 통하여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은 가정외보호 체계로 들어오기 전 부모의 이혼, 부모와의 분리 등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것을 보았으며, 이에 각 개개인에게 맞는 구체적인 사정과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불안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매뉴얼의 확충 및 보급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에서는 개입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충분히 대상자의 수를 확보하고 실험설계 방법을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예산 확충을 통해 현장에서 사회복지 실천가가 프로그램을 진행할 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환경을 먼저 조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