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WU, MENGKE-
dc.creatorWU, MENGKE-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33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3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10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479-
dc.description.abstractCurrently, a social adaptation program is being developed in Henan Province in China to provide various support to improve th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However, since the community corre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China, rather than in Henan province, there are very few practical experiences as well as related theo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aptation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adaptive capacity of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who are subject to revision of the Z District of Zhengzhou City, Henan Province,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ur factors, whether participated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general self-efficacy, psychological safety and family intimacy on community correction units’ social adaptation abil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improvement of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rough the program SP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persons who were subject in Z distract of ZHENGZHOU, HENAN Province of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ther participated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general self-dfficacy, psychological safety, family intimacy on community correction units’ social adapt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self - efficacy is at the average level. And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family intimacy and psychological safety is at very low level. Secondly, the resul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and who have not.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showed higher-level social adaptation ability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adapt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Thirdly, i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ain variables, Family intimacy and psychological sec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daptive capacity. But general self-efficac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aptive capacity.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Gener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security showed positive effect on social adaptive capacity and family intimac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aptive capacity.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community correction uni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ocial adaptation program, all of the factors in this stud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aptive capacity.;현재 중국 하남성에서 지역사회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들에게 다양한 지지를 제공하는 사회적응프로그램이 발전되고 있다. 그런데 지역사회교정 제도가 하남성에서커녕 중국에서도 발전된 지 얼마 안 돼서 관련된 이론뿐 아니라 실천적 경험도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하남성 정저우시 Z구 교정대상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응능력에 영향을 제공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전감, 가정친밀도와 지역사회교정프로그램 참여여부 네 가지 요인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 향상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중국 하남성 정저우시 Z구 교정기에 처하는 교정대상자 20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저우시 교정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여부, 그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가정친밀도와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 사회적응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에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 모든 연구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각 집단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전감과 가정친밀도는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평균 수준이라고 알 수 있다. 가정친밀도의 결과 ‘소원한 관계’로 판단한 대상자는 79.20%, ‘자유로운 관계’로 판단한 대상자는 18.31%, ‘친밀한 관계’로 판단한 대상자는 5%, ‘엉킨 관계’로 판단한 대상자는 없다고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연구대상인 교정대상자의 가정친밀도가 대부분 낮은 수준이라고 알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안전감 점수의 평균도 2.31(SD=.71)점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표본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서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을 참여한 대상자가 사회적응능력 수준이 참여하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셋째,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안전감과 사회적응능력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전감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응능력 수준이 높아질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정친밀도가 사회적응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독립변수인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사회적응능력에 유의미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정하기 위해서 이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서 모든 연구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각 집단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전감과 가정친밀도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을 참여한 교정대상자 집단에서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 연령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응능력이 낮아질 것을 알 수 있다. 독립변수인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응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이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안전감이 높을수록 사회적응능력이 높아진다. 하지만,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교정대상자 집단에서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의 통제변수와 독립변수는 사회적응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전감과 가정친밀도는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 문제 5 II. 선행연구 7 1. 지역사회교정센터 현황 7 2.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소개 8 3. 주요변수에 관한 선행연구 16 A. 일반적 자기효능감 16 B. 심리적 안전감 17 C. 가정친밀도 17 D. 사회적응능력 18 III.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표본추출 20 3. 연구모형 20 4. 변수의 측정 22 가)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여부 22 나) 일반적 자기효능감 22 다) 심리적 안전감 22 라) 가정친밀도 22 마) 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 23 5. 자료분석방법 23 Ⅳ 연구결과 24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4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25 3. 사회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A. 지역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여부가 사회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26 B.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27 C. 사회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28 Ⅴ 결론 및 논의 31 가)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31 나) 연구의 한계점 34 Ⅵ. 참고문헌 38 [부록1] - 한국어설문지 41 설문지1. 일반적 자기효능감 41 설문지2. 가정친밀도 42 설문지3. 심리적 안전감 43 설문지4. 사회적응능력 44 [부록2] - 중국어설문지 44 1. 人基本信息 44 2. 家庭密度 45 3. 一般自我效能感 46 4.社适 47 5. 心理安全感 48 ABSTRACT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79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지역사회교정대상자의 사회적응능력 영향요인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community correction units-
dc.format.page[ix],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