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이연승-
dc.creator이연승-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33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3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9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95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4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노인 암환자와 가족 돌봄 제공자의 관계 유형에 따라 배우자와 자녀로 구분하여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 의학기술의 발전, 암의 만성 질환화 등으로 인한 사회변화에 따라 노인 암환자를 간병하는 가족의 돌봄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돌봄 스트레스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암환자, 가족, 의료진 간의 암 진단, 치료 등 암 관련 의사소통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올바른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돌봄제공자 중 배우자와 자녀를 대상으로 가족돌봄제공자 특성, 환자 질병 특성, 돌봄 관련 특성 특히 가족 내 돌봄 관련 의사소통을 고려하여 이 특성들이 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14년 국립암센터‘암 진료의 질 평가체계 개발’연구(IRB: NCCNCS13-787)를 기반으로 조사된‘암 진료 경험 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300명의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 2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Statisti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 T-Test, 카이제곱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 평균은 11.97점이며 배우자의 돌봄 스트레스 평균은 10.70점, 자녀의 평균은 13.53점으로 간병 시 자녀가 배우자보다 높은 돌봄 스트레스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유교적 가치관으로 인해 부모 돌봄에 의무성이 들어있는 자녀의 경우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 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둘째, 돌봄 스트레스를 낮추는 공통적인 요인으로써 배우자와 자녀 상관없이 가족 내 돌봄 관련 의사소통이 주요변수로 파악되었다. 가족 내 암 치료 및 돌봄 관련 의사소통은 암환자와 돌봄 제공자 간의 의사소통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암 경험으로 인하여 영향 받는 모든 가족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사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치료방법, 치료비 부담, 간병에 대한 역할확립, 환자 거주 장소 등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서 민감한 논의들을 가족과 개방된 의사소통을 통해 함께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통해 돌봄에 대한 결정을 간병인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돌봄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가족돌봄제공자가 자녀일 경우 직장을 다니는 자녀일수록 돌봄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 암환자인 부모를 돌봐야 하는 역할과 직장에서의 역할이 상충 되고 돌봄 시간이 부족, 충분한 돌봄을 하지 못했다는 죄책감 등을 느끼기 때문에 돌봄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배우자와 자녀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여성일수록, 직장이 있는 경우, 노인 암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나쁠수록, 가족 내 돌봄 관련 의사소통이 활발하지 않을수록 돌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본 연구의 결론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암의 특성, 심리적 정서 상태에 대한 감정표현뿐만 아니라 환자 치료방법 논의, 환자 간병 논의, 치료비 부담 등의 논의를 부담 없이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암 치료, 돌봄 관련 가족 의사소통 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개발 및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암 환우회 모임과 같이 가족돌봄제공자의 대처능력 향상을 위하여 가족돌봄제공자를 위한 자조모임을 결성하고 지원하여 질병에 대한 이해, 돌봄의 어려움과 관련 지식을 나눔으로써 상호교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 보다, 노인 암환자와 가족 구성원이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제도 등의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토대를 마련하고 이들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져 노인 암환자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를 낮추고 보다 편안하고 지속적인 돌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cancer patients, and to sugges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duce the stress of care of the family caregivers based on the results. In Korea, due to aging of population,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chronic nature of cancer, the role of caring for the elderly cancer patients becomes important, and th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is increasing accordingly. Recently, the importance of having appropriate communication among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and medical staffs is getting highlighted as the problems of cancer-related communication, such as cancer diagnosis and medical treatment, are reveale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se traits on care stres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s,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caring related characteristics, especially focused on observ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with regards to caring. The participants are limited to the spouses and children of the elderly cancer patients. For this study, we used the data from the 'Cancer Care Experience Surve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Evaluation System for Cancer Care' (IRB: NCCNCS13-787), run by National Cancer Center in 2014. A total of 260 family caregiv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care stress of all family caregivers was 11.97, the average of care stress of spouse was 10.70 and the average of children was 13.53.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stress on children who are obliged to take care of their parents because of their Confucian values. Second, as a common factor that lowers care stress, caring related communication within family is identified as a main variable regardless of being a spouse or a child. Family cancer care and caring communication are not limited to communication between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but it is important that all affected family members communicate freely of the cancer experienc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uss sensitive issues in caring for elderly cancer patients, such as treatment methods, burden of cost, establishing role for care, and place of patient residence through open communication. This communication can be interpreted to have an decreasing effect on care stress as the caregiver gains the chance to share the burden with other family members. Third, caregiving stress appears to be higher when the family caregiver is a child who has an occupation.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high care stress due to the conflicting role of care and the role in the workplace, as they will simultaneously feel experience lack of care time and guilty feeling of not caring enough.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pouses and children as a whole, no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puouses and children separately, they showed higher caring stress when the caregiver was female, when the elderly cancer patient had lowe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and when communication was not facilitated properly among family members.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grams that promote family communication on the issu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cancer, psychological emotional state, patient treatment method, patient care, burden of treatment cost need to be specifically developed and expanded in order to reduce the caring stress of family caregivers. Second, a self-help group for family cargivers should be formed and organized in order to improve the coping ability of family caregivers.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disease and share their knowledge with each other. Above all, support for social welfare system should be provided so that elderly cancer patients and family members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oper communication and that atmosphere to participate actively is cre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y provide foundational intervention measures on the caring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cancer patients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The will promote policy and practical level efforts, which will serve to lower caring stress of family caregivers and enable sustainable c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선행연구 고찰 6 A. 노인 암환자의 특성 6 B.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 7 C.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모형 22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3 C. 변수 및 측정도구 24 D. 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29 A. 돌봄 관련 특성 29 B. 가족돌봄제공자의 일반적인 특성 30 C. 노인 암환자의 질병 특성 33 D. 주요변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 34 E.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35 F. 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6 Ⅴ. 결론 및 제언 39 A. 요약 및 논의 39 B. 제언 42 C. 연구의 한계점 45 참고문헌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85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ctors Affecting Care Stress in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Cancer Patients-
dc.creator.othernameLee, Yeonseung-
dc.format.pagev,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