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9 Download: 0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母語)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母語)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Experiences based on Mother Tongue Education for Children
Authors
Trinh Thanh Huye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인희
Abstract
As the number of immigrants continues to increase, Korea is rapidly enter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social interes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has been expande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help language communic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 tongue education, in which migrant women teach to their children their own language is getting attention. Focusing o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mother tongue education for children.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how did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belief in mother tongue education for children form? Second, how ar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ware in the need of the mother tongue education for children? Third, what are the attitudes of the family and surrounding people, such as children, husband and parents respect to mother tongue education? Fourth, which method is applied by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o educate in their mother tongue? Fifth, which difficulties do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ace in the mother tongue education and what kind of support do they hope to overcome? This study conducted semi - structured interviews and in - depth interviews to 10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s. The main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contents such as ‘mother tongue education belief', ‘awareness of the need in the mother tongue education’, ‘attitudes of family and surrounding people respect to mother tongue education’, ‘mother tongue teaching method’ and ‘difficulties and desired support of the mother tongue education’ as follows. First, most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believe in the importance about mother tongu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n that sense, their beliefs in mother tongue education are unlimited to early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other tongu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lso it has a negative external interven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children are not educated in early childhood because mothers consider that their mother tongue education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or they receive oppositions by their families. Consequently, mothers who did not correctly recognize the mother tongue education were regretful about it. Second,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re now well aware of the need of mother tongu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the mother’s side’, ‘to help child's career’, ‘to show the mother country's identity’, ‘to instill confidence in the childhood’ and ‘to help the child to communicate emotionally with the mother’ are some of the motivations for teaching mother tongue to their children. Mothers with strong educational beliefs showed a greater perception in the need of the mother language education than mothers who did not. Third, the children of the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tend to be embarrassed at the beginning of their mother tongue education. In fact, they do not feel a negation to study the language of the mother country, but only the strange sensation of a new language. On the other hand, husbands and parents, who had opposed to the Vietnamese mother tongue in the past, were changed. Now, they do not oppose to the mother tongue education but rarely help in the process of teaching. In the attitudes of the surrounding peopl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ncerned about their own origin but were not severely discriminated by Koreans. Fourth, this study analyzed two types of Vietnamese mother tongue teaching method such as educational method and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educational method there are two types: direct type (communicating with children in mother tongue, using textbook - diocese, utilizing multicultural family self-help groups, using children'ssong and playing games) and entrusted typ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educational institution, etc). Finally, there is a way of mother country culture experience or visiting mother’s country as an experiential learning. Mothers with a strong belief in Vietnamese mother tongue education tend to find the support for getting effective methods for their children. In that sense, if husband and family support it, the mother tongue teaching is more effective. Fifth,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is study have difficulti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lack of Korean language ability, lack of knowledge of mother tongue education, lack of help from nearby people and limitation of acces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teaching Vietnamese mother tongue to their children.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y hope to fortify the mother tongue education and give support such as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raising social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developing a systematic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finding out the concrete support for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y.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pects further research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nalyze in depth.;이주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국은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에 진 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국제 결혼을 통해 다문화가족을 구성하는 현상이 많아졌고 사회적 관심도 높아졌다. 최근 들어 한국 사회에서는 다문화 가족에서 결혼이주여성이 언어 소통과 자녀들 정서 발달을 돕는 방안으로 자 신이 출생한 나라 언어를 자녀에게 가르치는 모어(母語) 교육을 주목하고 있 다. 본 연구는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母 語) 교육 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의 모어(母語) 교육에 대한 신념이 어떻 게 형성되었는가? 둘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자녀 모어(母語)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모어(母語) 교육에 있어서 자녀와 남편, 시부모 등 가족과 주변인들 태도가 어떠한가? 넷째, 자녀에게 모어(母語)를 교육하기 위하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활용 하는 교육 방식은 무엇인가? 다섯째, 모어(母語) 교육 과정에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가? 또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어떤 지원을 희망 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근교에 거주하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 심층 면접(in-dept interview)을 진행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모어(母語) 교육 신념’, ‘모어(母語)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모어(母語) 교육에 대한 가족과 주변인들 태도’, ‘모어(母 語) 교육 방식’과 ‘모어(母語) 교육의 어려움 및 희망하는 지원’의 다섯 가지 범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대부분 모어(母語) 교육 신념 을 가지고 자녀를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모어(母語) 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은 모어(母語) 교육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하여 진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외부의 부정적인 개입에 저항하는 현상에도 나타난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모어(母語) 교육으로 인하여 자녀의 한국어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까 염려하거나 가족의 반대로 자녀의 유아기에 교육하지 않은 경우도 있 었다. 이와 같이 모어(母語) 교육을 일찍 시작하지 않았던 연구 참여자 어머니 는 후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현재 자녀의 모어(母語) 교 육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외가와 소통하기 위해’, ‘자녀의 진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어머니 나라의 정체성을 알려주기 위해’, ‘자녀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해’, ‘자녀와 어머니의 정서적 소통을 위해’ 등을 계기로 모어(母語)를 지도하기 시작했다. 면담 과정에서 교 육 신념이 강한 어머니는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비하여 모어(母語) 교육의 필 요성을 뚜렷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의 자녀들이 모어(母語) 교육 초기에 당황하는 경향이 드러났 다. 다만 어머니 나라의 언어를 공부해야 하는 상황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었 다. 단순히 새로운 언어가 낯설다고 느끼는 것뿐이다. 한편, 예전에 모어(母語) 사용을 강하게 통제했던 남편과 친가는 현재 대부분 모어(母語) 교육을 반대 하지는 않지만 어머니가 홀로 자녀를 지도할 때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한편 본 연구에 참여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자신의 출신에 대하여 염 려하지만 한국인 주변인들로부터 심한 차별을 받지 않았다고 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모어(母語) 교육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형과 체험형으로 크 게 두 가지 방식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형으로 자녀와 모어(母 語)로 소통하기, 교재 – 교구 사용하기, 다문화가족 자조모임 활용하기, 동요 활용하기와 놀이화하기 등 어머니가 직접 지도하는 방식과 다문화가족지원센 터 같은 교육기관에 맡기는 위탁형 교육 방식이 있다. 그리고 체험형으로 어 머니 나라 문화 체험하기와 외가 방문하기 같은 교육 방식이 있다. 모어(母語) 지도 방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지만 모어(母語) 교육 신념이 확고한 어머니 는 자녀에게 다양하고 효과적인 방식을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더불어 모어(母語) 지도 과정에 남편 등 가족의 지원을 받는 경우가 그 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자녀의 모어(母語) 학습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다섯째, 본 연구에 참여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자녀에게 모어(母語) 교 육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능력 부족, 모어(母語) 교육 지식 부족, 어머 니 혼자 하는 모어(母語) 교육, 교육 기관 접근의 한계 등 여러 측면에서 어려 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기 위하여 이 들은 모어(母語) 지도 교육 강화, 전용 교재 개발, 다문화에 대한 사회 인식 제고, 체계적인 베트남어 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 같은 지원을 희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인 어머니가 자녀의 모 어(母語) 교육에 어떻게 참여하고 노력하는지 실제적인 과정을 탐색하고 구체 적인 지원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한편, 연구자는 제한적인 연구 대상의 규모와 범위 등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더욱 심도 있게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