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2 Download: 0

일본 K-pop 적극적 수용자의 수용특징과 소비행태에 대한 연구

Title
일본 K-pop 적극적 수용자의 수용특징과 소비행태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Acceptance Fea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Passionate K-pop Audience in Japan : Focusing on K-pop Concert Audience
Authors
김하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성남
Abstract
가장 역동적이고 현재까지도 가장 많은 이슈를 몰고 있는 한류 콘텐츠는 무엇인지 어느 누구에게 물어도 단연 ‘케이팝(K-pop)’이라 답하는 시대가 되었다.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북미와 유럽에 걸쳐 케이팝을 듣고 보고 부르며 춤추는 글로벌 팬덤이 형성되는 등, 케이팝은 대중문화의 메인 스트림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세계인들이 케이팝을 즐기고 있는 이 시점에서, 특히 일본은 여러 가지 의미로 중요한 나라이다. 이는 일본이 2000년대 처음 케이팝이 수입된 이래로, 단 한 번도 케이팝 해외시장 점유율 1위의 자리에서 내려온 적 없는 명실상부 케이팝의 주요 소비국가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케이팝의 주요시장인 일본에서 현재까지 인기가 지속될 수 있는 원인이 일본 케이팝 수용자에게 있다고 보고, 일본의 열광적인 케이팝 팬, 즉 적극적인 수용자 585명을 대상으로 소비조사를 실시하여 케이팝 수용특징과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소비조사와 더불어 일본과 한국의 음악업계 전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일본 내 케이팝 수용과 소비에 대해 보다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일본의 케이팝 수용자들이 케이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즐기는지, 그들의 팬덤문화는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나아가 케이팝 외에 한국 문화영역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봄으로써 일본 케이팝 적극적 수용자의 수용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 일본의 적극적 수용자는 4점 척도에서 평균 3점 이상으로 전반적으로 케이팝 수용에 대해 긍정적이며 경험 빈도와 수용 의사도 높았다. 10대와 60대가 다른 연령에 비해 케이팝 수용에 있어서 적극적이며, 케이팝을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한국 드라마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는 ‘일본인들이 케이팝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지 않은 편’이라고 응답하였는데, 본 연구의 설문조사 시행시점이 일본 내 반한류 감정이 높았던 점을 미루어 볼 때, 이들은 반한류 여론에 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적극적 수용자의 소비행태는 케이팝의 각 상품별 구매경험과 콘서트 관람 소비행태, 공식과 비공식 상품의 구매, 구매한 상품에 대한 사용 여부 및 되파는 행위 경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케이팝 상품 품목에 따른 구매경험의 특징은 구입을 통해 완전히 소유할 수 있는 상품의 경우 모두 높은 구매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임시 소유가 되는 대여 CD와 완전 소유 상품이긴 하나 케이팝 스타 이미지가 없는 음원 다운로드 구매는 상대적으로 낮은 구매경험을 보였다. 공식 상품을 판매하는 온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 구매 경험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비공식 매장에서의 구매경험도 높게 나타나 적극적 수용자는 케이팝 상품에 대한 소비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콘서트 관람 소비행태는 n차 관람이 특징이며, 케이팝 상품 구매 후 행위에 대해서는 구매 상품 사용을 하지 않은 편이며, 상품을 되파는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본의 케이팝 공연을 관람하러 온 적극적 수용자 585명을 대상으로 소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과 일본 음악시장 관계자의 허가 없이는 얻기 어려운 자료라는 점에서 첫 번째 의의를 갖는다. 또한 연구 대상인 수용자의 케이팝 몰입도 층위를 콘서트 관람자로 규정하여, 관행적인 팬덤 분석에 있어,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두 번째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일본 케이팝 음악업계 종사자로서 수용자를 관찰하여 도출한 질문 항목을 통해 팬덤의 수용특징과 소비행태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It is the era when I ask to someone what is the most dynamic and issued thing among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wave until now, there answer will be absolutely K-pop. It’s rising as the main stream of pop culture since the global fandom such as listening, singing, and dancing K-pop is formed through not only Asian countries but also North America and Europe. The K-pop is loved and issued all over the world but Japan is very important in many ways. Japan has been the major consumer country where is always the first of overseas market share of K-pop from middle of 2000s, after exported to the Japan in 2000s with the footsteps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been started from opening of Korea-Japan culture in October, 199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cceptance fea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K-pop through a survey by the passionate K-pop audience in Japan under the background of continuous popularity in Japan where the main market of K-pop. The interviews with music business people in Japan and Korea redeem the lack of evidence of the survey from passionate consumers. About active acceptance feature in Japan, the study was researched how they think and enjoy the K-pop, which aspect have from their fandom culture, and how high their interest in Korea not even K-pop. Based on the survey, generally, the factors of passionate audience came out positive to the acceptance of K-pop and having high experience frequency and acceptance intention above 3points out of 4points by average. Teenagers and 60s were more active to the acceptance of K-pop compare to the other ages and the first time K-pop was introduced to them was the influence of Korean drama. K-pop turned out the way as a defensive attitude about Anti-Korean culture wave in Japan. This research found out K-pop passionate audience’s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each K-pops goods, watching concert, whether or not to use goods, and resale. Firstly,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K-pop goods. It had a high purchasing experience to the product being fully owned. However, to the product which has no connected visual image of K-pop artist such as downloading music though it can be fully owned or rental CDs which cannot be owned, it has low purchasing relativel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many purchasing goods place was the official shop. However, there were many ways to get goods unofficially. Therefore, the consuming desire of K-pop goods came out very high. Secondly, the character of watching concert consumption is watching concert several times, not just once and thirdly, K-pop passionate audience tended not to use purchased K-pop goods. Lastly, they had low experience of resale. This study researched the passionate audience who came for watching K-pop concert, 585 people. Moreover, the study had the first significant effect in a regard of the survey material that really hard to get without the permission from music business people in both countries. Furthermore, the study has second significant effect in the point of view that approximate embodied the fandom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through focusing on passionate audience who attended concert as a subject of this survey. Finally, since I was one of profession from K-pop business entertainment in Japan, I did an empirical study about acceptance fea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by the questions from observing the real consumers, therefore, it has third significant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