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김진솔-
dc.creator김진솔-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24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2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1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12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443-
dc.description.abstractWhile there are students who like science and have high academic performance at school sites, there is a constant problem that many students find science difficult and do not like it.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the higher the tendency to not prefer science, especiall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o solve this problem of sci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cience pre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ince various factor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school science factors have a great influence on science preferences, a fundamental approach is needed to understand what high school students think about science from their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how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science differently and live in a scientific context, and looked at how their scientific context had to do with their preference for science. To this end, five students attending the first grade of Hope High School were interviewed for a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used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as an analytical tool to analyze the scientific context of various levels represented by the study subjects, and by repeated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ientific context of the five study subjects, we explored how scientific context has to do with preferring science. As a result, first,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nation's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cience was a large part of the scientific context, but scientific contexts outside the school were important. This showed different asp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their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dicating that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in science alone could not be represented. Second, we could see that scientific preferences could vary depending on how rich the scientific context is. Third, it showed a tendency to prefer science when connections between scientific contexts occur actively.;학교 현장에는 과학을 좋아하며 과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들도 존재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과학을 어려워하며 좋아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특히 고등학생들에게서 과학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등학생들의 과학 선호도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 과학 요인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요인들이 과학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과학 선호도를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등학생들이 과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들의 시선에서 이해하려는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과학을 다르게 경험하며 어떠한 과학적 맥락 속에 살아가고 있는지 알아본 후 이들의 과학적 맥락이 과학을 선호하는 것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희망고등학교 일반계 1학년에 재학 중인 다섯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시스템을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이 나타내는 다양한 차원의 과학적 맥락을 분석하였으며, 다섯 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과학적 맥락을 반복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과학적 맥락이 과학을 선호하는 것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특성상 학교 과학이 과학적 맥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학교 밖 과학적 맥락들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고등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와 학교 과학에 대한 선호도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과학 선호도를 학교 과학 선호도만으로 나타낼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학적 맥락이 얼마나 풍부한지에 따라 과학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적 맥락 간 연결이 활발하게 일어날 때 과학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과학 선호도 4 1. 과학 선호도의 정의 4 2. 과학 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6 3. 과학 선호도에 대한 맥락적 접근 7 B.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 9 C. 과학적 맥락 11 Ⅲ. 연구방법 12 A. 질적 사례 연구 12 B. 연구 절차 13 C. 자료 수집 및 분석 14 1. 연구 대상자 특성 및 선정 14 가. 연구 대상 학교의 특성 14 나. 연구 참여자의 특성 14 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 17 2. 자료 수집 18 가. 자료 수집 기간 및 면담 일시 18 나. 면담 질문 구성 18 3. 자료 분석 20 가. 반복적 비교 분석 20 나.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에 따른 과학적 맥락 분석 21 Ⅳ. 연구결과 22 A. 희망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맥락 분석 22 1. 미시체계 23 가. 가정 23 나. 과학 교사와 과학 수업 26 다. 또래 친구 27 라. 사교육 28 마. 진로 28 2. 중간체계 29 3. 외체계 30 가. 지역사회 30 나. 대중매체 32 다. 친척들 33 4. 거시체계 34 가. 입시 위주의 교욱 문화와 사교육이 만연한 사회 분위기 34 나. 교육과정 개정 35 다. 지식 전달 위주의 과학 교육 36 B. 과학적 맥락에 따른 과학 선호 양상 39 1. 과학적 맥락의 풍부도에 따른 과학 선호 양상 39 가. 과학적 맥락이 풍부한 가희 40 나. 과학적 맥락이 결핍된 미희 41 2. 과학적 맥락 간 연결에 따른 과학 선호 양상 43 가. 과학적 맥락 간 연결과 과학 선호 43 (1) 과학적 맥락 간 연결이 활발한 나희 44 (2) 과학적 맥락 간 연결이 활발한 다희 47 나. 과학적 맥락 간 단절과 과학 선호 50 (1) 과학적 맥락 간 단절이 일어난 가희 50 (2) 과학적 맥락 간 단절이 일어난 라희 52 다. 과학적 맥락 간 연결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 54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59 부록 1 62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923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고등학생들의 과학 선호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cience Pre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dc.creator.othernameKim, Jinsol-
dc.format.page[v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