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7 Download: 0

R. 슈스터만의 ‘신체미학’에 관한 연구

Title
R. 슈스터만의 ‘신체미학’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예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오늘날의 다양한 미적 경험에서 신체가 수행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R. 슈스터만(Richard Shusterman)의 ‘신체미학(somaesthetics)’에 관한 연구이다. 신체미학은 ‘신체(soma)’와 ‘미학(aesthetics)’의 합성어로, 슈스터만이 몸에 관한 미학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새롭게 고안한 용어이다. 슈스터만은 경험을 철학의 중심에 두고 신체를 경험의 중심으로 다루며, 예술의 창조와 감상에서 신체의 직접적, 지각적 역할을 강조한다. 이 때 ‘신체(soma)’는 단지 물리적인 몸보다는 직접적인 느낌, 삶, 감각이 있는 ‘생생한’ 몸을 의미하고, 신체적 자기의식과 자기사용의 수양은 더욱 고양된 주의 깊은 깨달음을 제공해 미적 경험에 있어서 더 강화된 즐거움을 준다. 따라서 슈스터만은 신체라는 직접적 매체의 감각적 기능을 개선시키고 강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며, 신체적 의식을 지닌 개인이라면 누구나 삶 속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천이라 말한다. 신체미학은 무시되었던 신체의 지각과 쾌의 문제를 미적 경험의 기초적 원리로서 수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미적 경험은 신체미학에서 핵심적 토대가 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런데 슈스터만에 의하면, 미적 경험의 개념은 ‘미적(aesthetic)’이라는 용어가 생긴 이래로 미적 개념들 가운데 가장 본질적인 것이라고 오랫동안 간주되어왔지만, 지난 반세기동안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오기도 했다. 슈스터만은 한 때 중요한 개념이었던 미적 경험이 오늘날에 이르러 그 호소력을 잃고 쇠퇴하게 되었다고 평가하며, 그 가치와 중요성을 회생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 그가 회생하려는 미적 경험은 일차적으로 언어로 기술되고 분석되어질 수 있는 경험이 아니라 ‘말로 나타낼 수 없고’, 해석될 수 없는 육체적 경험이며, 이는 표현할 수 없는 ‘신체적 느낌’ 즉 ‘비 추론적 직접성’을 드러내는 요체의 중심이 된다. 연구자는 슈스터만의 주장을 통해 오늘날 사라져가는 미적 경험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고하고, 신체미학이 우리의 ‘생생한’ 신체적 감각을 예술과 삶에서 가꾸어 나가는 이론과 실천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는 먼저, 신체미학에서 핵심 개념인 미적 경험이 여전히 고양되고, 유의미하며, 가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미적 경험의 개념적 역사를 알아보고, ‘미적인’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확립된 근대 이후의 미적 경험의 이론의 특징 그리고 중요성을 슈스터만의 설명을 통해 살펴본다. 그리고 신체미학의 연원과 성립배경 그리고 이론적 기반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슈스터만이 전시와 작품에 직접 참여한 예술적 시도를 살펴본다.;This paper is a study on R. Shusterman’s “Somaesthetics” which emphasizes the body's role in various aesthetic experiences of today. Somaesthetics is a compound of “soma” and “aesthetics”, a new term designed by Shusterman to explain aesthetic areas of the body. Shusterman emphasizes experience as the center of philosophy, the body as the center of experience, and the direct and perceptive role of the body in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art. In this context, the term “soma” indicates a living, feeling, sentient body rather than a mere physical body that could be devoid of life and sensation. And self-consciousness and self-use discipline, by providing more heightened and careful enlightenment, provide extra-enhanced pleasure. Therefore, Shusterman proclaims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and reinforce the sensory function of the direct medium called soma, and any individual with somatic consciousness can practice it in life. The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the core foundation for Somaesthetics in general, is a key field in which the “vital activities” of the body, the “original medium and tools” of human existence, take place. However, according to Shusterman,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has long been regarded as the most essential of aesthetic concepts since the term “aesthetic” has come into existence, but it has received constant criticism over the past half-century. Shusterman believes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which was once an important concept, has lost its appeal and has declined to this day, and should be revived of its’(aesthetic experience) value and importance. The aesthetic experience he plans to re-new is not primarily an experience that can be described and analyzed in language, but a physical experience that cannot be “described in words” or interpreted. And this(aesthetic experience) is the center piece for revealing indescribable “physical feeling”, in other words “non-speculative”. Through Shusterman's Somaesthetics, I shall review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currently has been dissipating and confirm that it can be the theory and practice, to cultivate our ‘vivid’ physical sense in art and life. First, I will examine the conceptual history of “aesthetic experience” to confirm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a key concept in physical aesthetics, is still an inspiring, meaningful, and valuable experience. Then, through Shusterman’s explanation, I will observe the characteristic and importance of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after modern era, when the term ‘aesthetic’ was officially established. I will also examine the origin, background, and theoretical basis of Shusterman’s ‘Somaesthetics’. Finally, by observing art exhibitions and works Shusterman participated in, I will examine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omaesthetics’ in today’s aesthetic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