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포스트 미디어 시대 미술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포스트 미디어 시대 미술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Age of Post Media A Study of the Changes in Art Museums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roles and functions of art museums in an age where computers, and the internet, specifically social media are ubiquitous. Previously, the museum was a treasure trove of artwork,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museum concentrated on collecting and studying works of art and unilaterally conveying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and information of experts such as curators through exhibitions to the audience. However, in the age of post-media, in the case of art museums, changes to user/audience-centered museums, such as collaborative curations with the audience or collaborative tagging of online collections were observed. Thus, this study shall examine the background for the rise of today's post-media era, and shall focus on social media from the point of view of Lev Manovich's 'Post-media Aesthetics' in order to study social media, which has taken hold across contemporary life,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places in art, and will examine the changes in art museums. The influence of computer and internet media, which are represented by 'social media' today, is occurring throughout the art area such as artists, viewers, and works, but this study will be limited to changes in art museums. In addition, it pays attention to social media as a media that can provide new roles and functions to museums, which can realize post-museum, a new identity of museums today. ‘Medium’ is inseparable from art, and in art,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s and expressive styles of artistic genres were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For example, paintings are defined as a form of art where shapes are drawn on a two-dimensional plane, and sculpture is a form where three-dimensional forms are made using materials such as marble or bronze. However, media, the plural form of medium, meant technological media related to mass media and had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term 'medium' used in art until the mid 20th century, and the two were discussed in their separate realms, without interaction. However, from the late 20th century, art forms where various mediums which could not be categorized into genres by their mediums developed, and technological media such as photos, movies, and televisions were introduced into the realm of art, making the idea of the medium in art obsolete, and the 'post-media' discourse appeared due to the emergence of computer and internet culture. ‘Post-media’ is a combination of the words ‘post’ and ‘media’ or ‘medium’ and means the situation where the classification into genres by medium became impossible after computers emerged in the 1990s. The term 'post-media 'was used by many scholars, but instead of the discourse forming after a consistent definition was shared, it was used in different situations and contexts with slightly different meanings, so the post-media discourse went along two different contexts; one by the digital media theory, represented by Lev Manovich, and the other by the retrospective historical media theory, represented by Rosalind Krauss. This study will take a closer look at Manovich's post-media aesthetics which puts forward the idea of "software," focusing the “power and actions of the user”, instead of the idea of the "medium”, which emphasizes the artist's intent and the artwork's contents and form, based on computer and internet culture. After the advent of the internet, today, the age of social media has come, due to a paradigm change in the web. Social media is a web paradigm that is much more open than that of when the internet first emerged and it means online platforms where people can share their thoughts, opinion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nd make or expand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Most importantly, ‘social media has a structure where information is not given vertically downwards from a non-human central control center but is horizontally transferred from person to person in the form of a two-way conversation’, providing a system that is closer to human nature and lets humans be humans. Social media, which appeared in the 2000s, spread rapidly combined with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changed the form of communication from the broadcast mechanism's 'many on one' relationship to the 'many on many' relationship rooted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writer, the public, and those around, changing people from readers to publishers.. Due to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rt museum operations entered a new state. Even in the museum, it became possible for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planning of collections or exhibits with social media, which was one the domain of curators or museum experts. In the art museum, social media becomes an art museum social platform that can realize the paradigm change from the object-oriented art museum which was perceived as an authoritative shrine of objects to today's audience-centered 'post museum.' From post-media aesthetics, social media allows the user to “not participate in a system designed by experts, but produce something on an equal level with experts, even by any non-expert”. This study looks at social media as a media that can realize the identity of 'post museum' toda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or publicity tools of previous art museums, and specifically it will look at this using the examples of ‘Crowdsourced Curation’ by Brooklyn Museum and ‘Social Tagging’ by Gyeonggi Museum of Art, from the new identity of the museum, the post-museum paradigm.;본 논문은 컴퓨터 및 인터넷, 특히 소셜 미디어(Social Media)가 일반화된 시대에 미술관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전에 미술관은 예술 작품의 보고로,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은 예술 작품을 수집하고 연구하여 큐레이터와 같은 전문가의 전문적이고 권위있는 해석과 정보를 전시를 통해 관람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포스트 미디어(Post-Media) 시대 소셜 미디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미술관 전문가들만의 영역이었던 전시기획과 소장품 해석에 상호 협업 큐레이션이나 온라인 소장품에 대한 협업 태깅 등으로 비전문가인 관람자가 주체가 되어 등장하는 사용자/관람자 중심의 미술관으로 변화하는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포스트 미디어’ 시대가 등장한 배경을 살펴보고 동시대 삶 전반에 자리잡으며 미술관 뿐만 아니라, 미술 영역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셜 미디어를 고찰해보기 위해 레프 마노비치(Lev Manovich)의 ‘포스트 미디어 미학’의 관점으로 소셜 미디어를 주목하여 살펴보겠다. 오늘날 ‘소셜미디어’로 대표되는 컴퓨터 및 인터넷 미디어의 영향은 작가, 관람자, 작품 등 예술 전영역에 걸쳐 일어나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변화에만 한정하여 살펴보겠다. 또한 무엇보다 소셜미디어를 오늘날 뮤지엄의 새로운 정체성인 포스트 뮤지엄(Post-Museum)을 실현할 수 있는, 뮤지엄에 새로운 역할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로서 주목한다. ‘매체(medium/media)’는 예술과 불가분의 관계로 예술에서는 오랫동안 매체의 물리적 특성을 토대로 예술 장르의 정의와 표현양식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다. 이를테면 회화는 이차원의 평면 안에 형상을 그리는 예술로, 조각은 대리석이나 청동 같은 재료를 통해 삼차원의 형상을 만드는 예술로 정의된다. 그러나 한편, 매체의 복수형을 가리키는 ‘미디어(media)’는 대중매체와 관련된 기술매체를 일컫는 것으로, 20세기 중반까지 예술에서의 ‘매체’와 ‘미디어’는 각자의 영역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으며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 예술에서 더 이상 매체에 따른 장르 구분이 불가능한 다양한 매체들이 도입된 예술형식이 발전하고 사진, 영화, 텔레비전과 같은 기술적 매체가 예술의 영역에 들어오게 되면서 더 이상 예술에서 매체 개념은 유효하지 않게 되며, 컴퓨터와 인터넷 문화의 출현으로 ‘포스트 미디어’담론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포스트 미디어’는 영어의 ‘post’와 ‘media’ 또는 ‘medium’의 합성적 의미로, 1990년대 컴퓨터의 출현 이후 매체에 따른 장르 구분이 불가능해진 상황을 말한다. ‘포스트 미디어’라는 용어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어왔지만 일관된 정의가 먼저 공유되고 나서 담론이 형성되었다기 보다는 서로 다른 상황과 문맥에서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기에 ‘포스트 미디어’에 대한 담론은 크게 레프 마노비치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 이론과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로 대표되는 미술사적 미디어 이론으로 두 가지 상이한 맥락으로 전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가운데 컴퓨터와 인터넷 문화에 기반하여 작가의 의도나 예술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강조하는 “매체” 개념 대신 “사용자의 역량과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소프트웨어(software)” 개념을 제시하는 마노비치의 ‘포스트 미디어 미학’을 주목한다. 인터넷의 출현 이후, 웹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오늘날 ‘소셜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였다. 소셜 미디어는 인터넷이 출현할 당시보다 훨씬 개방된 웹의 패러다임으로 온라인 상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말한다. 소셜 미디어는 무엇보다 ‘쌍방향의 대화형으로 정보가 비 인격체인 중앙 통제부에서 수직적으로 하달되는 것이 아닌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에게 수평적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어 인간의 본성에 가까운,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2000년대에 등장한 소셜 미디어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결합하여 빠르게 확산되었고, 소통의 양상을 방송 매커니즘의 ‘일 대 다수’ 관계에서 저자, 대중, 주변 사람 간의 대화에 뿌리를 둔 ‘다수 대 다수’의 관계로 전환시켜 사람들을 독자에서 발행인으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영향으로 최근 미술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미술관에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수동적 관람자의 역할에 그쳤던 대중이 기존에 미술관 전문가들만의 영역이었던 소장품이나 전시기획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미술관에서 소셜 미디어는 이전의 권위적인 오브제의 성전으로 인식되었던 오브제 중심의 미술관에서 오늘날의 관람객 중심의 ‘포스트 뮤지엄’이라는 미술관 패러다임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미술관 소셜 플랫폼’이 된다. 포스트미디어 미학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는 관람자/사용자를 “전문가에 의해 설계된 시스템 내에서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비전문가인 누구라도 전문가와 평등의 정도로 무언가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이전의 미술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나 홍보의 도구와는 다른, 오늘날 ‘포스트 뮤지엄’이라는 뮤지엄의 정체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미디어로 바라보며 구체적으로 이를 브루클린 뮤지엄(Brooklyn Museum)의 ‘온라인 협업 큐레이션(Crowdsourced Curation)’사례와 경기도 미술관의 ‘온라인 협업 태깅(Social Tagging)’사례를 통해 살펴보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