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6 Download: 0

George Crumb의 『Makrokosmos Volume Ⅰ, Ⅱ, Ⅲ, Ⅳ』의 작곡 기법을 통해 드러나는 주제 및 모자이크 음형 분석

Title
George Crumb의 『Makrokosmos Volume Ⅰ, Ⅱ, Ⅲ, Ⅳ』의 작곡 기법을 통해 드러나는 주제 및 모자이크 음형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mes through composing methods and mosaic figures in George Crumb's 『Makrokosmos Ⅰ, Ⅱ, Ⅲ, Ⅳ』
Authors
전애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함영림

김은하
Abstract
이 논문은 조지 크럼(George Crumb, 1929- )의 피아노 곡 『마크로코스모스 Ⅰ, Ⅱ, Ⅲ, Ⅳ』(Makrokosmos, 1972-1979)의 주제를 드러내는 작곡 기법과 모자이크 음형에 관한 분석이다 본 논문 Ⅱ장에서는 작곡가의 생애를 음악적 활동 위주로 살펴보고 전체 작품을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전체 작품은 ‘제목’을 기준으로 주제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Ⅲ장에서 다룰 『마크로코스모스』 전체 시리즈를 제목별로 분류한 것과도 일치한다.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우주, 2) 종교, 3) 신화, 마법, 유령, 4) 자연: 전원, 밤의 소리, 5) 전쟁, 어두움, 그림자, 6) 로르카의 주제: 사랑, 죽음, 비, 7) 무한한 시간 Ⅲ장에서는 주로 『마크로코스모스』의 작곡 기법 중 음악 외적인 요소들 즉 제목, 상징(도형 기보와 숫자), 인용 등을 통해 드러나는 주제를 분석하였다. 『마크로코스모스 Ⅰ, Ⅱ』는 각 12곡을 4곡씩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세 부분의 처음에는 연주 지시어(어두움, 무시무시하게), 새로운 테크닉(피아노 내부 ‘금속’ 현을 ‘금속’ 도구를 사용해 긁거나 때리는 섬뜩한 소리) 등을 사용하여 ‘악의 시작’을 알렸고, 각 부분의 마지막은 십자가상이나 평화 표시를 한 도형 기보로 ‘종교적인 해결’(재림과 구원)을 하는 대칭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주제를 알리기에 가장 직접적인 방법인 ‘인용’ 즉 베토벤, 바흐의 곡과 파스칼, 릴케의 시를 사용하여 전쟁과 과도한 개발 등을 겪으며 비참한 실존에 고통 받게 된 인간의 관심을 다시 ‘형이상학’으로 돌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음악 내적인 절대 요소인 음형 세포(figure cell)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작은 단위의 음형 세포들이 모여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음을 발견하고, 각각의 음형 세포들이 가진 우주적, 종교적 주제들을 파악하였다. 예를 들어 완전 4도나 완전 5도의 병행 같은 조성적인 음형은 신을 표현하고, 5음음계로 이루어진 음형은 자연을 상징하며, 세 개의 반음 뭉치나 글리산도(피아노 금속 현을 금속 도구를 사용하여) 음형은 악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장은 『마크로코스모스 Ⅰ, Ⅱ, Ⅲ, Ⅳ』 전체 시리즈에 등장하는 36개 모든 음형을 최초로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Ⅴ장에서는 더 이상 인용이나 도형 기보가 나타나지 않는 『마크로코스모스 Ⅳ』에도 역시 이전 『마크로코스모스』 시리즈의 음형을 일관적으로 사용하는 모자이크 기법으로 주제를 표현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크럼의 거대한 시리즈인 『마크로코스모스 Ⅰ, Ⅱ, Ⅲ, Ⅳ』를 하나로 통합하는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is an analysis on the composing methods that discloses themes and mosaic figures in George Crumb's piano pieces 『Makrokosmos Ⅰ, Ⅱ, Ⅲ, Ⅳ』(1972-1979). In section II, the composer’s entire works are arranged by time period and themes, as his life is overlooked mainly in musical activities as well. All the works are categorized by themes based on the titles, as well as the whole series of 『Makrokosmos』 was categorized by titles in section III. The criteria are as follows: 1) cosmos, 2) religion, 3) myth, magic, and ghosts, 4) nature: the country and sounds of night, 5) wars, darkness, and shadows, 6) the theme of Lorca: love, death, and rain, 7) endless time. In section III, the themes of 『Makrokosmos』 are analyzed mainly through the non-musical components of the composing techniques; titles, symbols(shapes and numbers), and quotations. For example, each 12 pieces are divided into 3 parts of 4 in 『Makrokosmos I & II』, and the beginnings and the ends are arranged symmetrically revealing good and evil. Performance instructions(i.e. dark, ghastly), new techniques(horrid sounds made by scratching or beating the ‘metal’ strings inside of a piano using a ‘metal’ tool) are used to announce ‘the beginning of evil’, and the endings of each part are notated with symbols such as a cross or a peace sign, revealing ‘religious resolution(the second coming and salvation)’, which makes it the symmetry with the beginning. In addition, quotation, the most direct way to reveal the theme is used to turn the focus on miserable existence of humanity through wars and excessive exploitations to ‘metaphysics’ again, quoting songs from Beethoven and J.S. Bach, and poems from Pascal and Rilke. In section IV, it is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figure cells which are absolute elements in music that small units of figure cells were forming a mosaic, and each of them was found to have cosmic, religious themes. For example, tonal figures such as parallel fourths or fifths portray God, a pentatonic scale nature, a cluster of three chromatic notes or glissando evil. There is a big significance in this section that all 36 figures from the whole series of 『Makrokosmos I, II, III, IV』 were analyzed and arranged in order for the first time. In section V, although neither quotation nor shape notation are found anymore in 『Makrokosmos IV』, it is verified that the mosaic technique which uses figures from the preceding series of 『Makrokosmos』 consistently is formulating the theme. Throughout this process, a connecting link was discovered, which unifies the colossal series of Crumb’s 『Makrokosmos I, II, III, IV』.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