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3 Download: 0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외상 후 성장

Title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외상 후 성장
Other Titles
Trajectorie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its Relation to Post-traumatic Growth among Emergency Personnel
Authors
이소래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Research into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traumatic experiences has tended to focus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for emergency personnel, such a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but recent trends in traumatic stress research have highlighted the resilience and potential for post-traumatic growth (PTG). Particularly for those who are continuously exposed to occupational trauma, it may b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y recover from traumatic stress and what factors facilitate recovery from post-traumatic stress and promote associated PTG. Recent growing interest in PTG has led to questions about how it may be fostered in a clinical setting. However, investig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and PTG have been inconsistent and have been limited in their ability to demonstrate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he two due to the lack of longitudinal investig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1) how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hange over time by following study participants (firefighters, rescue, and ambulance personnel) over a seven-month period following an incident that resulted in the death of three firefighters and 2) how support from coworkers and initial perceived social support may influence the initial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and their rate of improvement. Furthermore, and most importantly, the study investigates 3) how the change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ver time, support from coworkers, and initial perceived soci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PTG. All firefighters, emergency workers, and rescue personnel deployed to the August 2008 incident that resulted in the death of three firefighters as well as personnel in the agencies directly involved participated in the study. A longitudinal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after the incident at 1-month, 4-month, and 7-month marks, and data from a total of 360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hypotheses were modeled and test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l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AMOS 5.0.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result of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ost-traumatic stress decreased over the seven month period (-3.81, p<.001) and that the reduction was especially rapid during the first three months. Covariance between the initial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rate of change was negatively significant, showing that a higher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a month following the trauma indicated a slower rate of reduction in post-traumatic stress. Support from coworkers was a crucial factor in predicting the initial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β =. 19) and its rate of improvement(β =.26). Those who perceived more support from their coworkers indicated worse symptoms of PTSD, but, as expected, indicated more rapid recovery from PTSD over the 7-month period. The initial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β =. 46) and the rate of improvement (β =. 45) were positively related to PTG, indicating that initial higher distress following trauma i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PTG, but a more rapid rate of reduction in post-traumatic stress is associated with PTG. It also reveals that support from coworker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PTG(β =. 54), but initial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not associated with PTG. Longitudinal findings identifying the trajectory of post-traumatic stress provided confirmation of resilience and natural recovery from post-traumatic stress following trauma. In the case of more severe initial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one month after trauma and their relation to slower recovery over seven month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itial intervention. Support from coworkers was the most crucial factor that predicted the rate of change in post-traumatic stress and higher levels of PTG. The most interesting finding in this study is that higher initial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more rapid rates of improvement in post-traumatic stress ar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PTG. This result may explain in some part the previous inconsistent outcome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TG. As Horowitz(1986)와 Joseph & Williams(2005) suggested, initial post-traumatic stress may be functionally adaptive and even necessary to complete cognitive processing related to trauma, although it is also emotionally disturb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PTSD and PTG may possibly indicate that delay/disruption of recovery from PTSD may impede the development of PTG. This study provides some evidence that more longitudinal study is essential to understand post-traumatic stress and PTG as related to process. However, the studies 7 months follow-up should be extended to deepen the longitudinal assessment of PTSD following the occupation-related death of coworkers. In addition, the single data for PTG at the 7-month mark prevents a clear confirmation of the time variant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TG. Further long-period longitudinal research that includes the change in PTG over time and additional analysis of the subscale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PTG are required.;심각한 외상 사건(traumatic event)이 정신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시각이 공식화 되면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외상에 노출된 개인이 경험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와 같은 심리적 고통에 대한 연구가 지난 30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긍정 심리학의 발달과 함께 리질리언스(resilience)나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이하 PTG) 역시 함께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직업의 불가피한 특성 상 계속해서 외상에 노출되는 소방공무원들에게는 외상 사건에서 상처받지 않기를 바라기 보다는 어떻게 이에서 회복될 수 있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경험이 어떻게 성장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한편 최근 외상 후 성장(PTG)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되풀이 보고되면서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논쟁을 이끌었다. 아주 최근에 외상 후 성장이 임상현장에서 유용한 개념인지, 외상 후 스트레스와 다른 구성개념체로 이해해도 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외상에서의 회복이나 PTSD와 PTG 간의 관계 등은 모두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개념인 만큼 기존의 횡단적 연구로는 기존의 한계를 되풀이할 뿐이라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1) 외상 후 스트레스의 시간에 따른 변화 궤적을 추정하고 2)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3) 이러한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와 PTG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세 명의 동료가 목숨을 잃은 화재 및 인명구조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서의 전체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사건 발생 1개월 시점부터 7개월에 이르기까지 세 차례에 걸쳐 측정된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추정하고, 동료 지지와 초기의 사회적 지지가 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의 초기값 및 변화율, 동료 지지, 초기의 사회적 지지와 사건 발생 7개월 시점에서 보고하는 PTG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323명의 종단적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본 연구의 가설은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모형화되고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을 통하여 도출된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궤적은 7개월에 걸쳐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3.81, p<.001), 특히 초기 3개월간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감소 속도는 이후 3개월에 비해 급속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외상 후 스트레스의 초기값과 변화율의 상관계수(-15.03, p<.05)는 부적으로 나타나 사건 발생 초기에 외상 후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았을 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감소 속도가 느린 반면 사건 발생 초기에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을 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에서 회복되는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 지지를 높게 지각했을 수록 초기에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β =.19) 이후 외상 후 스트레스의 회복 속도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β =.26). 반면 초기의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했을 수록 사건 초기의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도 낮았으며(β =-.10) 외상 후 스트레스의 회복 속도 역시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β =.11). 표준화 값을 통해 이 결과를 살펴 보면 동료 지지가 .26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가장 흥미 있는 결과로 외상 후 스트레스의 초기값(β =.46) 과 변화율(β =.45) 모두 PTG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초기에 지각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 수록, 그러나 외상 후 스트레스에서 회복되는 속도가 빠를수록 PTG을 더 많이 보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기의 사회적 지지는 PTG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동료 지지(β =.54) 는 PTG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료로부터의 지지를 더 많인 지각할수록 더 큰 외상 후 성장(PTG)을 을 보고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준화 값을 통해 확인해 보면 외상 후 스트레스의 초기값과 변화율, 동료 지지 모두 외상 후 성장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동료 지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 변화율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궤적이 6개월에 걸쳐 점차 감소한다는 종단적 발견은 외상 사건 이후의 자연적인 회복과 리질리언스의 가능성을 확인하게 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외상 후 스트레스 초기값이 클 수록 그 회복 속도가 느리다는 결과는 사정을 통해 사건 발생 초기에 높은 외상 후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대상의 확인과 이들에게 제안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동료 지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동료간에 연대감을 강하게 느낄 수록, 동료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말 할 수 있다고 지각할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감소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다시 한번 재난현장 및 응급 서비스 워커들에게 있어 동료 지지 및 연대감의 중요성을 확인하게 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동료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의 초기값과는 정적인 관계를 갖는다는 결과는 동료들과 가깝게 느끼고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이 동료의 죽음 이후 초기에는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동료 지지는 궁극적으로는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감소율을 높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에서 회복되는 데 있어 동료들과의 관계 및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외상 후 스트레스의 초기값이 클 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에서 회복 속도가 빠를수록 더 많은 PTG을 보고한다는 결과는 기존의 상반된 연구 결과를 보여왔던 외상 후 스트레스와 PTG 와의 관계에 대하여 일정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Horowitz(1986)와 Joseph & Williams(2005)의 설명처럼 초기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기능상 적응적일 수 있으며 심지어는 외상과 관련된 인지처리과정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기까지 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PTG와 외상 후 스트레스 변화율이 정적인 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서 회복이 느리거나 어려움이 있는 것이 종국에는 PTG의 발달을 방해하게 될 수 있다는 나타낸다고 본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개념으로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일부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7개월이라는 기간은 PTSD의 진단 등에서는 유용한 기간일 수도 있겠으나 외상 사건으로 인한 만성적인 결과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지나치게 짧은 연구 기간이었다. 이에 동일한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나 보다 장기적인 계획이 함께 하는 종단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7개월 시점에서 측정된 PTG만이 연구에 포함되어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것은 외상 후 스트레스와 PTG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PTG 와 외상 후 스트레스의 변화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와 외상 후 스트레스의 하위 척도인 침습, 과각성, 회피 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추가적인 분석은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 및 인지처리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