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1 Download: 0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perceived holistic softness of personal products

Tit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perceived holistic softness of personal products
Authors
서지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As women’s social position continues to improve, use of disposable products has increased due to its convenience. As technology improves and functional improvements reach its limits, consumers’ holistic sensory experience of a product has become more significant factor in their evaluating product’s quality. The conceptual attribute perceived by consumer is often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product’s qual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nature of this conceptual attribute in product usage process scientifical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conceptual attribute as a key factor of personal products. Diaper was chosen in personal product category as a representative disposal product. And holistic softness considered as conceptual key attribute in a diaper was measured by evaluating the various diapers based on Signal detection theory/Thurstonian modeling.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sequence to measure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perceived holistic softness of using diapering procedure. In Experiment 1, separable sensory properties of single parts of specific components outer part and liner which are considered as significant components in a diaper were evaluated to find out the dominant sensory variables affecting the softness of diapers. Several sensory attributes were objectively evaluated by examining a large number of same component separated from all available commercial products in the same product category. Only the sensory attributes that were stably defined and were varying across multiple product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attributes.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product profiles for 7 sensory attributes in outer part (Gloss, Velvet, Smooth, Pliable, Vinyl-like, Cotton-like and Paper-like) and 9 sensory attributes in top sheet part (Gloss, Velvet, Smooth, Pliable, Grainy, Vinyl-like, Cotton-like, Tissue-like and Felt-like) were deduced. Based on these profiles, 70 diapers having different levels of selected sensory attributes in the two components (outer part and liner) and thickness of padding were manufactured, and then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perceived holistic softness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2, perceived holistic softness of diapering procedure was evaluated SDT ratings as indirect scaling. Soft-Not soft discrimination such as A-Not A test in Signal Detection Theory (SDT) is a sensitivity measurement taking the approach of the method of constant stimuli by using a ‘noise’ and ‘signal+noise’ classes. Yet, for conceptual attributes it is hard to define the noise level. Thus, in this study an abstract concept for a personal product like a diaper was measured in terms of degree of belongingness to given conceptual categories using A-Not A task with confidence rating, based on only one stimulus class. For each stimulus, its own noise respon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a mirror effect assuming an optimal criterion. Then, the distance between ‘signal+noise’ elicited from original stimulus class and ‘noise’ constructed as mirror image of ‘signal+noise’ was calculated as softness index of one stimulus. Thus, estimates of d′ can be calculated from all products, individually. It is an absolute measure for softness of product -The softer product has the bigger d′ and vice versa. Using PLS regression approach, holistic softness judgment was modeled based on the associate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mple. This analysis revealed that soft diaper was significantly highly correlated with Cotton-like in top sheet part and Velvet in outer part, and not soft diaper was significantly strongly correlated with Vinyl-like and Gloss in top sheet part and Paper-like in outer part. In summary, it was confirmed that d′ estimates could be used as an absolute measure for softness by conducting SDT rating for each product; Soft-Not soft discrimination with confidence rating based on Signal Detection Theory. Using this measure, it was possible to represent the information of sensory attributes on the 2-D map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holistic softness, showing their correlations to the softnes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holistic softness and the separable sensory attributes of the components was successfully explained by applying the prediction model driven in this study.;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증가하고 가사노동의 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편리성을 추구하는 생활패턴과 함께 일회용 제품들의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기술발달로 인해 제품들간의 기능적인 부분에서는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제품을 경험하면서 인지하는 감각특성들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소비자가 일반 제품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감지하는 개념적인 특성은 중요한 제품 품질의 결정요인이 되며,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지되는 개념적 특성의 성격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일반 제품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인지하는 요인으로 여겨지는 개념적 특성을 측정하고 정량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인적인 제품이면서 대표적인 일회용 제품이라 할 수 있는 기저귀를 선택하였고, 기저귀의 중요한 개념적 특성이라 여겨지는 ‘전반적인 부드러움’을 Signal Detection Theory/Thurstonian modeling을 근거로 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과학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제품 사용과정에 있어서 인지되는 전반적인 부드러움의 근원과 특질을 측정하고자 두 가지 실험을 차례로 수행하였다. 실험 1은 기저귀의 부드러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기저귀의 중요 구성요소로 여겨지는 바깥커버와 안감에서 부드러움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최소 수준으로 분리하여 평가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은 동일한 범주군의 상업제품들로부터 동일한 평가부위요소를 분리해 내었고, 이 중 많은 제품에 걸쳐서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단일하게 정의되는 감각 특성들만을 중요특성으로 선택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부터 바깥커버에서 7가지 감각특성(Gloss, Velvet, Smooth, Pliable, Vinyl-like, Cotton-like and Paper-like)과 안감에서 9가지 감각특성 (Gloss, Velvet, Smooth, Pliable, Grainy, Vinyl-like, Cotton-like, Tissue-like and Felt-like)에 대해 제품들의 특성 프로필을 도출해 내었고, 이 정보를 토대로 바깥커버와 안감에서 선택되어 평가되었던 감각특성들의 다양한 수준과 패드의 두께를 고려한 70개의 기저귀가 제작되었다. 이 기저귀들은 인지된 전반적인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실험 2에서 사용되었다. 실험 2에서는 기저귀사용과정에서 인지되는 전반적인 부드러움을 SDT rating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SDT rating은 먼저 Soft-Not soft discrimination 을 수행하고 그 후에 자신의 선택에 대한 확신 정도에 대해 rating을 주도록 하는 Indirect scaling 방법이다. Soft-Not soft discrimination은 Signal Detection Theory (SDT) 에서의 A-Not A test와 같은 task로, ‘noise’와 ‘signal+noise’를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인 자극이 주어졌을 때의 예민도 측정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인 부드러움과 같은 추상적 특성에 대해서는 noise라는 수준을 정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최적기준을 가정하여 mirror effect에 근거한 하나의 stimulus에 대해 각자의 noise 응답을 그려내어 이 둘의 거리인 d′ 을 구해냄으로써 각 stimulus마다 softness sensitivity index를 도출해 내었다. 따라서 70개의 모든 제품으로부터 d′ 추정치가 계산되었다. 이는 제품의 부드러움에 대한 절대적인 측정치로 부드럽다고 평가되는 제품일수록 더 큰 d′을 나타내게 되고 부드럽지 않은 제품은 작은 d′을 나타낸다. 한편, PLS 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부드러움에 대한 평가가 샘플들의 감각특성과 관련되어 모델화되었다. 이 분석방법을 통해 부드러운 기저귀는 안감의 Cotton-like와 바깥커버의 Velvet과 같은 특성과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부드럽지 않은 기저귀는 안감의 Vinyl-like와 Gloss, 그리고 바깥커버에서 Paper-like와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제품에 대해 SDT rating을 수행함으로써 얻은 d′ 추정치가 부드러움에 대한 절대적인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측정치와 함께 감각 특성에 대한 정보가 2-D map에 함께 표현됨으로써 부드러움에 대한 특성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감각특성들을 근거로 부드러움에 대한 감각 특성들간의 관계는 prediction model을 적용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