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4 Download: 0

임산부의 건강행태와 임신 및 산후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itle
임산부의 건강행태와 임신 및 산후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Authors
이재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정훈
Abstract
흡연, 음주, 식습관, 운동, 수면 등의 건강행태는 개인의 건강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주산기는 다른 삶의 기간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즉, 모성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 건강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신부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복합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모성의 삶의 질 향상 위한 예방적 건강관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질병관리본부 연구용역과제인 ‘임신관련 합병증 유병률 조사 및 위험인자 발굴(정진훈, 2017)’에 등록된 산모 4,537명으로, 이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동일인을 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패널데이터의 성격을 갖는다. 자료 분석 시 SPSS 25.0과 STATA 1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 통계, 독립 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합동 OLS, 패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산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산후 1개월, 임신 1분기, 2분기, 3분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임신 및 산후의 시점 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과 건강행태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건강행태 요인 중에서 보조제 복용 여부, 가벼운 활동, 보통 활동, 충분한 수면 여부가 모든 시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산부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균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합동 OLS 분석을 수행한 결과, 통제 변수 포함 여부와 관계 없이 건강행태 중에서 보조제 복용 여부, 가벼운 활동, 보통 활동, 충분한 수면 여부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넷째, 모형에서 관측되지 않은 임산부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한 패널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건강행태 중에서 가벼운 활동, 보통 활동, 충분한 수면 여부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정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거 분만 경험 및 유산/사산 경험이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벼운 활동 또는 보통 활동을 한 임산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안정 상태인 임산부보다 높으며, 충분한 수면을 취한 임산부의 삶의 질은 수면이 부족했던 임산부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임산부와 산모가 적정 강도의 신체활동을 수행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중재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도구로 활용된 EQ-5D-3L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다 세밀한 측정이 가능한 EQ-5D-5L 또는 수면과 같은 영역을 포함하는 HINT-8을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도구로 활용하는 향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과 산후의 시점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다루었으나, 임신 전에 대한 부분은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임신 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임신 전후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해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시간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높은 일반적 특성에 관한 변수는 반복적으로 측정될 필요가 있다. 임신 및 산후의 시점에 따라 일반적 특성이 반복적으로 측정될 경우, 고정효과모형 분석에서 일반적 특성의 통제가 가능해질 것이다.;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drinking,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sleep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individual’s health level. Also, pregnancy and postpartum periods is known to have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an other periods of life. In this regard, systematic health care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is important to improve maternal health and HRQoL. However, studies that combine the health behavior and the HRQoL of pregnant wome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ealth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the HRQoL of pregn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37 pregnant women who were registered in the research project sponsor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using secondary dat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has characteristics of panel data, which measures the same person repeatedly over time. The SPSS 25.0 and STATA 14.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linear regression, pooled OLS, and panel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RQoL of pregnant women was high in the order of one month after childbirth, 1st trimester, 2nd trimester, and 3rd trimester. Seco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HRQoL by each period of pregnancy and postpartum. The results showed that whether or not the supplementary medication was taken, light activity, normal activity, and enough slee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RQoL at all time-points. Third, pooled OL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averag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HRQoL of pregnant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whether or not the supplementary medication was taken, light activity, normal activity, and enough slee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RQo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ontrol variable is included. Fourth, a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fixed-effects model was conducted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that were not observed in th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light activity, normal activity, and enough slee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RQoL.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RQoL of pregnant women who had light or normal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pregnant women who were stable, and HRQoL of pregnant women who had enough sleep was higher than that of pregnant women who had lack of sleep.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are needed for pregnant women to achieve adequate physical activity and enough sleep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Q-5D-3L, EQ-5D-5L or HINT-8 can be used as a tool to measure HRQoL. Third, this this study dealt with the health behaviors and HRQoL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but did not address pre-conception status. Therefore, a study that collects data on pre-conception health status and compares before and after conception would be meaningful. Lastly, variables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are likely to change over time need to be measured repeatedly. Repeated measuremen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ave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fixed-effects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