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3 Download: 0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사업장 근로자의 흡연 및 금연 관련 다수준 요인 분석

Title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사업장 근로자의 흡연 및 금연 관련 다수준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multi-level factors related to employees’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using a mixed method
Authors
강지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사업장 근로자의 흡연은 개인의 건강을 해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사업장 전반의 생산성 손실, 간접흡연의 폐해를 야기함에 따라 중재가 필수적인 분야이다. 건강행태의 일환으로써 금연은 개인과 개인을 둘러싼 전반적인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조직을 포괄하는 다수준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근로자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준 요인과 실제 흡연 근로자의 행동기제를 포괄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 흡연 및 금연 관련 다수준 영향 요인과 근로자로서의 흡연 및 금연이 가지는 의미를 통합하여 사업장 기반의 근로자 흡연과 금연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여 병렬적으로 시행함으로써 결과를 수렴하고 통합하는 동시적 삼각화 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2017년도 ‘근로자 금연을 위한 담배연기 없는 사업장 모형 개발’연구 사업에서 수집된 이차자료를 활용하였다. 양적 연구는 참여 사업장 3개 소속 근로자 195명, 질적 연구는 동일 사업장 소속 흡연 근로자 1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각 연구 유형별 결과를 도출하여 이를 통합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 개인에게 있어 흡연은 행동 자체로의 의미가 부여되기보다 일상적인 습관의 일부로 실천되고 있었다. 근로자 직무 관련 개인 요인은 근로자의 흡연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흡연은 매일/원래 하던 습관이자 버릇이었을 뿐 반드시 흡연을 해야만 하는 이유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흡연 근로자의 금연에 있어서는 신체활동의 수행 및 기능과 관련성이 도출되었다. 신체활동의 실천여부가 흡연여부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흡연 근로자 대다수는 신체적 증상의 발현 경험을 금연의 계기로 삼고 있었다. 둘째, 근로자의 개인 간 요인에 대한 인식은 흡연 여부에 있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계형성의 수단으로써 흡연이 사용될 수 있었으며, 이를 매개로 흡연 근로자 간의 관계 형성이 가능해질 뿐 근로자의 사내 관계에 대한 인식은 근로자의 흡연 실천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요인에 있어 근로자 흡연은 직무요구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흡연 근로자들은 근무 중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흡연을 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업무량과 조율가능성, 근무 중 휴식시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흡연을 택하는 흡연 근로자가 많음에 따라 직무 요구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장의 정책 시행은 소속 근로자의 흡연여부와 관련성이 낮았으며, 다수의 흡연 근로자는 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양성 중심의 정책 구성보다 근로자가 체감할 수 있는 밀접성이 정책 구성의 더욱 중요한 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근무 직종 및 기업 규모의 다양성, 비흡연 및 과거 흡연자 대상 인터뷰 진행, 직무 환경 외의 요인을 포괄한 양적자료 수집을 후속 연구에 제언하였다.;Smoking in the workplace is not only a risk factor for personal health, but also causes loss of productivity in the workplace and harmful effects due to secondhand smoke. Same as with other health behaviors, smoking is influenced by the overall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individuals, thus it is necessary to use a multi-level approach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paramount to understand in depth the multi-level influencing factors and personal behavioral mechanisms affecting workers' smo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workers'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the workplace by integrating the multi - level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se two behaviors, and perceived implication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as workers. This study used convergent triangulation design which integrates the results by giving equal status to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executing it in parallel. The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the research project ‘Development of a smoke-free workplace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smoking cessation among employees’conducted in 2017.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195 workers from three participating workplaces, and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1 smokers from the same workplac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kers reported that smoking was an everyday life habit rather than an action having a particular meaning to them. Intrapersonal factors related to job duties did not affect workers' smoking status, and smoking was perceived as a daily habit, rather than a behavior that is performed because of a particular reason. In addition, the physical activity performance and capacity were related to workers’ decision to engage in smoking cessation.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the smoking status was also confirmed as the majority of the smokers decided to quit tobacco after experiencing negative physical symptoms. Second,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factors does not affect workers’ smoking behavior. Smoking behavior could serve as an intermediary to form relationships among smoking workers, while non-smoking workers have different ways to build u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co-worker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employees’ perception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not influencing whether workers smoke or not. Third,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workers' smoking behavior was closely related to job demands. Workers used smoking breaks to take a rest during work. Smoking workers’ perceptions of workload, their capacity to coordinate this workload, and break times during work were negative. Thus, since employees showed to engage in the consumption of cigarettes as a way to avoid stressful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reduce overloading job demands. Workplace policies to promote workers health had less influence in employees' smoking status, and in fact, many smoking workers tended to perceive them as negative. It can be confirmed that for workers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workplace health policies, employers should focus on allowing employees to directly experience the benefits of these policies,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implementing a diversity workplace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at future studies conduct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including a variety of job types and worksite size, conduct interviews with non-smokers and past smokers, and include other factors besides the job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