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4 Download: 0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과 시민 수요도 분석

Title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과 시민 수요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and Citizens Demand of Asia Culture Center : A Case Study on the ACC Theater and Academy
Authors
이가율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해리
Abstract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 설립의 단초는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선거 공약인 ‘광주문화수도 육성’이었다. 이 공약의 골자는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자원을 지역에 분산시켜 문화예술향유의 지리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국민의 문화적 평등을 실현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의 핵심 거점시설로써 문화전당의 설립도 함께 논의되었다. 광주에 문화전당을 설립하여 아시아문화의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높여 문화도시 광주를 육성하는 것이었다. 즉, 문화전당은 문화도시를 견인하기 위해‘아시아문화’를 중점적으로 콘텐츠를 창·제작하고, 광주의 문화발전소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문화기관을 통한 문화도시 융성전략의 성공 여부는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에 달려 있다. 특히 문화전당은 국내의 다른 복합문화공간과 달리‘아시아문화’를 중심에 내세운다는 특수성을 지닌다. 따라서 광주시민과 ‘아시아문화’의 괴리감을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광주시민들과 예술경영 연구자들은 오래전부터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콘텐츠가 난해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와 ‘아시아문화’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한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해왔다. 현재까지 문화전당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화전당의 건립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민의 문화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등 건립에 중점을 두었다. 반면, 문화전당이 지속적으로 선보일‘아시아문화’콘텐츠에 대한 광주시민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자는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민의 ‘아시아문화’이해도 및 ‘아시아문화’프로그램 수요도를 분석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정기적으로‘아시아문화’ 공연을 선보이는 예술극장과 일반 시민의 교육을 담당하는 시민아카데미의 역할이 중요하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및 시민아카데미의‘아시아문화’ 프로그램 현황과 구현방식을 유형별로 파악하고 시민의 수요도를 분석하였다. 광주시민들의 관점에서 ‘아시아문화’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와 수요도에 대해 접근하고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광주시민의 ‘아시아문화’ 이해도, ‘아시아문화’프로그램 선호방식, ‘아시아문화’프로그램 선호횟수, 향후 참여 의지, 프로그램 관심도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예술극장 혹은 시민아카데미의 ‘아시아문화’ 공연 및 교육 경험에 따른 ‘아시아문화’ 이해도나 선호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문화전당의 방문목적은 ‘아시아문화’ 이해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전당의 내부공간 이용객은 외부공간 이용객보다 ‘아시아문화’ 이해도가 더 높았으며, 향후 ‘아시아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지도 월등히 높았다. 이는 문화전당 내부공간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이 시민에게 이해도 및 수요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예술극장의 ‘아시아문화’공연 관람 경험 및 시민아카데미의 ‘아시아문화’교육 수강 경험은 아시아문화 이해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민아카데미의 교육 수강 경험은 예술극장의 ‘아시아문화’ 공연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전당에서 추구하는 선순환적 구동 원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방문목적 등 대부분 변수는 선호방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대다수가 ‘체험형’의 방식을 선호하였다. 즉, 현재 시민아카데미가 고수하는 강좌형 방식과 시민의 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전당이 추구하는 ‘아시아문화’의 컨셉이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화전당의 창·제작 및 교육프로그램이 추상적이고 난해하였다. 그러므로 시민들의 수요도와 괴리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문화전당 관련 선행연구에서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콘텐츠 난해성과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이 제기되어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화전당의‘아시아문화’ 프로그램 현황과 시민의 수요도 분석의 접근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예술극장과 시민아카데미의 사례만을 범위로 설정했다는 제한점을 지닌다. 따라서 향후문화정보원, 어린이문화원, 민주평화교류원, 문화창조원의 ‘아시아문화’ 콘텐츠 및 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에 활용되고, 나아가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starting point of the establishment of Asia Culture Center (under the ACC) was a Roh Moo-hyun’s election platform, ‘Promotion of Cultural Capital, Gwangju, Korea’ in 2002. The goal of the pledge was to spread the cultural resource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ease the geographic inequality of cultural art and realize the cultural equality of the people. Since then, the establishment of the ACC was discussed as a key hub for the Asia cultural hub project. It was to establish a ACC in Gwangju to build the foundation of Asian culture and foster the cultural city of Gwangju by enhancing the cultural value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ACC was established to create and produce contents focusing on 'Asia Culture' and to play the role of a cultural power plant in Gwangju. The success of the cultural city promotion strategy through cultural institutions depends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particular, unlike other cultural complexes in Korea, the ACC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putting ‘Asia culture’ at the center. Therefore,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resolve the gap between local resident and ‘Asia culture’. Gwangju residents and art management researchers have long pointed out that the content of ‘Asia Culture’ by the ACC is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that programs that can understand the contents are also quite limited. So far, studies of the ACC focused mainly on the construction of the ACC on the local economy and on the cultural value of the citizens of Gwangju. On the other hand, no study was found on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he citizens of Gwangju on the 'Asia Culture' content that the ACC has constantly introduced. Against this backdrop,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ACC and analyze the need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Asia Culture’and the demand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local people.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ACC theater that regularly presents 'Asia culture' and ACC Academy, who is in charge of education for ordinary citizens, was important and judg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ACC Theater and Academy of the ACC were identified and the citizens' demand was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to access understanding and demand level of 'Asia cultur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Gwangju residents.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understanding of 'Asia Culture' of Gwangju residents, preference for 'Asia Culture' program, number of preference for 'Asia Culture' program,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and interest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 Commission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r preference of 'Asia Culture'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an ACC theater or Academy.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found: First, the purpose of the visit was found to be different in understanding the 'Asia culture'. Specifically, the users of the inner space of the ACC had a higher understanding of 'Asia cultur' than the users of the outer space, and they were much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Asia Culture' program in the future. This can be said that the 'Asia Culture' program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CC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ublic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demand. Second, the experience of watching ‘Asian culture’ performances at ACC theater and taking ‘Asia culture’ classes by ACC Academy shows a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Asia culture’.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ACC acadamy' experience in education does not affect the ACC theater's understanding of ‘Asia culture’. This could raise questions about the virtuous circle driving principle pursued by the ACC Third, mos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visiting,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method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experience type' approach.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that the current ACC academy was held and the needs of citizens. In conclusion, the creation, production and education programs of the ACC were abstract and difficult because the concept of 'Asia Culture' pursued by the ACC was unclea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itizens' demand and the gap have occurred. Up until now, prior study related to the ACC has raised the importance of the ACC's 'Asia Culture' content 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However, it was hard to find a paper that focused on the pla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problems raised in prior research and attempted to approach the current statu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and the needs of citizens. However, this study limits the scope of only cases of ACC theater and Academy.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Asia Culture' contents and programs by the ACC Culteral Exchange, ACC Creation, ACC Archive&Research, ACC Children. We expect this research to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AC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공연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