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4 Download: 0

중년기 남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분석

Title
중년기 남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Men
Authors
홍선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보건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중년기 남성의 문제음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개입과 중재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을 포함해 개인을 둘러싼 환경 등 다각적 차원에서의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요인의 다층적 접근을 통해 문제음주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서울시, 인천, 경기도)에 거주하며 경제활동을 하는 중년기 남성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중 19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생태학적 요인(개인 수준의 요인, 개인 간 수준의 요인, 조직 수준의 요인, 지역 사회 및 공공정책 수준의 요인)과 문제음주의 총 2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카이제곱검정,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인 수도권 지역의 중년기 남성의 평균 연령 46.5세, 최종 학력은 대학 졸업 이상이 83.1%, 월평균 수입은 400만원 이상이 50.5%, 정규직이 57.7%, 사무직과 전문직이 각각 37.8%, 35.2%이었으며, 가족과 사는 대상자가 89.3%, 여가활동이나 취미활동은 61.2%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DIT-K로 측정한 연구대상자 전체 음주 수준은 12.13점이었다. 12점을 절단점으로 적정음주와 문제음주로 분석한 결과 적정음주군의 총점 평균은 6.46점, 문제음주군은 19.09점이었다. 문제음주군의 19.09점은 2016 건강검진통계연보 지침서(2017)에 따르면 알코올 남용(16~25점) 수준이며 WHO의 기준으로는 유해한 음주자로 간단한 개입과 상담이 필요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연령, 흡연, 절주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가족·친구의 음주 압력 및 규범, 직장 내 직무 스트레스 유발 환경과 음주문화, 거주 지역 내 음주 빈도와 경기장에서 스포츠 관람 시 음주 빈도 등이 문제음주 가능성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생태학적 요인을 차례로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문제음주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월평균 수입 300~399만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다음으로는 지역 내 음주 빈도, 가족·친구의 음주 규범, 직장 내 직무 스트레스 유발 환경, 사회적 지지, 직장 내 음주문화, 절주 자기효능감 순이었다. 주거환경의 알코올가용성과 음주 빈도, 개인 간 수준에서의 가족·친구의 음주 규범, 직장 내 직무 스트레스 유발 환경과 직장 내 음주문화가 개인 수준의 심리적인 요인보다 문제음주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향후 건강환경 조성을 위해 지역 사회에 대한 공공정책 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며 개인 간 수준에서의 가정지지의 자조 모임, 조직 수준에서의 직장의 음주문화의 체질 개선, 직무 스트레스의 심리적 조절력과 회복탄력성 등에 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Men. 196 middle-aged Men at 10 business places and 5 cultural fac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focused on two areas: ecological factors (intrapersonal level, interperson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community and public policy level), and the problem drinking of the study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middle-aged men in the study was 46.5 years. 83.1 percent of the men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or studied at postgraduate level. 50.5 percent of the men earned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more than 4 million won. 57.7 percent held permanent employment contracts. 73.0 percent were office and professional workers, while 4.6 percent worked in manufacturing. 89.3 percent lived with their family. 61.2 percent had leisure or hobbies. The average level of drinking was 12.13 points, which indicates problem drinking according to the AUDIT-K diagnostic criteria. By classify the cutting point by 12 points (AUDIT-K scores), the moderate drinking group consumed an average of 6.46 points and the problem drinking group consumed an average of 19.09 points, a figure which indicates alcohol abuse, requiring intervention and counseling. The study suggests that several ecological factors increase the likelihood of problem drinking. First and foremost among these is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more than 3 million to 3.99million won. Next is the level of drinking in the community, comes drinking norms of family and friends, followed by a stressful working environment, workplace drinking culture, lack of social support, and poorly self-efficacy for alcohol control. We found that the availability and frequency of alcohol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ssure on people to drink at the interpersonal level, and social norms had a greater impact on problem drinking than intra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engage in public policy-level interventions to create healthier environments in the future, self-help meetings, home support, tackle problematic workplace drinking cultures, help individuals overcome work-related stress,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보건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