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이지현-
dc.creator이지현-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3:0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3:0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3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30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31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무용작품 「돌아보다」에 관한 연구로, 2018년 6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홀1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작품을 바탕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안무 의도를 시작으로 작품에서 중심으로 다루는 개념, 그리고 예술적 구성의 순서로 기술하였으며 특히 주제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안무 의도에서 드러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안무자는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고 혼란을 느끼는 상황을 본인에게 집중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 해결의 방법으로 ‘기억’을 통해 자아를 깨우쳐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기억에 의해 지각이 변화되고 확장됨으로써 진정한 자아를 깨우칠 수 있음을 설명한 학자 베르그손의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하게 되었다. 베르그손의 지각론에 따르면 ‘기억’은 지각을 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변화, 확장될 수 있다고 말한다. 안무자는 이러한 ‘기억’을 오브제인 나뭇가지로 형상화하였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기억을 통한 자아의 회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안무자는 행동의 평면에서 꿈의 평면으로 가는 과정을 형상화하여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구현하고자 하였고,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충동인, 행동인, 몽상인’의 개념으로 각각 설명하였다. 이는 작품에서의 1, 2, 3장과 대응하며, 각 장의 주요 내용에 근거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충동인’과 같은 상태를 다룬 1장은 마치 자동인형과 같이 물질성에 집중된 상태이며 이는 곧 안무자의 문제의식이다. 따라서 뻗거나 휘두르는 강한 동작과, 빠른 이동으로 주제를 부각시켰다. 더불어 행동의 평면에서 모티브를 얻은 패턴과 조명을 사용하고, 음악 또한 강한 비트를 사용하였다. ‘행동인’과 같은 상태를 표현한 2장은 1장과 3장을 연결해주는 연결고리로 나의 내부에 집중하게 되는 장면이다. 따라서 무대 중앙의 오브제 속에서 움직임을 진행하며, 호흡을 바탕으로 창작하였다. 더불어 핀조명으로 시선을 집중시키고, 메인 음악인 불경으로 차분한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몽상인’의 상태를 모티브로 한 3장은 자신에게 최대로 집중함으로써 특수하고 개별적인 기억들을 모아 올바른 자아를 찾는 것이다. 안무자가 설정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동작과 오브제 사용은 앞선 1, 2장과는 달리 즉흥적이며, 다양한 조명과 음악을 통해 감정을 극대화시키고 안무자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인 기억을 통한 깨달음의 확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된 작품에서의 모든 요소들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개념을 통해 주제를 구체화하는 안무에 있어 주제를 동작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며, 보다 의미 있고 개성 있는 움직임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질적으로 더욱 풍부한 표현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청각적 요소 또한 작품을 풍부하게 해주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안무자이자 무용수인 본인이 직접 작품을 분석하고 스스로를 성찰하며 작품에 대한 근거와 방향을 보다 확실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는 무용작품 「돌아보다」에서 베르그손의 지각론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기억에 의한 지각의 확장을 형상화하여 표현하였다. 더불어 이를 작품에서 뿐만 아니라 안무자 본인의 삶 속에서 생각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혼란 속에서 헤매지 않고, 본인에게 집중해 참된 자아를 깨우치는 것은 기억을 통해 가능하며, 이는 무용수이자 안무자인 본인이 진정한 자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무용작품 「돌아보다」는 기억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안무자이자 무용수인 본인의 작품을 직접 분석함으로써 스스로를 성찰한 데 의의가 있다.;The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oreography 『Reminiscence』 that was conducted in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June 7th, 2018. The research starts with the purpose of the choreography, followed by essential concepts, and aesthetic composition. The research focused on how each section contributes to the expression of theme through the choreography, 『Reminiscence』. The purpose of the choreography is stated as follows: The choreographer is currently in the state of chaos and believes that this confusion is solvable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oneself. The research proposes “reminiscence” as one of the solutions to live a better life by recognizing one’s ego. The choreography further applies Bergson’s Perception Theory that asserts true ego is recognizable by the expansion and variation of perception. According to Bergson’s Perception Theory, “memory” could be varied and expanded as a crucial element for the perception. The choreographer visualized “memory” as a tree branch and usage of branch represents the restoration of ego through reminiscence. Additionally, the choreographer visualized the changing process of current moment of stimulus to the pure memory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which is the improvement of life and further applied the notion of “un impulsive”, “I’ homme d’action”, “un rêveur” represented in act 1, 2, 3, respectively. The first act expressing the state of “un impulsive” is the state that focuses on the materiality like automata, which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choreographer’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refore, to emphasize the theme, strong movements such as stretching, and swinging are used with rapid movements. Furthermore, stage design patterns and lighting with the motifs from current moment of stimulus was used, in addition to the music with strong beats. The second act expressing the state of “I homme d’action”, connects the first and third act, that focuses on the inner state of the choreographer. The movements are mainly conducted near the object that is centered on the stage mostly with the emphasis on breathing. Additionally, pin light is used for the concentration and Buddhist scripture was used as the main back ground music to create calm ambience. The third act expressing the state of “un rêveur”, concentrates to oneself in order to find the true ego through special and individual memories. Exploration of one’s ego is the main purpose for this choreography. Therefore, movements and usage of objects are mainly impromptu. Additionally, diversified music and light were used to express the maximized emotion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choreographer’s ego through reminiscence. The research provided the insight that all the factors and elements used for the choreography were inseparable. Visualizing the abstract concepts through movements completed the choreography more genuine, making the movements more qualitative. Visual and auditory factor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choreography. Therefore, the researcher has proved its significance and provided solid grounds for the choreography by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Consequently, the choreography 『reminiscence』 reflected the expansion of the perception through memory by applying Bergson’s Perception Theory. Furthermore, expansion of the perception was possible in the actual life of the choreographer itself. Therefore, current wandering in confusion could be solved through self-concentration and the realization of ego through memory, and this contributed to the choreographer to truly find one’s ego. The choreography 『reminiscence』 implies that better life is achievable through memory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with the self-realization and reflection of the choreographer by analyzing the choreograp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안무 의도 1 Ⅱ. 베르그손 지각론의 개념 3 Ⅲ. 무용작품 「돌아보다」의 구성 및 분석 9 A. 작품 주제 및 창작 방법 10 B. 공연 작품 분석 13 1. 1장 13 2. 2장 17 3. 3장 22 4. 오브제와 조명의 의미 26 Ⅴ. 작품을 마치며 37 참고문헌 39 ABSTRACT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763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작품 「돌아보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베르그손 지각론을 바탕으로-
dc.title.translatedA Choreographic Study on 「Reminiscence」(2018) of Lee Ji Hyun-
dc.creator.othernameLee, Ji Hyun-
dc.format.pagevii,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