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인간의 실존적 공허를 모티브로 한 무용창작작품 「눈을 마주보다」에 관한 연구

Title
인간의 실존적 공허를 모티브로 한 무용창작작품 「눈을 마주보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ewly Choreographed Work 「Looking into the eyes」 based on Existential Vacuum
Authors
배민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오늘날 자본주의 체제가 발전하면서 사회는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지만 임금과 소비양식의 차이에 따라 사람들의 계급을 나누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 속에서 사람들은 물질이 곧 행복이라는 가치관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타인과 비교하고 경쟁하면서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현대인들은 삶 속에서 내적 공허함과 무가치함을 느끼며, 우울감과 허무감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감정에 대하여 빅터 프랑클(Viktor Emil Frankl, 1905-1997)은 생존의 의미와 목적이 상실됨으로 허탈감에 빠진 현상에 대해 실존적 공허(existentential vacuum)라고 정의하였다. 자신의 존재가치와 삶의 의미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여겼던 그는 실존적 공허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로고테라피를 제시하였다. 로고테라피는 불안정한 자신을 수용하고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적극적인 태도로 살아갈 때에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생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실천함으로써 부정적인 감정들을 이겨낼 수 있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프랑클이 정의한 실존적 공허를 모티브로 무용창작작품 「눈을 마주보다」(2017)를 안무하여, 암담한 현실이라 할지라도 긍정적 태도로 삶을 바라보며 타인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가치와 의미를 찾아 실현할 때에 건강한 자아로서 성숙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을 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의 내용을 3장으로 구성하여 각 장면에 따라 주제 및 내용, 공간구성과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의 사용과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자신의 존재 가치와 정체성을 상실하게 된 주체가 느끼고 있는 실존적‘공허’를 주제로 절망, 좌절, 우울과 삶의 무가치함에 빠져있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작품은 암전상태에서 공허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여성의 허밍으로 시작하여 주체의 절망감과 고독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안무자가 설정한 무대 상수 앞쪽에 위치한 내면의 공간에 불안정한 자아를 상징하는 오브제를 두고, 차가운 이미지의 푸른색 탑 조명을 비추어 공간을 제한하였다. 그 안에서 무용수 A는 신체를 무겁게 떨어뜨리거나 다리로 무언가를 밀어내는 움직임의 반복을 통해 괴로움에 몸부림치는 심리를 표현하고, 추가되는 창살무늬 고보조명 효과를 통해 점점 더 깊은 공허감에 빠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빠른 속도로 신체레벨을 순간적으로 낮추거나 손목을 플렉스하며 밀어내는 동작으로 외부를 경계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이어서 오브제로 사용한 거울을 마주했다가 등을 돌려 현실의 공간으로 뛰어나가는 움직임을 통해 자신의 불안정한 내면을 부정하고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 주체가 이타심을 지닌 타인을 만나 삶의‘의미’를 발견하며 실존적 공허를 극복하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전반부에서 무용수 A는 주로 강하고 날카로운 움직임을 하는 반면, 새롭게 등장하는 무용수 B는 부드럽고 느린 속도의 움직임을 하며 상호 대조를 보인다. 즉, 주체는 자신의 심적 상태를 공감하며 다가오는 타인의 관심과 배려를 무시하고 상대에게 마음을 열지 못해 경계한다. 조명 역시 내면의 공간에는 푸른색과 창살무늬 고보조명을 비추고, 현실의 공간에서 등장한 무용수 B에게는 화이트 조명을 비춤으로써 주체의 차가운 내면과 타인의 밝고 순수한 분위기로 두 인물의 대비를 강조하였다. 이후 타인의 온정을 받아들이게 된 무용수 A의 내면인 오브제에 비추던 푸른색 조명이 따스한 느낌의 엠버 조명으로 전환되고, 무용수 B는 내면의 공간에 있던 오브제를 현실의 공간으로 조심스럽게 이동시킨다. 이때 무용수 A가 이동하는 오브제를 따라 걸어가는 움직임을 통해 타인의 사랑에 이끌려 자신의 가치를 찾으려는 의지가 주체에게 생겨나고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삶의 의미를 발견한 주체가‘행복’을 느끼고, 나아가 타인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성숙된 삶의 모습으로 변화됨을 나타내었다. 무용수 A가 신체를 부드럽게 쓰다듬고 끌어안거나 유연한 곡선의 움직임으로 주체의 회복과 자신을 사랑하게 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때 하수 뒤쪽에 탑 조명을 비추어 무용수 A가 거울에 매여 있던 검은색 끈을 제거하고 입고 있던 카디건을 벗어 던져 평온하고 안정적인 자아로 변화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부분에는 무용수 A가 오브제를 무대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오브제 뒤에서 한 팔로 이것을 끌어안을 때 따뜻한 느낌의 엠버 조명을 강하게 비추도록 의도하였는데, 이는 거울에 반사되는 빛의 시각적 효과로 주체가 타인의 관심으로 인해 존재의미를 발견한 것과 같이 타인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생겨나고 있음을 상징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 「눈을 마주보다」(2017)를 통해 삶에서 불가피하게 일어나는 실존적 공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로 삶을 바라보며 세상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가치를 찾는 것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스스로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여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음을 전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그러므로써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는 건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겪는 실패나 오류에도 유연하게 대처하여 자신과 타인을 사랑할 줄 알게 되어 자유의지로 삶의 의미를 찾는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하였다.;Society has achieved high economic growth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tic system that aims for pursuit of profits, but a phenomenon of dividing class of people according to wage and consumption pattern appeared. In such a society, people formed a wrong value of believing that material is happiness, and lost identity by comparing and competing with others. As a result, modern people feel emptiness inside and worthlessness in life, and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a sense of futility. Viktor Emil Frankl(1905-1997) is defining this phenomenon of falling into despondency by losing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as das existentielle Vakuum. He, who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value of existence and meaning of life, suggested logotherapy as a way for overcoming the existential vacuum. Logotherapy is a theory that suggests people can discover the meaning of their own unique life in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hen they accept their unstable self and live with a positive attitude in any situation, and can overcome negative emotions by practicing this attitude. This study choreographed a creative dance 「Looking into the eyes」(2017) with existential vacuum that Frankl has defined as a motif, and intended to convey that people can lead mature life as a healthy self when they look at life with positive attitude and find and realize their value and meaning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ociety even if they are in gloomy reality. To this end, this study constructed the content in 3 chapters and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topic, content, moving path and movement of the space usage, and use and meaning of objet. In chapter 1, this study expressed aspects of people in despair, frustration, depression, and worthless of life with existential ‘vacuum’ that people who lost value of their existence and identity as the topic. The dance performance started with a woman’s humming that creates a hollow feeling in darkness to highlight despair and feeling of loneliness. An objet that symbolizes unstable self is placed in inner space in front of the stage that the choreographer has set-up, and limited space by shooting blue lighting of the cold image from the top. The Dancer A expressed a mental state of writhing in pain by dropping her body heavily or through repetitive movement of legs of pushing something, and expressed the state of falling into deeper sense of emptiness with the added plaid pattern gobo lighting effect. Also, the dancer expressed an image of guarding herself from outside by lowering the physical level in a flash or with a movement of flexing and pushing with the wrist, and expressed an image of denying and evading her unstable inner-self through a movement of facing a mirror used as an objet, turning her back, and running out to the space of reality.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nd overcoming existential vacuum by meeting others with altruism was expressed in chapter 2. Whereas the Dancer A made powerful and sharp moves in the first half, the new Dancer B appearing on the stage expresses contrast by making soft and slow movements. Meaning, the subject becomes cautious by ignoring interest and consideration of others who are approaching and sympathizing with her mental state. The lighting also emphasized the contrast of the two characters with the cold inner-self of the subject and bright and pure tone by shooting a white light on Dancer B who appeared from reality space. Then, the blue lighting on object, the inner-self of Dancer A who accepted compassion from others, changed into warm amber lighting, and Dancer B carefully moved an object in inner space into the space of reality. At the moment, Dancer A intended to express that the will of finding the value of him/herself by love of others through a movement of walking along the object started to form. In chapter 3, this study expressed how the subject felt ‘happiness’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nd changed into a mature self who can have interest in others. Recovery of the subject and an image of loving others were expressed through the flexible movement of curves of Dancer A stroking and hugging a body and objet softly. This study intended to emphasize that Dancer A who removed a black strap from a mirror and took off and threw a cardigan that she was wearing changed into a calm and stable self by lighting the top light at the back of the sewage. In the last part, this study intended to move an objet to the center of the stage and to shoot warm amber lighting when he/she hugs an objet with one arm from the back, and this is for symbolizing that the subject became interested and started to love others like how he/she discovered the meaning of existence by interest from others with the visual effect of lighting that gets reflected on a mirror. This study intended to explain that it is important to look at life with positive attitude and to find our unique value in the world to overcome existential vacuum that happen inevitably in our life, and that we will be able to live actively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convey a message that these people not only react flexibly to failure or mistakes in everyday life because they live healthy life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ife, but can also enjoy true happin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on their free will as they know how to love themselves and 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