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1 Download: 0

영화 분석을 통한 한국과 일본 가족 비교 연구

Title
영화 분석을 통한 한국과 일본 가족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in Korea and Japan through Film Analysis
Authors
Nishiyama, China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함인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 영화 속의 가족의 모습을 비교 하여 영화가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과 영화 속에 담겨진 가족의 의미를 표상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영화는 〈바람난 가족〉(2003), 〈가족과 탄생〉(2006). 〈고령화 가족〉(2013), 〈만찬〉(2014)을, 일본영화로는 〈걸어도 걸어도〉(2009), 〈동경가족〉(2013),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영화들은 ‘정상가족’모델에서 균열이 생긴 가족을 다룬 것으로 이혼율 급증, 재혼, 비혼, 저출산, 고령화라는 현대 가족의 변화라는 사회적 배경을 반영한 영화들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영화 분석에 앞서 영화와 사회의 연관관계를 밝혀 영화 속의 가족의 모습은 사회의 모습이 반영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과 일본 영화에 제작년도를 보면 일곱 편 모두가 2000년대 이후에 제작된 영화로서 해당 시기는 한국의 1997년 경제위기, 일본의 1990년대 버블 붕괴로 인해 가족에게 큰 변화가 온 시점이다. 영화 분석은 인물 분석과 플롯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화 속의 가족들을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가부장의 좌절과 복원, 가족의 상실과 해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영상 속 가족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한국과 일본의 가족 이미지와 생활 문화까지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에서는 정상가족에서 새로운 가족 형태를 구성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가족은 해체를 하지만 또 다시 재구성 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 가족이 재구성 되는 과정에서 여성 중심이 되는 즉 ‘정상가족’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족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둘째, 가부장의 좌절과 복원에서는 가부장의 역할과 공간의 관계를 살펴 볼 수 있었으며 개인 공간을 상실한 가부장은 가부장의 위치를 상실한 것으로 보였다. 즉 한 가족 내에서 가부장의 권위는 공간 확보와 관계가 있었다. 또한 장남의 역할에도 차이가 났는데 〈만찬〉의 장남은 아버지를 이어 한 가족의 가부장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던 반면 〈동경가족〉의 장남은 가부장이 아닌 가족 구성원의 일원이라는 존재였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과 일본의 ‘효’의 의미로 인해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가족이 국가와 연결되는 범위 차이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가족 구성원의 상실은 가족에게 반드시 찾아오는 것이다. 하지만 사고에 의해서 찾아온 상실은 가족에게 큰 불행을 안겨주는 것이다. 〈바람난 가족〉, 〈걸어도 걸어도〉는 사고에 의해서 가족 구성원을 상실하여 가족에게 변화가 찾아왔다. 이러한 변화에는 형태적 해체와 심리적 해체로 나타났으며 젠더의 상하관계의 변화까지도 살펴 볼 수 있었다. 〈바람난 가족〉은 가족의 형태적 해체를 통해 여성의 권위를 찾았으며 이와 달리 〈걸어도 걸어도〉에서는 가족의 심리적 해체가 나타났으며 가부장의 존재는 유지되었다. 넷째, 한국과 일본 영화 속에 나타난 가족의 이미지를 분석해 보았는데 먼저 엄마의 모습을 비교하기 위해 〈고령화 가족〉과 〈걸어도 걸어도〉의 엄마의 모습을 보았다. 두 엄마는 대립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고령화 가족〉의 엄마는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 만능 엄마이지만 자기 주체성도 유지하는 엄마이다. 이와 달리 〈걸어도 걸어도〉의 엄마는 엄마의 의무를 다 하는 엄마이지만 이중적인 성격을 가진 엄마였다. 다음으로는 좌식과 입식으로 밥상의 형태에 따라 가족의 행복과 단합의 유무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또한 목욕과 이불 이미지로 가족과의 관계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곱 편의 영화 속에서 등장한 음식 분석으로서는 국민음식인 삼겹살과 카레를 비교 할 수 있었으며 삼겹살과 카레를 통해 가족 관계와 음식문화의 차이도 볼 수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일곱 편의 영화 속에 나타난 가족은 사회 변화에 따라 대응하여 변화하고 있다. 변화된 가족은 해체가 찾아와도 다시 재구성 되는 것이다. 또한 변화하는 가족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미래 가족의 모습도 예측 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가족 주거 형태로는 셰어하우스를 말 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는 ‘이에(家)’라는 제도로 인해 비혈연 가구라는 형태가 낯설지 않았다. 비혈연과의 공간공유를 함께 함으로서 단기형 셰어하우스가 아니라 장기형 셰어하우스를 만들어낸 것이다. 즉 장기형 셰어하우스의 구성원들은 ‘유사가족’으로 이들이 공유하는 일본의 신(新) 가족형태도 한국 가족은 배제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 가족은 찾아올 위기 상황에 맞는 가족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영화 분석을 통한 한국과 일본 가족 비교에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films reflect the reality of society and represent the meaning of family in films by comparing how families are portrayed in Korean and Japanese films. To do this, the study selected the Korean films 〈A Good Lawyer’s Wife〉(2003), 〈Family Ties〉(2006), 〈Boomerang Family〉(2013), and 〈The Dinner〉(2014), and Japanese films 〈Still Walking〉(2009), 〈Tokyo Family〉(2013), and 〈Our Little Sister〉(2015) to analyze. These selected films reflect current social issues such as increased divorce rates, remarriage, staying single by choice, low birthrates, and aging society, while dealing with plots of “normal families” being dissolved. By revealing the correlation between films and society before the film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portrayal of families in films reflect sociality. All seven Korean and Japanese films were produced after 2000, a time when families in both countries encountered massive changes due to the 1997 Korean economic crisis and the Japanese asset price bubble collapse in the 1990s. To examine how families were portrayed in film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s and plots of the selected films and found the plots could be categorized based on the themes of family break-up and reconstitution, frustration and restoration of the patriarch, and family loss and dissolution. Also, the study compared the image of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and their living cultures by analyzing the image of families portrayed in the films. As a result, first, in the family break-up and reconstitution category, normal families reconstructed into new forms of family;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broke up but reconstituted again. During the process of reconstitution, families departed from the matriarchal “normal family” framework and formed into new types of families. Second, from the frustration and restoration of the patriarch category,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and space of the patriarch, and found that patriarchs who lost their personal space also lost their position as the head of household. It could be seen that a patriarch’s authority was closely related to securement of space. This also led to a difference in the role of the eldest son. For example, the eldest son in 〈The Dinner〉 was found to have taken on the role of the head of household after his father. Contrary to this, the eldest son in 〈Tokyo Family〉 was not the patriarch but instead just a family member. This showed how the meaning of “filial duty” differed in Korea and Japan, and also can be said to be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 scope of a family would be versus the scope of a nation. Third, while the loss of a family member was inevitable to all families, losses due to accidents caused the most unhappiness. In 〈A Good Lawyer’s Wife〉 and 〈Still Walking〉, the families that lost a member due to an accident went through change. Change appeared in the forms of the dissolution of families and psychological break-ups. It was found that the hierarchy between genders also changed. In 〈A Good Lawyer’s Wife〉 the matriarch regained authority after the family dissolution, but contrary to this in 〈Still Walking〉 the patriarch continued to maintain his position after the family went through psychological break-up. Fourth, the study compared how families were portrayed in Korean and Japanese films. For this, the study looked into how mothers were portrayed in 〈Boomerang Family〉 and 〈Still Walking〉. The mothers in the two films showed conflicting characteristics. In 〈Boomerang Family〉 the mother was portrayed as sacrificing everything for her child, being versatile but all while maintaining her self-identity. However, in 〈Still Walking〉 the mother was portrayed as fulfilling her duty as a mother but having a split personality. Next,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happiness of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unity as a family by looking at whether the families ate meals sitting on the floor or on chairs. Also, by looking at bathroom scenes and blanket props in films it was possible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Finally,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most popular food in Korea and Japan, pork belly and curry respectively, by examining the food that appeared in the seven films. Pork belly and curry were related to family relationships, and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ood cultures. In other words, the families in the seven films respond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Families that changed were those that reconstituted after having gone through dissolution.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appearance of family, and it could be said that a new type of housing for families would be shared housing. In Japan, the concept of unrelated household members is not unfamiliar due to the “ie” family system. By sharing space with unrelated household members, long-term shared housing was formed instead of short-term shared housing. Members of shared houses referred to each other as “extended family”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Japanese examples of sharing with “extended family” can not be ignored by Korean families. Therefore,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need strategies appropriate to the crises that they will soon have to face. This study aims to be basic data for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amilies through movie analy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