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7 Download: 0

숙달도와 거주기간, 노출시간이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 표현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숙달도와 거주기간, 노출시간이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 표현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roficiency, Residence period, and Exposure Time on Thai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Irony Expressions
Authors
박예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축자적 의미와 비축자적 의미가 다른 반어 표현에 주목하였다. 반어 표현은 어느 언어권에나 존재하지만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나므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그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부담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반어법 실현 요소를 정리한 뒤 이를 토대로 반어 표현 이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학습자가 한국어의 반어 표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구성과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찾아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반어법에 대한 연구와 학습자 변인에 대한 연구 두 부분으로 나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출된연구 문제 1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가 반어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는 ‘숙달도와 거주기간, 노출 시간이 학습자가 반어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한국어 반어법에 대해 알아보았다.반어법의 정의와 기능, 실현 요소를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 도구에 사용할 반어 표현을 유형별로 선택하였다. 반어법의 정의는 한길(2005)에 따라 ‘축자적 의미와 비축자적 의미 사이의 관계가 반대관계나 모순관계에 놓이며 뜻을 세게 나타내는, 문장에 내재하는 규칙 체계’로 보았고, 그 기능은 강조와, 빈정거림․비꼼, 칭찬․인정 등으로 보았다. 반어법의 실현 요소는 음운론(억양, 음운, 장단)과 문법론(어휘, 어미, 표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을 연구 절차, 실험 참여자,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방법에 의거하여 기술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56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28명이며, 태국인 학습자는 태국 소재 대학교의 한국어과 전공생과 부전공생이다. 숙달도 변인을 고려하기 위하여 태국인 학습자는 숙달도 평가를 별도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숙달도 상하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태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반어 표현 이해 실험을 실시한 뒤,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전반적으로 학습자는 모어 화자에 비해 한국어 반어 표현에 대한 이해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숙달도 상하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총 세 집단의 반어 실현 유형별 점수를 사후검정(Scheffe’s test)한 결과에 의하면 어휘와 표현 유형에서 세 집단의 차이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 집단은 어휘와 표현이 본디 의미와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에 이해하기 어려워했으며, 숙달도가 높을수록 문법에 주의를 기울이고 숙달도가 낮을수록 상황에 의존하여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숙달도와 거주기간, 한국어 노출 시간이 반어 표현 이해에 어떤 영향력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행한 결과, 숙달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다음,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어 학습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반어 표현 이해에 주목하였고,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학습자의 반어 표현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노출 시간이 이해도를 예측하는 데에 있어 정량적 요인뿐 아니라 정성적 요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를 심층적으로 접근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남기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This study focuses on ironic expressions in Korean which hav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non-literal meaning. Ironic expressions exist in any language, however, they differ in the way they are expressed, thereby causing difficulty for foreign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foreign learners understand irony in Korean by summarizing the functions and realization ele7ments of ironic expressions in Korean, developing evaluation questions based on such analysis, and conducting an experiment on Thai students with the questions.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each chapter in the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re clarified and the previous research is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s: studies on Korean irony and studies on learner variable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efined: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ai learners in understanding Korean ironic expressions? (2) Do the learner variables such as proficiency, residence period in Korea, and exposure time affect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irony? In chapter Ⅱ, the study explores Korean irony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The definitions, functions and realization elements of irony are summarized and based on this, ironic expressions to be used in the experiment are selected by type. The study adopts the definition of irony proposed by Han Gil(2005) as ‘the rule system underlying in a sentence which strengthens the meaning of the sentence by showing opposite or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non-literal meaning’. Its functions include emphasis, sarcasm, praise and recognition. The realization elements of irony are divided into phonology (intonation, pitch, length) and grammar (vocabulary, ending, expression). In chapter Ⅲ, the research procedure, participants, research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are described. Participants were 56 Thai learners and 28 native Korean speakers. Thai learners consist of those who major in Korean and those with a minor in Koreanin a university in Thailand. In order to consider the variables of proficiency, a proficiency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Thai learner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After implementing an experiment on Korean ironic expressions with Thai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esigned in Chapter Ⅲ are analyzed. In general,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ai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understanding Korean ironic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cheffe’s test on ironic realization scores for each type among the three groups including low- and high-proficiency groups and native Korean group, the gap in vocabulary and expression types among thos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two Korean learner groups had trouble in understanding when vocabulary and expressions were supposed to be interpreted o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s. And the more proficiency the learners have, they paid more attention to grammar; and the lower proficiency the learners have, they tended to depend on the situation. Besides,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tial factor in comprehension of ironic expressions was proficiency alone.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n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stud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ironic expressions which are rarely studi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ai learners who are currently showing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emonstr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ironic expressions which were not dealt with in the previous studies. Nonetheless, although it discovered that the study there could be more mediator variable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posure time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such as types of resources to be exposed, the study does not cover in-depth discussion about it. Therefore, the author hope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