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과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 연구

Title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과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se of the connective ending and closing ending -Ketun by Chinese speakers and the response of Korean speakers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ocus on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 the connective ending and close ending ‘-Ketun' and how native Korean speakers respond to their usage of this ending. The responses of the Korean speakers were evaluated based on level of acceptance and acceptance attitude. Chapter I st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Previous researches on L2 learners' use of Korean connective ending and close ending ‘-Ketun' were reviewed and through this process, possibl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creat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Korean learners of Chinese differ from native Korean speakers depending on their proficiency in the production of the connective ending ‘-Ketun' and the final ending ‘-Ketu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how Korean learners of Chinese differ from native Korean speakers depending on their proficiency in the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the connective ending ‘-Ketun' and final ending ‘-Ketun'.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responses of native Korean speakers to their usage of the connective ending ‘-Ketun' and the final ending ‘-Ketun' of Korean learners of Chinese? Chapter Ⅱ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Previous researches were used to summarize the contextual, semantic, and inton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and close ending ‘-Ketun', and questionnaires to be used in this study were formed based on these findings. Chapter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5 native speakers of Korean(KKs) and 45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Ks). The C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CKs and low CK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The CKs participated in a test to observe their usage and understanding of the ending ‘-Ketun' and the reactions of the KKs. In Chapter IV,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obtained dat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hen verified through this analysis. First, Chinese learners of Korean speaks the production of the closing ending ‘-Ketun' differently from the KK regardless of their language proficiency. Seco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differ from the KK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the connective endings and the close ending. Third, the Korean native speakers have shown a significant negative response to the usage of the close ending, ‘-Ketun' which was spoke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Finally, in Chapter V, the conclusions were made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escribe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shows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nd close ending and furthermore the responses of Korean speakers for the Chinese learners’usag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effective teaching of the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nd close ending should be conducted at Korean education sites.;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과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인 모어 화자의 반응으로는 용인 가능성과 수용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생산에 있어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의미기능 이해에 있어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즉 용인 가능성과 수용 태도)은 어떠한가이다. Ⅱ장에서는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통사적·의미적·억양 특성을 정리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할 문항 구성표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각 기능별 상황을 설정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도구를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반응 실험 도구도 마련하였다. 실험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45명,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45명 총 9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후 결과 분석과 함께 연구문제를 확인하였다.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생산에 있어 ‘부담줄이기’ 기능에서 숙달도에 상관없이 KK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의미 기능 이해에 있어 숙달도에 따라 KK와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한국어 모어 화자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의 사용에 있어 ‘부담줄이기’ 기능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계에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에 대한 사용을 밝히고자 한 데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반응까지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연결어미와 종결어미 ‘-거든’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