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4 Download: 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우울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

Title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우울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
Other Titles
Actor-Partner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Happines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mong Fathers an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uthors
배주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Belsky(1984)의 자녀양육과정 모델과 Cook과 Kenny(2005)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을 이론적 틀로 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우울감, 양육행동의 각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상대방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 및 우울감의 매개효과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중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만 4세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 각 1,6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모의 결혼만족도 척도는 캔자스 결혼만족도 척도(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KMSS])(Schumm, Nichols, Schectman, & Grigsby, 1983)를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수정한 Chung(2004)의 척도이다. 부모의 행복감 척도는 Lyubomirsky와 Lepper(1999)의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happiness) 척도를, 부모의 우울감 척도는 Kessler 등(2002)의 우울 척도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번안한 것이다.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는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조복희 등(1999)의 문항을 참고하여 자체 제작한 것이다. 먼저, 부모의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우울감, 양육행동의 각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상대방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온정성과 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인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행복감이 온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정적인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나,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의 행복감이 아버지의 온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인 효과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행복감이 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정적인 자기효과만 나타났다. 부모의 우울감이 온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우울감이 온정성에 미치는 정적인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는 아버지의 우울감이 어머니의 온정성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우울감이 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아버지의 우울감이 부모의 통제성에 미치는 부적인 자기효과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게 부적인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를 살펴보면, 자기효과는 어머니의 경우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온정성과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통제성 간의 관계와, 아버지의 경우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통제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아버지의 경우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온정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온정성 간의 관계와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통제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를 살펴보면, 자기효과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 우울감 및 온정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상대방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우울감이 자신의 온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결혼만족도, 행복감 및 우울감,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자기 자신의 영향과 부부 서로 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부모가 긍정적 양육행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긍정적 부부관계를 형성하고, 본인의 행복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낮추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부부 서로 간의 행복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행복감과 우울감은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서로 독립적 특성을 가짐을 밝혔다. 따라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위해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위한 부모 교육 및 상담 현장이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Guided by the theoretical frames applying Belsky's(1984) parenting process model and Cook & Kenny's(2005)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or-partner effects among variables including marital satisfaction, happines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for parent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he actor-partner effects for the mediation effects of a happiness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parents having four-year-olds from 1,513 families that participated in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below. To begin with, the study investigated the actor-partner effects among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sense of happiness and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Firstly,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warmth,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shown from fathers and mothers, and it was the same for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control. Secondly,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sense of happiness on the warmth, there were actor effects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but in terms of the partner effects only maternal happiness had an effect on paternal warmth. Besides,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sense of happiness on the control, both fathers and mothers showed the actor effects only.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depression on the warmth, both fathers and mothers showed the actor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warmth with the partner effect of paternal depression on the maternal warmth. Also,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depression on the controlling parenting, there was a negative actor effect of paternal depression on parents' control only. Thirdly,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happiness, there were actor-partner effects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Furthermore, as for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depression,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shown from fathers and mothers. Followings show the actor-partner effects for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ense of happiness and depression in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parenting behavior. As for the actor effects for the mediation effects of happiness in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parenting behavior, there was a complete mediation and partial meditation effect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and as for the partner effects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fluencing each other by way of the sense of happiness. Next, as for the actor effects for th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on the warmth,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and as for the partner effects there was also complete mediation effect influencing each other through the sense of depression. The study identified marital interdependence and dynamics for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actor-partner effects among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sense of happiness and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parents have to establish positive marital relations and make mutual efforts for increasing their happiness and lowering their depression beyond their own for th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Moreover, this research found out happiness and depression have characteristics independent from each other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Henc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efforts for reducing negative affects like depression and enhancing happiness should be made together at the same time for parent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arent counselling or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