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한혜진-
dc.creator한혜진-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5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0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0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기자비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36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Brennan, Clark와 Shaver(1998)가 개발하고 Fraley, Waller와 Brennan(2000)이 개정한 친밀한 관계에서의 경험-개정판(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을 김성현(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번안 및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자비는 Neff(2003b)가 개발하고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와 이우경(2008)이 번안한 자기자비 척도(Self-Compassion Scale [SC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뒤,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의 두 하위 요인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낮았다. 둘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자기자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자기자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가 유의하였다. 즉,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낮을수록 자기자비가 높았으며,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았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자기자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밝히고,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자기자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삶의 질 저하를 호소하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본격적인 사회 진출을 준비하며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compass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 total of 360 undergraduate students (75 males and 285 females)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included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analyzed applying t-test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reported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had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compassion. Attachment anxiety had greater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compassion than attachment avoid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on undergraduate students’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counseling programs which would help undergraduate students suffering from poor quality of life as they are under pressure to be productive and responsible members of the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심리적 안녕감 6 B.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8 C. 성인애착, 자기자비 및 심리적 안녕감 12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6 A. 연구문제 16 B. 용어정의 17 Ⅳ.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9 B. 측정도구 21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3 Ⅴ. 연구결과 25 A. 예비분석 25 B. 변인 간 상관관계 25 C. 측정모형 분석 27 D. 구조모형 분석 32 Ⅵ. 논의 및 결론 35 참고문헌 41 부록. 질문지 52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43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dc.creator.othernameHan, Hye Jin-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