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세영-
dc.contributor.author이정희-
dc.creator이정희-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5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7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7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기분화,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 간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어머니 분리불안과 과보호 양육행동을 통하여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하여 Bowen의 다세대 전이 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기보고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자기분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혜정과 조은경(2007)이 개발한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분리불안은 Hock, McBride와 Gnezda(1989)가 개발한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MSAS)’ 중 일부인 ‘어머니의 일반적인 분리불안’ 요인을 안지영과 도현심(1998)이 번안하고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과보호 양육행동은 박성연과 이숙(1990)이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척도’의 하위요인 중 ‘과보호’를 강지수(2004)가 일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분리불안은 이주혜(1980)가 개발한 ‘유아의 낯가림 및 유기불안 검사척도’를 류정민(2015)이 일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일반적 경향,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및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빈도분석,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기분화,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이 높았고,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높을수록 과보호 양육행동과 유아의 분리불안이 높았으며, 과보호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분리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분화는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분리불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분리불안 수준이 높았다. 또한, 자기분화 수준이 낮은 어머니일수록 분리불안을 많이 느끼고 과보호 양육행동을 많이 하며, 이러한 어머니의 자녀는 분리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낮은 자기분화 수준 또는 높은 불안을 흡수한 유아는 어머니와의 낮은 정서적 분리의 정도를 형성하여, 강한 불안을 유발하기 쉽다는 Bowen의 다세대 전이 개념을 지지한다는 데 가치가 있다. 또한, 어머니 자기분화가 어머니-유아 관계와 유아의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적 건강 및 양육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differentiation of sel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Also, the effects of maternal differentiation of self on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throug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were investigated. Mothers of 411 children (3-5 years old)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eir differentiation of self,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chlidren’s separation anxiet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s, Pearson’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differentiatio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Second, maternal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throug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Children whose mother has low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howed higher level of separation anxiety. Also, mothers with low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showed higher level of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which contributed to high level of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ed Bowen’s concept of multigeneration transmission process by comprehensively confirming maternal differentiation of sel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Also,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of self, which has been mainly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 with marital relationship or adults’ internal traits,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is research offers a foundation to parent education for maternal psychological health and parenting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분리불안 6 B.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유아의 분리불안 8 C. 어머니의 자기분화, 분리불안 및 유아의 분리불안 11 D. 어머니의 자기분화, 과보호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 15 E. 어머니의 자기분화, 분리불안, 과보호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 20 III.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23 A. 연구문제 23 B. 용어정의 24 IV.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조사도구 28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31 V. 연구결과 33 A. 기초분석 33 B. 상관관계 분석 34 C. 측정모형 분석 36 D. 구조모형 분석 40 VI. 논의 및 결론 44 참고문헌 55 부록(질문지) 67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27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의 자기분화,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과보호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aternal Differentiation of Sel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on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dc.creator.othernameLee, Jung-hee-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