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이보미-
dc.creator이보미-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5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7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76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이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김해시, 광주시에 소재한 4곳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생 아동 327명(남아 156명, 여아 17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Mageau 등(2015)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 중 자율성 지지에 대한 12문항을 서혜윤(2017)이 번안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Williams와 Deci(1996)가 개발하고 Jang 등(2009)의 연구에서 한국어로 번안한 학습 풍토 질문지(The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 [LCQ])를 사용하였다.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중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요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지연행동은 최윤정과 김성회(2008)가 개발한 고학년용 학업적 꾸물거림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예비분석으로 독립표본 t 검정과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본 분석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중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만이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자율성을 지지한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은 학업지연행동을 적게 보였다. 반면에,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접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와 교사가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아동의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수준이 높았으며, 이는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의 감소로 이어졌다. 즉, 어머니와 교사가 자율성을 지지해준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은 자신의 학업을 스스로 조절 및 관리할 수 있다는 효능감을 더 높게 느꼈으며 학업지연행동을 적게 보였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개인 내적 요인인 아동의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을 통해 부적응적인 학습태도의 한 형태인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학업지연행동이 만성적 습관으로 고착되기 이전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원인 탐색을 함으로써 적응적인 학습태도 형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학업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적 요인으로 어머니뿐만 아니라 교사의 자율성 지지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자율성 지지를 통해 개인 내적 요인인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아동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모와 교사 대상 교육프로그램과 아동 대상 학습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rect effects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 total of 372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regarding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items from the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 Mageau et al., 2015), the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 (LCQ; Williams & Deci, 1996), Academic Self-Efficacy(Kim, A. Y. & Park, I. Y.), and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Choi, Y. J. & Kim, S. H.).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ntrast, teachers' autonomy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That is,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thers' autonomy support tended to show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regarding indirect path,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displayed higher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which consequently reduced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ddition, these indirect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one of maladaptive academic behaviors, throug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s a psychological fa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d essential information that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n adaptive learning behavior in the case of children in the middle childhood who are yet to have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s a chronic, habitual fixation. In addition, it proved that to reduce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as well as mothers is important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that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s a psychological facto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can be decreased, ultimately helping children to engage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e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learning programs for parents, teachers, and children to reduce children's academic procrastin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학업지연행동 6 B.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업지연행동 8 C.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및 학업지연행동 11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8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8 B. 용어정의 19 Ⅳ.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조사도구 21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4 Ⅴ. 연구결과 26 A. 예비분석 26 B. 측정모형 분석 29 C. 구조모형 분석 30 Ⅵ. 논의 및 결론 35 참고문헌 42 부록. 설문지 56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13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on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dc.creator.othernameLee, Bo Mi-
dc.format.pagev,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