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이맑음-
dc.creator이맑음-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5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01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의 놀이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7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주희(2001)가 개발한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놀이성은 Barnett(1991)가 제작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김미숙(2001)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기초하여 이병래(1997)가 개발한 유아용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도현심(1994)이 제작한 사회적 능력 척도 유치원용(Social Competence Scale- Kindergarte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접근법에 근거하여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온정·격려와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더 보일수록 유아의 놀이성 수준이 높았다. 반면, 어머니가 과보호·허용적인 양육행동과 거부·방임적인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놀이성 수준이 낮았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가 온정·격려와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이 높았다. 반면, 어머니가 거부·방임적인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놀이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온정·격려와 거부·방임적인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의 놀이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은 어머니의 한계설정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기의 놀이성의 특성 및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 내적 요인인 유아의 놀이성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유아의 건강한 정서발달 및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영향력을 동시에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유아의 놀이성 증진을 위한 환경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playfulness, and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preschoolers’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was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73 mothers with 3 to 5 year old preschoolers. Mot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oncerning their parenting behavior, their preschool-aged childrens playfulness,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behavior and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 levels of preschoolers ’playfulness, whereas overprotective–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and rejective-neglectful parenting behavior were related to low levels of playfulness. Second, preschoolers’ playfulnes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Third,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behavior and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In contrast, rejective-neglectful parenting behavi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w levels of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Fourth, preschoolers’ playfulness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That is, preschooler’s play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behavior and rejective-neglectfu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Also, preschoolers’ playful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eschoolers’ playfulness i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Findings from this study would help to develop programs that are intended to improve preschoolers’ playful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의 놀이성 7 B.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9 C.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 11 D.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 14 E.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놀이성,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 16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19 A. 연구문제 19 B. 용어정의 20 Ⅳ.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조사도구 23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7 Ⅴ. 연구결과 29 A. 예비분석 29 B. 변인 간 상관관계 30 C.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놀이성의 매개효과 31 Ⅵ. 논의 및 결론 42 참고문헌 51 부록. 설문지 66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09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유아의 놀이성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Playfulness-
dc.creator.othernameLee, Malgeum-
dc.format.pagev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