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4 Download: 0

여자대학생의 인스타그램 뷰잉(Viewing) 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여자대학생의 인스타그램 뷰잉(Viewing) 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stagram Viewing Activity,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on Self-Esteem of Women Undergraduate Students
Authors
문지윤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여자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시 Viewing 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자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을 통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여대생의 인스타그램 Viewing 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Meier와 Gray(2014)가 개발한 Instagram Photo Activity Index 중 2문항을 연구자가 번안하고 아동학 전공자가 검토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체비교를 측정하기 위해서 Thompson, Heinberg 와 Tantleff(1991)가 개발한 신체 외모에 대한 비교척도(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Scale; PACS)와 Tiggermann과 Mcgill(2004)이 개발한 구체적인 신체특성에 대한 비교척도 (Specific Attributes Comparison Scale; SACS)를 손은정 (200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Mendelson과 White(1993)가 개발한 신체자아존중감(The Revised Body-Esteem Scale)척도를 이정숙(200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스타그램 Viewing 활동은 신체비교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인스타그램 Viewing 활동이 많을수록 신체비교가 증가하고 이는 자아존중감 저하로 이어졌다. 둘째, 인스타그램 Viewing 활동은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인스타그램 Viewing 활동이 많을수록 신체비교가 증가하고 신체비교가 증가함에 따라 신체만족도가 줄어들었다. 신체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기 때문에 신체만족도의 감소는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인스타그램 Viewing 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각적 자극이 높은 소셜 미디어의 증가에 비해 SNS의 Viewing 활동과 관련한 선행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인스타그램의 Viewing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 의하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가 여대생의 섭식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소셜 미디어 사용과 관련한 교육 및 여대생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tagram viewing activity,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on self-esteem of women undergraduate students. In doing so, a total of 219 women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Instagram viewing activity, body comparison,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MO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stagram viewing activity had indirect effect on self-esteem through body comparison. Second, Instagram viewing activity indirectly influenced self-esteem through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To be specific, the more Instagram viewing activity is the more comparing self body to other’s body. And body comparison decrease body satisfaction, ultimately body satisfaction decrease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 the foundation in counselling to prevent women’s eating disorder that is caused by decreased body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