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김민주-
dc.creator김민주-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4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00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4, 5세 유아(남아: 156명, 여아: 159명)를 자녀로 둔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상위정서는 배지우(2010)가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척도(Parent Meta-Emotion Scale [PM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Fabes, Eisenberg와 Bernzweig(1990)이 개발한 CCNES(Coping with Child's Negative Emotions Scale)를 김희정(1994)이 수정,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Rothbart, Ahadi, Hershey와 Fisher(2001)가 개발한 유아용 기질 척도(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CBQ])를 Putnam과 Rothbart(2006)가 만 3-7세 아동을 대상으로 간편화하고 타당화한 기질 평가지(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CBQ-SF]) 중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는 문항을 배윤진(2012)이 수정,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한 유아용 행동평가 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를 오경자와 김영아(2008)가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으로 수정,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MACRO PROCESS의 3.1 버전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각각 매개역할을 하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순차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및 중재와 관련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성찰하고 긍정적인 상위정서를 도모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maternal meta-emotion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s through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 total of 315 mothers whose children were 4 to 5 years old age (156 boys and 159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at includes their meta-emotion, their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i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path analyses through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v3.1.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meta-emo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non-supportive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However, maternal supportive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ir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Lastly, maternal meta-emotion had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non-supportive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c source that can prevent and interven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rovide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6 B. 어머니의 상위정서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8 C. 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10 D. 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내재화 문제행동 14 E. 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내재화 문제행동 17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20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0 B. 용어정의 21 Ⅳ.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조사도구 24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8 Ⅴ. 연구결과 31 A. 예비분석 31 B.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1 C.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33 Ⅵ. 논의 및 결론 41 참고문헌 50 부록. 질문지 65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04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aternal Meta-Emotion,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dc.creator.othernameKim, Min Ju-
dc.format.pagev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