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윤예전-
dc.creator윤예전-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39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3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4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42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1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배가사에서 나타난 화자의 세계 인식을 기반으로 한 가사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교육에서는 지속적으로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해 왔으며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성장을 위한 방안을 고민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배가사에 나타난 화자의 세계 인식을 교육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삶과 세계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성찰하며, 세계를 향유하는 주체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두었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세계 인식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를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까지의 가사 교육 현황을 살피면서 본 연구에서 제재로 선정한 유배가사의 특징과 분류상의 문제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 내에 조선 후기 가사 작품이 거의 수록되지 않는다는 것과 유배가사 분류에 있어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대부분의 유배가사가 속한 조선 후기 가사 전반의 교육적 의의를 살피는 동시에 유배가사의 분류상의 문제에 대해서는 연군가사 및 기행가사와 구분되는 유배가사의 특징을 살펴 이들 갈래의 특징을 명확히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배가사에서 드러난 화자의 세계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유배가사의 특징적인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면서도 학습자가 가사 갈래를 문학의 본질을 반영하는 문학 갈래로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본격적으로 작품에 드러난 세계 인식을 논의하기 이전 ‘세계’ 개념에 대해 문학교육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철학적 논의 일반에서 전개되었던 세계의 일반적 정의를 살폈다. 서양 철학에서 이분법적으로 세계를 인식한 데에서 시작하여 하이데거의 ‘삶의 놀이’로서의 세계까지를 살폈으며, 동양 철학에서 무속적, 불교적, 도가적, 유교적 세계관을 살피며 유배가사 속에 반영된 세계관의 특징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로써 ‘세계’라는 개념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유배가사에서 나타나는 ‘세계’를 문학교육적으로 재정의하면서 ‘삶의 질서와 관계, 체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영역’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기존의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포함되어 왔던 ‘세계’의 불명확한 의미를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론적 검토를 기반으로 하여 Ⅲ장에서는 유배가사 각 작품에 드러난 구체적인 세계 인식 양상을 검토하였다. 유배가사는 작가의 개인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하기에 주제와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작품의 내용 구조와 함께 그 속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와 정서에 따라 네 부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계 인식의 양상은 ‘관계 형성의 시도와 좌절을 통한 단절된 세계의 인식’, ‘당위적 가치 추구를 통한 부당한 세계의 인식’, ‘갈등과 해결의 반복을 통한 질서로서의 세계의 인식’, ‘장소의 이동을 통한 정체성 갈등의 장으로서의 세계의 인식’으로 구체화하였다. 유배가사에 나타나는 화자는 유배라는 형벌을 통해 유배의 본질인 관계에서의 단절을 강하게 인식하여 단절감과 절망감을 표출하기도 하며, 자신의 가치관을 통해 세계의 질서와 현실을 강하게 비판하기도 한다. 또한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내용의 구조와 흐름에서 갈등의 발생과 갈등에 대한 해결이 반복되면서 그 속에서 획득한 삶에 대한 진리, 깨달음을 표현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유배가사는 타의적인 공간 이동을 계기로 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간의 이동과 장소의 형성은 화자의 정체성 형성과 충돌로 이어진다. 화자는 유배지라는 장소에 대해 긍정적·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 그 속에서 정체성의 불화를 겪는다. 이러한 다양한 세계 인식의 양상을 통해 학습자는 삶의 역경(逆境)에 대응하는 태도의 다양성을 이해하면서 자신의 삶과 스스로의 자아 정체성, 더 나아가 스스로가 바라보는 세계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세계 인식의 활용을 위한 교육적 전제와 함께 세계 인식을 기반으로 한 교육 내용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네 가지의 방안으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자신의 삶에서 겪는 역경 속에서 감정을 토로하고 자신을 치유하는 기제를 형성한다. 둘째, 화자의 가치관을 이해하며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세계를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셋째, 자신이 처한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통해 자아와 일상의 의미를 성찰한다. 넷째, 유배가사는 역사적 맥락에 크게 의존하여 창작되기에 문학과 역사를 연계하여 학습하며 이를 토대로 작품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이해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과 세계의 관계를 인식하고, 인지적·정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의 의의는 크게 고전문학교육에서의 의의와 학습자의 수용에 관련된 의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고전문학에서 유배가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질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질을 바탕으로 하는 작품 갈래의 이해는 시·공간적 거리감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고 보았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경험의 확장과 세계의 향유를 또 다른 교육적 의의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문학을 향유하면서, 일상의 순간을 무의미하게 지나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품 속의 유사한 상황으로부터 자신의 관점에서 스스로의 세계 인식을 담아 작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문학을 능동적으로 향유하고 자신의 삶과 세계를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유배가사를 포함한 고전시가 교육 및 고전문학 교육에서 세계 인식과 그 교육적 적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교육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삶을 향유하고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실천에 대한 논의 역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focused on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methods of Gasa(歌辭) educ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in the Exile Gasa(流配歌辭). Literature Education aims at understanding humans and the world consistently and has been concerned abou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growth of learner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is to lead the learners to be aware of their own lives and the world sensitively and grow up as subjects who enjoy the world with help from poetic speakers in the Exile Gasa.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frameworks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It reviewed the status of Gasa education and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le Gasa and the issues of classifying its gen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asa created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was rare in the textbooks and it was problematic that the genre of the Exile Gasa was uncertai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overall Gasa cre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the majority of Exile Gasa was created. At the same time, it also examin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xile Gasa different from Yeongun Gasa(戀君歌辭) and Travel Gasa(紀行歌辭).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distinctive aspects of the Exile Gasa and it genre which reflected the essence of literature were explored. Prior to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in the Exile Gasa, the study reviewed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world(世界) for its usage in literature education. The philosophical ideas throughout the European history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the view of the world by Plato and Aristotle, Descartes, Kant and Heidegger. Also, the history of the Eastern Asian philosophy, especially in the Joseon(朝鮮) Dynasty,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as well: the shamanistic, Buddhist, Taoist and Confucian view of the world. The study hereby could understand the diversity of the definitions of the world and redefine it suitable for literature education. The term ‘world’ was defined as ‘a comprehensive area including others, abstract orders and systems, material objects and places around humans.’ This was significant in that it gave shape to the unclear meanings of the ‘worl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chapter III examined the specific recognition of the world. The Exile Gasa had a wide variety of themes and compositions from the personal experiences of individual writers. Therefore, the recognition was analyzed in the four categories, depending on the contents structure and the attitude and sentiments of the speaker in the work. The asp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were embodied in ‘the recognition of a disconnected world through attempts of human relationship formation and frustration’, ‘the recognition of an unreasonable world through pursuits of proper values’,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s an order through repetitions of conflicts and resolutions’,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s a scene of identity conflict through the movements of places.’ The speaker in the Exile Gasa expressed a sense of isolation and despair from a breakdown in relations due to the nature of exile and strongly criticized the order of the world and the reality by his own standard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flow of the contents, he expressed the truth and enlightenment of life which he achieved from the repeated occurrences of conflicts and their resolutions. Finally, the Exile Gasa was created by the unique spatial mobility, and such movements and place formations led the speaker to the conflicting identities. The speaker experienced discords among his self-identities, simultaneously recognizing the places of exile positively and negatively. The diverse asp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guided the learners to reflect their lives, self-identities, and further, the world they see while understanding the diverse attitudes in response to the odds in lives. In chapter Ⅳ, the study propose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mplications drawing from chapter Ⅲ in the following four suggestions. First, the learners can establish an emotional mechanism that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heal themselves in response to the odds in their lives. Second, the learners can understand the speakers’ values and critically see the world by their own standards. Third, the learners can reflect on themselves and everyday life by adding meanings to the places in which they are embedded. Fourth, given that the Exile Gasa was created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the learners can learn the relevance of literature, history, and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work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elp the learners recogniz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and cultivate themselves in a cognitive and emotional way.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s explained regar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learners’ acceptance. The learners can lear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xile Gasa: the sense of temporal and spatial isolation. Moreover, this study points out the expansion of experiences and enjoyment of the world as another educational significance. Thus, the learners can enjoy literature spontaneously and actively inscribe meanings on their lives every moment. The learners also can enjoy literature, their lives, and the worl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ir own literary work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in a similar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on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s contribute to the fields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further, to the educational practices that allow the learners to enjoy their lives and understand the world around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사 검토 9 1. 고전시가의 세계 인식 9 2. 유배가사의 문학적 특징 및 사적 흐름 12 3. 유배문학의 교육적 활용 15 C. 연구 대상 및 방법 17 Ⅱ. 유배가사의 세계 인식 활용을 위한 예비적 고찰 27 A. 문학교육에서의 가사 교육 검토 28 1. 가사 교육 현황 28 2. 유배가사의 분류와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38 B. 세계와 세계 인식의 정의 및 문학교육적 재개념화 47 1. 세계와 세계 인식의 일반적 정의 49 2. 세계와 세계 인식의 문학교육적 재개념화 56 Ⅲ. 유배가사의 세계 인식 양상의 실제 61 A. 유배가사의 갈래적 특징 및 작품 개관 61 B. 세계 인식의 구체적 양상 68 1. 관계 형성의 시도와 좌절을 통한 단절된 세계의 인식 : 만분가 별사미인곡 속사미인곡 무인입춘축성가 71 2. 당위적 가치 추구를 통한 부당한 세계의 인식 : 북찬가 심진곡 낭유사 금강중용도가 103 3. 갈등과 해결의 반복을 통한 질서로서의 세계의 인식 : 만언사 채환재적가 128 4. 장소의 이동을 통한 정체성 갈등의 장으로서의 세계의 인식 : 홍리가 북천가 148 Ⅳ. 세계 인식 양상을 기반으로 한 유배가사 교육의 내용과 의의 169 A. 세계 인식의 활용을 위한 교육적 전제 170 1. 세계의 의미에 대한 교육적 접근 170 2. 유배가사의 갈래적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해 173 B. 화자의 세계 인식을 기반으로 한 유배가사 교육의 내용 180 1. 갈등의 체험과 자기 치유 기제의 형성 180 2. 가치관의 인식과 비판적 사고의 함양 190 3. 장소 인식을 통한 일상의 의미 발견과 성찰 196 4. 문학과 역사의 융합교육을 통한 해석의 다양화 202 C. 화자의 세계 인식을 기반으로 한 유배가사 교육의 의의 209 1. 고전문학으로서의 가치 이해 209 2. 내면화된 세계 인식을 통한 경험의 확장적 이해 211 Ⅴ. 결론 215 참고문헌 218 ABSTRACT 2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72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화자의 세계 인식을 기반으로 한 가사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유배가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asa Educ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xile Gasa-
dc.creator.othernameYoon, Ye Jeon-
dc.format.pagevi, 2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