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9 Download: 0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loanword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 Focus on the analysis of vocabularies from ‘Korean language exhibition in current issues’ textbooks
Authors
LUAN, JIALI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현대 한국어 어휘는 어종에 따라‘고유어’‘한자어’‘외래어’의 3중 체계를 이룬다. 한국인들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외래어를 섞어 사용하며, 이는 신문이나 방송, 대학의 강의 등의 공적인 매체와 공간의 의사소통에서도 그러하다. 이와 같은 한국어 어휘 생태의 특수한 조건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도 고려해야 할 조건이다. 한국어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외래어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에 외래어라는 특수 조건에 관한 한,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가 영어권 학습자인지 비영어권 학습자인지에 따라 어휘 교육의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본고에서는 비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외래어 학습의 문제를 초점화하여 다루고자 하였다. 많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대규모로 존재하는 외래어를 배울 때 표기법 차이 등 원인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외래어 어휘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것이 실정이다. 고급으로 갈수록 어휘 학습 목표에 따라 시사적, 전문적인 어휘에 대한 특수 한국어 학습 요구가 강해진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외래어를 많이 노출된 고급 단계 학습자의 요구를 부응하는 시사 교재의 중심의 외래어 어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외래어의 개념을 파악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외래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한국어 외래어 어휘교육의 대상과 분야, 즉 고급 단계 중국인 학습자와 ‘시사한국어’류 교재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시사한국어’류 교재에서 외래어를 추출하서 주제별로 정리하여 중국어 외래어에 대조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교재의 주제 등을 종합하여 본고에서 신문 뉴스 기사의 일반적 주제 분류 기준에 따라 주제별로 한국어에 들어온 외래어들을 분류하였다. 한편, 한국어 외래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차용방식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외래어 어휘 선정은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외래어를 3가지 부류로 구분하였다.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동일하게 음역 방식으로 차용한 외래어(Ⅰ부류),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세부 방식은 다르나 혼역 방식으로 차용한 외래어(Ⅱ부류), 두 언어 간 차용 방식이 전혀 달라, 한국어에서는 음역하고 중국어에서 의역하여 차용한 외래어(Ⅲ부류)이 그 구체적인 분류 내용이다. 3가지 부류의 어휘를 정리한 다음에는 40명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3가지 부류의 어휘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 양상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통해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부응하는 교육용 외래어 어휘를 선정하는 한편, ‘시사한국어’류 교재를 활용하며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기 위해 어휘 부류를 출발하여 적절치 않은 어휘를 제외하였고, 선정한 어휘 부류 중심으로 각 부류의 특성에 따라 구체적인 교육 방법과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 어휘의 특성 중의 하나인 외래어의 풍부함에 주목하여, 이것에 대한 교육 요구가 존재하나 구체적인 교육적 지원이 미흡한 실태를 파악하고,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그렇기에 이 연구 결과는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외래어 관련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국어와 한국어에서의 외래어 차용 방식에 근거하여 외래어 어휘를 세 부류로 나눈 결과는 그 활용의 실용성이 상당히 높다. 이와 함께 ‘시사한국어’류 교재의 어휘 학습 활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 역시 제시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외래어 어휘 교육에 대한 연구, ‘시사한국어’류 교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 정리한 점을 토대로 많은 후속 연구가 나와야 할 것이다.;Contemporary Korean vocabularies constitute a triple system of ‘native tongue’, ‘Sino-Korean word’, ‘loanword’ according to language types. Koreans often use loanword in everyday life, which is also true in the communication of public media and space such as newspapers, broadcasts, and lectures at universities. Such a special condition of Korean vocabulary ecology is a condition to be consider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communicate successfully in Korean, it is a reality that a certain level of loanword should be supported. Therefore, regarding the special condition of loanword, the direction of vocabulary education will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learner is an English-speaking learner or a non-English-speaking learn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oblem of loanword learning of Korean learners of Chinese who are non-English speaking Korean learners. Many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learning loanword that exist on a large scale in the Korean language.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on loanword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ore advanced the vocabulary learning goal is, the stronger the demand for special Korean learning about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vocabulary. Therefore, in this study, I prepared a loanword vocabulary education centering on the current textbook which meets the needs of the high-level learners who are exposed to loanword. First, in Chapter Ⅰ, I clarifi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object and method of study.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loanword is define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of Korean language lexicographical education subjects and fields, ie, high-level Chinese learners and ‘current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ir need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In chapter Ⅲ, loanword vocabularie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exhibition in current issues’ selected as a subject of this study,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mes to compare with Chinese foreign words. In this paper, loanword that came into Korean by subject according to general subject classification criteria of newspaper news articles are classifi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borrowing method between Korean foreign words and Chinese foreign words, the selection of loanword for educational purpose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should take these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foreign words of Korean into three classes. Loanword (class I) borrowed in the same way in Korean or Chinese (class I), loanword (class II) borrowed by the method of submission in a different way from Korean or Chinese, but the method of borrowing between two languages ​​ is completely different. Class Ⅲ borrowed from the translation is the specific classification. After analyzing the three types of vocabulary, 40 Korean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were surveyed and their understanding of Chinese learner 's understanding on three classes of vocabulary was analyzed. In Chapter Ⅳ, I have selected the loanword vocabulary for education that meets the learning needs of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 Ⅲ. In order to select educational vocabul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earners, I started out the vocabulary class and excluded the inappropriate vocabulary. Based on the selected vocabulary class, I suggested concrete teaching method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This study focuses on the abundance of loanword,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vocabul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that there is a lack of specific educational support and educational foundation for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related to loanword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Chinese. Especially, the result of dividing loanword vocabulary into three classes based on the method of borrowing foreign words in Chinese and Korean is very practical. In addition, th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exhibition in current issues’ textbooks were critically analyze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However,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is not much accumulation of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xhibition in current issues’ textbooks, so many follow-up studies should be based on the points summarized i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