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한국어 전공 태국인 대학생을 위한 한국 설화 교육 연구

Title
한국어 전공 태국인 대학생을 위한 한국 설화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Folktale Education for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in Thai Universities : Focused on the Topics of Folktale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m
Authors
JINSIRIWANICH, WANITCHA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태국인 학습자를 위해 어떤 한국 설화를 선정할 것이며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목표를 두고 설화 텍스트 선정 제안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태국에서 한국어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어 전공 태국인 대학생은 한국어의 문법적 능력과 문화적 능력뿐만 아니라 문학적 능력까지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태국에서 한국 문학 교육을 이루는 기초 단계의 현재는 단순하면서도 한국 문학의 보편성 및 특수성을 담긴 설화가 좋은 교육 텍스트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설화를 활용하여 문학 중심 설화 교육에 대한 연구를 다루게 되었다. Ⅱ장에서는 태국 내 한국어 교육과 한국 설화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교수진의 부족, 언어기능에만 집중하는 교육과정,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재 부족 등 문제들을 겪고 있다. 또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이 활발하게 다루고 있으나, 한국 문학 교육은 아직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설화를 활용하여 한국 문학을 교육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전공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한국 설화 학습의 필요성 인식, 설화 학습의 관심분야, 한국 설화 학습의 난이도 세 가지 측면에서 태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설화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현재 태국 내 대학교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설화는 이러한 필요성 인식과 학습자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Ⅳ장에서 이러한 설문조사 분석과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설화 텍스트 선정 및 교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한국 설화를 선정하는 데 학습자의 주제 선호도와 분야·장르에 대한 측면에서 설화 작품을 고려하였다. 주제 선호도에 따른 선정은 주제를 인간관계 유형에 따라 친구 간의 관계, 가족 간의 관계, 남녀 간의 사랑 관계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해당된 설화 제재를 선정하였다. 분야·장르에 따른 선정은 한국 역사, 문화, 사회를 반영하는 설화 그리고 전설에 해당된 설화를 선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정 설화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해 한국 설화 교육의 목표 및 교육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학습자에게 교육할 내용을 예시로 제시하기 위해 한국어 전공 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달설화>를 선정하여 위계별 문학 중심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고에서는 태국 내 대학교의 문학 중심 설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를 고려하며 언어·문화적 교육에 그치지 않고 문학 교육으로서의 한국 설화 교육에 대한 방향 제안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보다 다양한 한국 설화 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effective ways of the Korean folktale education for Thai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Korean by analyzing the needs of learning Korean folktales and the Korean folktale education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Thai schools and univers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ture education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s been emphasized on. However, studies on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ailand are extrem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to teach Korean literature using Korean folktales. Chapter II introduced a current situation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folktale education in Thailand. Thailand is currently facing some issues, such as insufficien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ailand, the curriculum which weighing too much on language functions, and the shortage of standardized and systematic textbooks. Although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re vigorously developing,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as not gained much recognition. Thus the present study aims to apply folktales to Korean literature teaching in Thailand. Chapter III analyzed results from a survey of Thai-speaking learners about needs in learning folktales for Korean-major students. The survey contained three par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learning Korean folktales, interesting topics in learning folktales, and level of difficulty of Korean folktales. Moreover, this part is including whether the Korean folktales in Korean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Thai universities reflect the students’ recognition of necessity or needs in learning Korean folktales. Chapter IV provided suggestions for teaching Korean folktales to Thai learn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bove. In selecting Korean folktales, subject preference including field and genre of folktale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subject preferenc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human relations into friendship, family relations and the lov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Narratives focusing on these kinds of relationships should be selected for lessons. In terms of field and genre preference, tales that reflect Korean history, fundamental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and tales classified as legend are suggested to be considered. This chapter also suggested the goals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using Korean legend as an examp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Korean folktales focusing on literary aspects in Thai universities and that it proposed student-centered Korean folktale education for Thai learner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ay a foundation for more diverse Korean folktales education researche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