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운승-
dc.contributor.author이정선-
dc.creator이정선-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36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3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5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55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182-
dc.description.abstract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구축과 함께 다양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가 급속히 발달하고 대중화되면서 뮤지엄(museum)에도 괄목할만한 변화가 일어났다. 무엇보다 뮤지엄의 관람객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뮤지엄을 ‘방문’할 수 있게 되었고, 단순한 전시 관람 이외에도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등 뮤지엄의 여러 활동에 더욱 깊이 들어오게 되었다. 동시에 소셜 미디어는 관람객뿐만 아니라 뮤지엄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관람객이 직접 생산한 콘텐츠를 활용하고 관람객의 시각을 공유하게 되었으며, 이는 뮤지엄의 큐레이터에게도 관람객 중심의 참여, 공유, 소통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궁극적으로 소셜 미디어는 관람객과의 소통을 중시하며 관람객의 참여를 통해 함께 만들어지고 운영되는 ‘참여 뮤지엄(participatory museum)’의 등장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을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 기반의 새로운 관람객 참여 현상을 재해석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반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소스 커뮤니티(source community)’는 현재 뮤지엄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을 예전에 소유했던 사람들이나 그 기원(起源)이 되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후손 모두를 의미한다. 뮤지엄의 소장품에 대한 소스 커뮤니티가 되는 관람객들은 뮤지엄과 그 유물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었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통하여 소장품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를 통해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은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온라인 뮤지엄 및 실제 뮤지엄 현장을 방문하는 ‘관람객’ 전반을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확대되고 있다.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은 뮤지엄이 지식의 원천이 되는 유물을 매개로 관람객과 연결되어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접촉지대(museum as contact zone)’로서의 역할을 스스로 새롭게 고찰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초연결·초지능화 시대에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관람객과 뮤지엄의 소장품 및 전시활동을 연결하는 문제 해결에 새로운 통찰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 관람객을 새로운 개념의 소스 커뮤니티로 이해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뮤지엄의 활동에 참여시키며, 나아가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뮤지엄의 소장품을 매개로 생성된 관람객 참여의 결과물을 디지털 기술과 접목시켜 의미 있게 활용하고 이를 관람객의 뮤지엄 경험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을 새롭게 제안한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위치)에서 진행한 세 개의 프로젝트를 제안된 모델의 맥락에서 해석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고찰했다. 본 논문은 모두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배경 및 목적, 핵심용어, 연구 내용 및 논문 구성으로 정리된 Ⅰ장에 이어 Ⅱ장에서는 뮤지엄의 역사 속에서 변화하여 온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을 정리했다. 그리고 구경꾼이자 부수적 존재였던 관람객이 소스 커뮤니티가 되면서 점차 뮤지엄의 중심 요소로 들어오게 된 과정을 살핀다. 또한 최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뮤지엄에 적극 참여하는 관람객들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정리한다. 이와 함께 점차 확장되는 뮤지엄 및 큐레이터의 역할, 그리고 관람객과 뮤지엄, 큐레이터 간 관계의 본질에 미친 영향 등을 뮤지엄의 관람객 참여 모델 제안에 기반이 될 수 있는 형태로 정리한다. Ⅲ장에서는 인류의 문화 자원을 수집, 보존, 활용, 확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문화 기관으로서 GLAM의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사례를 유형별 정리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이후 관람객 참여를 유도하는 국내외 뮤지엄의 사례들을 살핀 후, 소셜 미디어를 통해 뮤지엄이 관람객에게 받는 의견의 범주를 기준으로 전체를 총 세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정리한다. Ⅳ장에서는 소스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앞에서 제시된 내용들을 종합, 단순한 참여부터 특정 지식과 이해가 필요한 수준의 참여까지 다양한 층위에서 뮤지엄에 참여한 관람객들의 결과물이 의미 있게 활용되어 뮤지엄 서비스로 순환될 수 있는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을 새롭게 제안한다. 이 모델의 구현 과정에서 관람객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큐레이터의 역할을 ‘참여형 큐레이터쉽’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러한 참여형 큐레이터쉽을 갖춘 큐레이터가 크라우드소싱을 기획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술과 결합한 후 서비스로 디자인하는 각 단계별 세부 사항을 정리한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앞서 제안된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을 적용하여 참여형 큐레이터쉽에 따라 기획한 이화여대박물관의 세 개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참여형 전시 《이화인이 함께 만드는 이화 130년》과 《이화여대박물관 × 위키백과 : 에디터톤》, 그리고 도자기에 대한 태그와 별점 선호도를 남기는 크라우드소싱을 진행하고 이 결과물을 기반으로 크라우드 큐레이션(crowd curation)한 전시 《당신을 큐레이터로 초대합니다》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마지막 전시에서는 크라우드소싱 데이터를 다시 통계 분석하여 관람객의 성향에 따라 최적화된 유물로 전시를 새롭게 큐레이션하는 《당신을 위해 전시를 추천해 드립니다》전시도 함께 구현했는데, 전반적인 전시 개요부터 추천의 기준이 되는 참여자와 유물에 대한 요소추출 방법, 수집된 사전 설문조사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큐레이션 전시 및 추천 알고리즘까지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이상 세 개의 프로젝트를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및 데이터 큐레이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며, 여기에 전반적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경험한 한계와 가능성도 함께 정리하도록 한다.;“Source community”, which is also called “originating community”, refers to people in the past from whom collections of museums originate, people in the past who owned collections, and their descendants today. Hence, visitors are important source communities of museums. Visitors as source communities were subsidiary elements of museums during the long history of museums, and western museums considered only indigenous people in the Americas and the Pacific as their source community during the Age of Imperialism. However, post-museum in the 2000’s regarded people called “visitors” as the cultural community of all the objects that museums collected, and post-museum expand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source communities to all visitors. Post-museum also considered visitor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museum, and accepted visitors’ opinions and perspectives. So, efforts were made to keep communication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open. In the mid 2000’s, mobile devices were widely used and social media developed in the mid 2000’s, thus great changes happened in the museum. With the advancement in technology, visitors who are source community could visit museums anywhere and anytime. Moreover, visitors could be more engaged with the museum. For example, through social media, museums could attract visitors and provide more creative opportunities for visitors to participate. The museums’ efforts to communicate changed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s and the visitors. The visitors can now participate in the museum as “mediation agents”, “prosumers”, “artists”, and “creators.” Along the same lines, curators can now expand their roles to “communicators”, “social engineers”, and “creators.” Furthermore, collections that museums house are the foundation of knowledge and the initiator of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museums, and therefore, visitors as the source community engaging with the collections is very important. Participation by which visitors demonstrate their collective intelligence and potential through the collection can be called “crowdsourcing” in the field of museums. “Crowdsourcing” in the field of museums i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source communities’ cultural identities, to relearn the forgotten knowledge and skills, to piece together a scattered historical story, and to convey cultural knowledge across gener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crowdsourcing cas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eums and classifies the cases into three types of visitor participation based on opinions which the museum receives from the visitors through social media. The types of visitor participation are helping advertisement of museums, providing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collection, and co-curating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With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and social media by the public made access the museum is easier for visitor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based on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is leading to an age of hyper-connection, hyper-intelligence, and hyper-individuality. At the same time, reality and virtual reality(VR) are being blended. These technologies will also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museums that have a lot of anxiety communicating with visitors and for visitors who are unfamiliar with museums. In this study, the “Cyclical Model of Visitor Participation”(figure 5) was designed based on crowdsourcing cases in the museum. Through the “Cyclical Model of Visitor Participation”, output of crowdsourcing can be utilized more productively and meaningfully in the museum. The technologies that will develop in the process will link crowdsourcing and museum services. Visitors as a source community participate in the museum through social media and demonstrate their collective intelligence, potential, and creativity. This model can combine digital technologies with data accumulated through this participation, and then provide museum services for visitors. The curator as a social engineer designs crowdsourcing to implement the model, and analyzes the data so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meaningfully in the museum. In addition, the curator as a communicator communicates constantly with the visitors, and as a creator, performs remediation to reinvigorate the museum. In response to the age of hyper-connection and hyper-individuality, this study named these competencies and roles of a curator as “Participatory Curatorship”(figures 6 and 7). This study applied this Cyclical Model of Visitor Participation to three projects a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In the first project, “Ewha by Ewha: 130 Years of History,” Ewha communit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as a source community. In the second projec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Wikipedia : Edit-a-thon,” women participated in the event as a source community. In the third project, a participatory exhibition was curated by visitors, and also a recommendation system for curating of exhibitions was built. Particularly, in the last project, visitors took a survey on 100 types of ceramic, such as celadon, white porcelain, and Buncheong Ware of Korea. Through social media, visitors left tags that expressed their impressions, feelings, and interpretations about these pieces of ceramic, and also rated the ceramic on a scale of 1 to 5. In addition, visitors left their demographic and lifestyle information, which were the criteria for the recommendation system. 16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s a source community. This study curated a special exhibition called “You Are Invited as a Curator” that reflect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crowdsourcing. Using the same data, this study also designed a recommendation system, called “We Will Recommend a Special Exhibition Curated for You” which curated a personal exhibition for each individual. Through such projects and efforts made by museums, visitors who had been subsidiary elements of museums for a long time became core elements of museums as a source community. The concept of source community reverted back to meaning original owners and their descendants of artifacts collected in museums today. Everyone is the source community of museum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visitors as a source community have legitimate, cultural, and moral stakes in or forms of ownership of museum collections. The study contemplated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based on this concept. Moreover, the study suggested a model for visitors as a source community to participate in museums through social media. In addition, this model combines collected output and digital technologies, and then provides museum services for visitors again. This cycle is the Cyclical Model of Visitor Participation based on Participatory Curatorship. Through three projects appli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this study performed remediation for museums and its collections and developed a new type of data curation. Furthermore, this study strives to achieve sincerity through sharing emotion between the source community and the collections, and to recover historical context and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s. Another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new path of cooperation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which can renew the way visitors experience museu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핵심용어 정리 5 C. 연구 내용 및 논문 구성 7 Ⅱ. 뮤지엄에서 소스 커뮤니티 참여의 이론적 배경 12 A. 뮤지엄 역사로 본 소스 커뮤니티 개념과 등장 12 B. 소스 커뮤니티의 뮤지엄 참여와 그 역할 17 Ⅲ. 관람객 참여 사례 및 유형 분류 21 A. 관람객 참여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3 B.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뮤지엄의 관람객 참여 유형 분류 28 Ⅳ. 참여형 큐레이터쉽에 기반한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 설계 38 A. 뮤지엄의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 제안 38 B. 소스 커뮤니티로서의 관람객과 참여형 큐레이터쉽 44 Ⅴ.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의 적용 및 의미 52 A. 참여형 전시 이화인이 함께 만드는 이화 130년 54 B. 이화여대박물관 위키백과 : 에디터톤 57 C. 관람객 참여전시 당신을 큐레이터로 초대합니다 및 전시 큐레이션 추천 모델 당신을 위해 전시를 추천해 드립니다 구축 64 D.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의 의미와 가능성 120 Ⅵ. 결론 131 참고문헌 135 부록 142 ABSTRACT 1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474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소스 커뮤니티 개념으로 본 뮤지엄의 순환고리형 관람객 참여 모델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yclical Model of Visitor Participation in Museums as Viewed from the Concept of Source Community-
dc.creator.othernameLee, Jeong Sun-
dc.format.pagex, 17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