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2 Download: 0

Compliance with Antidepressant Medication in Korea

Title
Compliance with Antidepressant Medication in Korea
Authors
원미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제약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승진
Abstract
The concern of depression is increasing continuously, due to its high impact on society. Because there are lots of the impaction between socially and personally. Antidepressants are one of the standard treatments for depression and frequently prescribed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1]. However, long-term treatment is required for antidepressants to successfully alleviate the symptoms of depression. Also, the maintenance treatment for depression is important to prevent recurrence after an acute phase treatment [2,5,7]. Despite of the importance to continue the antidepressant treatment, many countries showed the high rate of early discontinuation of antidepressant within 6 months [3, 4, 5, 6]. In this study, we aim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 and adherence for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with antidepressant in Korea. The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ample database from HIRA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claim records in Korea from January 2016 until December 2016. The number of total patients in dataset were 28,508,520 and the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for SSRI (fluoxetine hydrochloride, fluvoxamine maleate, sertraline hydrochloride, paroxetine hydrochloride, citalopram hydrobromide, escitalopram), SNRI (desvenlafaxine succinate monohydrate, venlafaxine hydrochloride, duloxetine hydrochloride) from February to October in 2016 were identified. The periods were studied as follows: pre-index period defined as first month and the enrollment period was 8 months, and an average follow-up period defined 2months (8 weeks). Adherence group was defined as the patients who have total administration duration over 56days for antidepressants based on acute treatment phase. We describ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using %, mean, SD and conducted a chi-square test to detect a correlation factor. SAS 9.4 was used in this study and a p-value <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71,657 patients had prescribed SSRI or SNRI and female comprise 62.58%(n=44,843). The total administration duration of the most patients (85.94%(n= 61,577)) is less than 56days. For antidepressant prescription, the most prevalent primary diagnostic code is F32(Major depressive disorder, single episode), F33(Major depressive disorder, recurrent) based on ICD-10, which translate into 13,295patients (21.59%). The significant difference factors statistically were age, the type of department, the type of hospital and location. Despite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antidepressant’s adherence to treat depressive disorder using depressants, the most of the patients had suboptimal adherence and antidepressants were frequently prescribed for patients whose primary diagnosis was not major depress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with the suboptimal adherence for the antidepressant in Korea.;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염려는 계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이는 개인의 삶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영향이 많은 질환 이기 때문이다. 항우울제 복용은 우울증을 치료하는 하나의 표준 치료 방법으로, 재발 방지를 위하여 지속적인 복용이 요구 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을 통해 여러 나라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6개월 이내 항우울제 조기 복용을 중단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본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항우울제 복용 환자들의 특징을 살펴 보고, 항우울제 복용을 조기 중단 하는 환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본 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28,508,520명), 등록 기간 동안 SSRI 혹은 SNRI 를 한번이라도 처방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첫 1개월 (2016년 1월)은 pre-index 로 두고, 환자 등록 기간은 8개월(2016년 2월 ~ 2016년 10월), 환자 추적 관찰 기관은 2개월(2016년 11월 ~ 2016년 12월)로 하였다. 복약 순응 그룹은 급성 치료 기간을 근거로 8주 (56일) 이상의 총 투여일을 가지는 환자로 하였다. 환자 기본 특징은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복약 순응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 사이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chi-square test 를 이용 하였다. 모든 분석은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고, p-value 가 0.05 이하이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소로 보았다. 71,657 명의 환자가 SSRI 또는 SNRI 를 투여 받았으며, 62.59% (39,929명) 이 여성 이였으며, 대부분 50세 이상의 고령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환자의 항우울제 총 투여일이 56일 미만 (85.93%(n=54,821)) 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소로는 성별, 진단 된 진료과, 병원 위치, 연령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치료를 위해 항우울제의 복약 순응도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이 낮은 복약 순응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항우울제 복약 순응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왜 약물 투여를 일찍 중단 하는 지 이외 다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없는지 자세한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