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중·노년 남성 합창단원이 인식하는 합창의 심리·사회적 혜택

Title
중·노년 남성 합창단원이 인식하는 합창의 심리·사회적 혜택
Other Titles
The benefits of choir singing recognized by the middle-aged and older male choir
Authors
양혜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아마추어 합창단의 합창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중·노년 남성을 대상으로 각 집단이 합창의 혜택을 어떠한 측면에서 어떠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합창의 혜택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개인적 측면, 관계적 측면, 사회·공동체적 측면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4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중·노년 남성들은 전반적으로 여가활동으로써 합창의 혜택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중년: M=4.19, SD=0.42, 노년: M=4.26, SD=0.49). 또한 중·노년 남성들은 공통적으로 사회·공동체적 측면에서 소속감을 통한 혜택을 높은 수준(중년: M=4.56, SD=0.54, 노년: M=4.37, SD=0.65)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년 집단이 중년 집단에 비해 개인적 측면에서의 혜택에 대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p=.000)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년 집단과 노년 집단은 각각 개인적 측면의 혜택 중 성취감(M=4.38, SD=0.55), 스트레스 해소(M=4.49, SD=0.52) 항목에서, 관계적 측면의 혜택 중 중년 집단은 친밀감 형성(M=4.35, SD=0.64), 노년 집단은 책임의식 강화(M=4.37, SD=0.59)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은퇴집단이 비은퇴 집단에 비해 합창의 혜택 중 역할수행을 통한 합창의 혜택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스트레스 해소: t=-2.256, p=.025), 자신감: t=-2.366, p=.019, 자아존중감: t=-3.383, p=.001, 자기효능감: t=-2.653, p=.010, 정체성 확립: t=-2.612, p=.010, 상호간 역할 존중: t=-2.703, p=.009, 책임의식 강화: t=-2.022, p=.044). 이러한 결과는 합창이 개인의 정신건강 뿐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형성 차원을 넘어 공동체적 측면에서의 혜택을 제공하는데 있어 중·노년 남성들에게 효과적인 여가활동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중·노년 남성 개개인이 각 시기별로 주어지는 삶의 과업을 수행하고 적응하는데 있어 합창이 개인적, 관계적, 사회·공동체적 측면에서 각각 다른 수준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at which each group recognizes the benefits of chorus in terms of its benefits for middle-aged and older men who are in the choir. A total of 224 people were surveyed, 122 middle-aged and 102 ol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the benefits of the choru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in three areas: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and community, and compared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First of all, Middle and old men were generally positively aware of the benefits of chorus as a leisure activity(Middle-aged: M=4.19, SD=0.42, Older-aged: M=4.26, SD=0.49). It was also confirmed that both groups of the social and community benefit sub-categories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the membership category(Middle-aged: M=4.56, SD=0.54, Older-aged: M=4.37, SD=0.65).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older groups are perceived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level(p=.000) of personal benefit than middle-aged ones. Third, the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each scored the highest in the categories of achievement(M=4.38, SD=0.55) and stress relief(M=4.49, SD=0.52), among the personal benefits. Among the relative benefits, the middle-aged group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terms of intimacy(M=4.35, SD=0.64), and the elderly group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strengthening sense of responsibility(M=4.37, SD=0.59). Forth, Retirement groups recognized a higher level of role-playing benefits of chorus (Self-confidence: t=-2.366, p=.019, self-esteem: t=-3.383, p=.001, self-efficacy: t=2.653, p==.010, Respect for mutual role: t=2.703, p=.009, strengthening sense of responsibility: t=-2.022, p=.044). These results mean that choral work can be an effective leisure activity for middle-aged and older men in providing benefits from a communal perspective, not only from the individual's mental health but also from the individual's level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ultimately in the performance and adaptation of a given life task for each period, the choral work can contribute to different levels of personal, relational, social, and community benef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