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최윤정-
dc.creator최윤정-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2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2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9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0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지적 음악심상기법(Supportive Music and Imagery, 이하 SMI)에 참여한 초산모의 모성정체감 형성 내용을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6개월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초산모 2명이다. 육아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고 사전 인터뷰, 6회기 중재, 사후 인터뷰를 포함하여 약 6주간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MI는 모성성 성장과 모성정체감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수정 보완하여, 매회기 45~60분 진행되었으며, 들어가기(Prelude), 연결하기(Transition), 도입(Induction), 음악 감상과 심상작업(Music listening & Imagery work), 맺음(Postlude)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SMI는 초산모가 모성역할을 수행하며 아이와의 관계에서 지지자원을 탐색할 수 있도록 범위를 설정하였고, 활용 음악은 발견한 지지자원 반영을 목적으로 매회기 참여자와 논의하며 선곡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산모가 SMI세션 후 반구조화 인터뷰에서 보고하는 모성정체감 형성 내용을 모성정체감의 정의에서 제시하는 모성역할 인식, 모아관계 인식으로 분류하여 Crewell의 나선형 내용분석 4단계에 따라 축어록을 분석하여 제시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이 회기별 경험한 모성정체감 형성 내용에 대하여 6회기 세션보고 및 활용음악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는 음악과 교감하며 자기-공감경험을 하고 어머니로서 자신의 위치를 수용하며 육아의 가치를 발견하였다. 또한 참여자는 현재 어머니로서 역할 수행을 잘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앞으로도 모성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모성역할 인식을 하였다. 참여자는 모아관계에서 긍정 정서를 경험함으로 소중한 아기를 수용하고 아기의 감정에 공감 및 헌신해주는 모습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는 지지적 수준으로 모아관계 탐색을 하며 부적 정서를 조절하고, 육아에 대한 자신감이 증가하여 육아 행동의 동일성을 형성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MI를 통해 초산모가 안정된 모성정체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모성역할의 자신감과 모아애착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to maternal identity for the mothers, through an intervention program using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for Maternity in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two primiparous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ren under six months were recruited from the bulletin board of an online community in Seou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the child-care community site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six weeks, including pre-interview, 6 sessions, and a post-interview. The SMI(Supportive Music and Imagery) was used in this study were modified for 45~60-minute intervention, focusing on maternal growth and formation of maternal identity, and then proceeded to 5 stages of ‘Prelude’, ‘Transition’, ‘Induction’, ‘Music listening & Imagery work’, ‘Postlude.’ The SMI(Supportive Music and Imagery) for Maternity program ranged that allows mothers to play a maternal role and search for support resources in relation to their children, and utilized music is a song that reflects the supported resources, and was selected by discussion with participants in each episode.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stage of spiral content analysis i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fter SMI session, which maternal identity formation reported by primiparous mother were classified into maternal role recognition and parental relationship recognition presented in the definition of maternal identity.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matern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each session were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xth session report and utilized music. Participants reported posi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music used by SMI, which self-empathize, accepting their positions as a mother, and discovering the value of a child-rearing, and find positive attitudes being able to do well in the future. In addition, primiparous mothers reported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in their relationship, less pressure on child-care, embracing precious babies, and empathizing and devoting to the baby’s emotion. Finally, participants gathered supportive level to explore their relationships, and gaining confidence in child care and forming an equality of parenting behavior by receiving positive energy from their bab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stable maternal identity but also increases self-confidence and maternal attachment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정의 5 D. 연구범위 5 Ⅱ. 이론적 배경 7 A. 초산모 7 1. 초산모와 모성 7 2. 초산모의 정서적 특징 8 B. 초산모의 모성정체감 10 1. 정체감의 정의 10 2. 초산모의 모성정체감 11 C. 음악심상기법 13 1. 음악심상기법 정의와 치료 단계 13 2. 지지적 음악심상기법의 치료 수준 14 3. 음악의 치료적 기능 15 4. 심상의 치료적 기능 16 5. 음악심상과 정체감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 대상 19 1. 연구참여자 특성 19 B. 연구 설계 및 절차 21 1. 연구 설계 21 2. 연구 절차 21 C. 연구 자료수집과 분석 22 1. 자료 수집 22 2. 자료 분석 22 D. 프로그램 기본 구성 내용 23 1. SMI 프로그램 구성 및 중재전략 23 2. 반구조화 인터뷰 구성 및 내용 28 E. 연구자의 준비도 29 Ⅳ. 결과 및 논의 30 A. 연구 결과 30 1. 참여자가 형성한 모성정체감 내용 분석 30 2. 참여자가 경험한 모성정체감 형성에 관한 세션 보고 42 B. 논의 67 Ⅴ. 결론 및 제언 71 A. 결론 71 B. 제언 74 참고문헌 75 부록1. 연구 대상자 참여 동의서 80 부록2. 세션 활용 음악 목록 81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9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지지적 음악심상기법(Supportive Music and Imagery)을 통한 초산모 모성정체감에 관한 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se study of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on maternal identity in first-time mother-
dc.creator.othernameChoi, Yoon Jung-
dc.format.pagev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