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부모상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욕구

Title
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부모상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욕구
Other Titles
Parent Perception and Desire for Parent Consultation in Music Therapy with Child
Authors
강혜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진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부모상담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욕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만 18세 이하 아동의 음악치료에서 치료사와 부모상담 경험이 3회 이상인 부모이다. 참여자 모집은 서울, 경기도, 대전, 전라북도에 위치한 음악치료기관 담당자와 장애아동부모가 활동하는 인터넷 커뮤니티(네이버카페)의 운영자에게 본 연구에 대해 설명한 후 동의하에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조사를 시행하여 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시행 형태 및 상담내용에 대한 부모의 욕구, 부모상담을 통해 도움 받은 혜택, 부모상담 만족도, 부모상담 개선점, 효과적인 부모상담을 위해 부모가 바라는 점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시행 형태에 관한 참여자의 욕구는 참여자가 받아온 부모상담 시행 형태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담내용에 대한 욕구는 참여자가 받은 수준보다 전체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다루어주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가 원하는 상담내용을 정보교환, 부모훈련, 부모치료로 나누어 살펴봤을 때 정보교환 목적과 관련된 상담내용에 대한 욕구는 다른 상담내용에 비해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주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부모훈련, 부모치료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상담 시 모든 내용이 다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나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내용이 다루어지기엔 시간적 한계가 있기에 참여자들이 정보의 중요성 순으로 응답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모상담을 통해 도움 받은 혜택에 대해 참여자들은 아동이 선호하는 음악·악기·활동이 무엇인지 알게 된 부분을 가장 큰 혜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부모상담 만족도에 대해서는 상담 장소와 환경에 대하여 낮은 만족감을 보였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부모상담 시 대부분 아동을 동반한 상태에서 진행되는데 현재 상담 장소는 상담에 집중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의 욕구 역시 높게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부모상담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수혜아동 부모의 필요와 의견을 고려하고 이를 반영하여 부모상담이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 perception of and desire for parent consultation in music therapy conducted with children younger than 18 years ol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arents who have received more than three sessions of parent consultation with a music therapist. Offli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music therapy institutions located in four cities in Korea including Seoul. Onli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n internet community for par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68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desire for the form of parent consultation is consistent with the form of the current parent consultation. However,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consultation, participants wanted to be informed of all types of contents more frequently. In terms of the types of parent consultation, the most preferred type was ‘information exchange,’ followed by ‘parental training,’and ‘parental therapy.’ Participants considere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ir ‘child’s preferred music, musical instrument and activities’ to be most helpful in terms of the types of information exchange. However, they were not as satisfied with the physical space where consultations took place for the reasons of being distracted by their child or not wanting their child or others to hear their convers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meaningful information on parents’ perception of and desire for parent consultation in music therapy, which will lead to improvement of parent consultation and their joint effort to help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