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규연-
dc.contributor.author은주희-
dc.creator은주희-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15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1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9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96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063-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온라인 평생학습 환경으로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가 부각되고 있다. MOOC는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로, 누구나 세계 유수 대학 강의에 참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환경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MOOC는 교육자원의 공유 및 개방 중심의 학습플랫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 이러닝보다 학습자에 대한 지원과 안내수준이 낮다. 이 때문에 교육수준이 높은 학습자라 하더라도 학습의 방향을 잃게 되거나 학습을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MOOC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정하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필수적이다.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이란 학습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인지, 동기, 행동, 맥락을 점검, 조절하는 능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MOOC에서는 목표설정, 시간관리, 과제관리, 자기평가와 같은 자기조절학습 과정을 통하여 성공적인 학습을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MOOC에서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목표를 정하고 이에 따라 학습과정을 점검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MOOC에서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시보드(dashboard)에 주목하였다. 대시보드는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중요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시하는 도구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활동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진행상황을 점검, 성찰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촉진도구이다. 이를 위해서 대시보드는 학습자 목표와 현재 학습상태의 차이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이때 MOOC에서 학습자들은 학습된 능력을 목표로 정하기보다는 과업 중심의 성취목표를 중요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료증을 취득하거나 강좌 수강을 완료하는 형태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자신의 성취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인지, 동기, 행동 및 맥락을 조절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프로토타입을 완성해가는 개발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MOOC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위한 대시보드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2. 개발된 대시보드는 MOOC에서 자기조절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가? 개발연구는 산출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분석, 설계, 평가 과정을 따르는 체계적인 연구이며, 동시에 그 과정을 연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발연구의 절차인 분석, 설계, 개발, 형성평가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졌다. 첫째, 분석단계에서는 자기조절학습 프레임워크에 따라 선행문헌을 분석하였다. 먼저 자기조절학습 촉진도구를 검토하여 대시보드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MOOC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위한 설계시사점을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대시보드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대시보드 화면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계단계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설계원리를 도출한 후, 스토리보드를 제작하였다. 셋째, 개발단계에서는 스토리보드를 바탕으로 대시보드 프로토타입을 개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평가단계에서는 개발된 대시보드 프로토타입에 대한 전문가 서면 검토와 사용자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자 형성 평가는 K-MOOC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aloud)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토대로, 연구문제 1에서 설계원리 4가지와 설계지침 10가지가 도출되었다. 설계원리는 첫째, 개별학습자의 인지조절 과정을 지원한다. 둘째, 학습자 스스로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셋째,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넷째, 학습자 스스로 학습맥락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이 도출된 설계원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스토리보드를 제작하고, 대시보드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개발된 대시보드에 대한 전문가 검토와 사용자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문가와 사용자들은 개발된 대시보드가 자기조절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특히 학습자가 목표를 수립하고 이에 따라 학습과정을 점검, 성찰할 수 있게 한 점이 학습에 유용할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학습자들 스스로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할 것이라고 여겼다. 이는 학습자의 목표설정 및 인식이 학습 동기를 부여한다는 자기조절학습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 무엇보다 기존의 대시보드들은 학습자 목표와 같은 구체적인 기준 없이 단편적인 활동정보를 제공하거나 학습자 간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던데 반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시보드는 MOOC에서 필요한 목표를 학습자가 설정하고, 자신의 시간과 노력관리를 위한 계획을 직접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활동 상태를 관찰,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MOOC 맥락에서의 과제와 학습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인지, 동기, 행동, 맥락을 스스로 점검, 통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시보드는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시보드는 실제 MOOC 플랫폼의 데이터를 수집, 가공,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이를 구체화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자기조절학습과 대시보드의 개발과 연결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대시보드를 개발하는 절차를 명확히 하였다. 셋째, 실제 MOOC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플랫폼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가 대시보드 설계 및 개발연구에 기여하고, MOOC에서 성공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has been highlighted more attention in the onlin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MOOC is considered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llows a great number of learners’unlimited participation. Given the nature of MOOC of the learning platform with open and shared educational resources,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or operators and learners than previous e-learning is restricted. Due to this form, even for the well-educated learners, they may be likely to lose their learning directions or get in trouble with continuing their learning. Thus, self-regulated learning, the ability that let learners plan and monitor their learning, is indispensible in MOOC. Self-regulated learning is an active process whereby learners control and regulate their cognitions, motivations, behaviors, and external environment by themselves. In the MOOC, learners can make a success of their learning through the self-regulated learning such as goal-settings, time management, task management, and self-evaluation. Thus, after learners set goals, they need to monitor learning process in the MOOC. This study focused on a dashboard as a method that supports an individual leaners’self-regulated learning. The dashboard is not only a tool that visualizes important information for an leaner’s goal achievement but also a promoting one for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monitoring and reflecting the one’s learning process. For this, a visualized dashboard that can show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stage in comparison with learners’goals is needed. Specifically, learners in the MOOC needs to value task-oriented goal achievement and support them rather than set learned abilities such as cognitive results. The example can be setting goals like earn a certificate or completing all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 to develop a dashboard that enables learners to set their goals, and regulate their cognition, motivation, behavior, and context for the goal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design principle of dashboard design for promoting one’s self-regulated learning in MOOC? 2. Does the dashboard effectivel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in MOOC? The development research is the systematic process with the stages of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 to produce the product and associated with studying the process itself.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 research such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 were achieved. First, the analysis stage included literature reviews to derive the principles of the dashboard design and gain the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romoting tool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general. Second, in the design stage, based on derived principles, a story board was designed. Thir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ashboard prototype was developed and modified based on the story board. Last, in the evaluation stage, the prototype were evaluated by expert reviews and user. Based on the procedures, four design principles and ten design guidelin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First, it supports individual learners’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Second, it helps the learners to motivate themselves for learning. Third, it supports the learners to observe their behaviors. Fourth, it supports the learners to manage their learning contexts by themselves. To make actual form the design principles, this study was designed a story board and developed the dashboard.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2, the expert reviews and user evaluation of the dashboard prototype for the dashboard developed were done. The both expert and user gave a common review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the learners to establish their individual goals and monitor and reflect the process in the dashboard. They believed the learners can be naturally motivated during the proces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extant stud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at an individual’s goal setting and recognition motivate his or her learning. The existing dashboard mainly focused on providing simple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comparing learners without any specific criteria like learners’goals. However, the dashboard developed in this study has several meaningful design such as leaners’goal-setting, time management, and monitoring their activity information, which help the learners to effectively utilize learning resources and assignment in the context of MOOC. Thin study can be proved to be a dashboard that supports an individual learners’self-regulated learning. However, the dashboard developed in this study does not include the process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of the actual MOOC platform, so there is a limitation in utilizing the data.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dashboard. Second, we clarified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the dashboard. Third, it provides the basis for database design and application in the actual MOOC. This study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dashboard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will provide a new insight to support successful learning in MOO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1. MOOC 5 2. 자기조절학습 5 3. 대시보드 6 Ⅱ. 이론적 배경 7 A. MOOC 7 1. MOOC의 개념 7 2. MOOC의 특성 9 3. MOOC 관련 선행연구 11 B. 자기조절학습 18 1.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18 2. 자기조절학습의 특성 20 3. 자기조절학습 촉진 도구 35 4.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위한 도구설계에 대한 시사점 44 5. MOOC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위한 설계시사점 47 C. 대시보드 52 1. 대시보드의 특성 52 2. 대시보드와 자기조절학습 66 3. 대시보드 설계에 대한 시사점 85 D. 이론적 배경에 대한 소결 90 Ⅲ. 연구방법 92 A. 개발연구 방법론 92 B. 연구절차 94 1. 분석단계 95 2. 설계단계 99 3. 개발단계 100 4. 평가단계 100 Ⅳ. 연구결과 108 A. 설계원리 108 1. 문헌 및 학습자 요구분석의 시사점 108 2. 대시보드 설계원리 117 B. 설계원리 구현 121 1. 스토리보드 제작 121 2.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131 C. 평가 결과 136 1. 전문가 검토 136 2. 사용자 형성평가 138 3. 평가결과의 시사점 152 Ⅴ. 논의 및 제언 153 A. 결론 및 의의 153 B. 제한점 및 제언 158 참고문헌 161 부록 180 부록 1. 대시보드 사용 가이드라인 180 부록 2. 전문가 검토 질문지 181 부록 3. 사용자 형성평가 질문지 184 부록 4. 스토리보드 186 부록 5.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화면 189 ABSTRACT 1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589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위한 대시보드 개발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Research on Dashboard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in MOOC-
dc.creator.othernameEun, Juhee-
dc.format.pagex, 19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