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Title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 Focusing on History Education for 5~6th Grades
Authors
류지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inquiry skills and to explore possible way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in the study: first, How is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developed? second, How is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implemented? third, What are the impacts of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Focusing on the questions above, ‘inquiry skills’ was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into based on four key components: ‘Making a question’, ‘Researching materials’, ‘Evaluating and Analysing materials’, and ‘Reaching conclusion and Communicating.’ Also the sequence of content in each component was presented by comparing C3 Framework, Australian HASS curriculum and Canada Ontario SS Curriculum. Also,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was designed by the Integration Models of Inquiry Design Model and Backward Design. Designing the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inquiry skills was don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Settling goals, Composing questions, Developing tasks, and Designing educational activities. First, to settle goals of the curriculum, C3 Framework, Australian HASS curriculum and Canada Ontario SS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n Essential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generalized knowledges of the Unit. Also Tasks were developed based on inquiry skills of the Unit, and lastly various activities were designed to develop each sub-skills of the inquiry skills. Th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out the first unit of 5th grade Social Studies. Students followed three lessons and made inquiries from Pre-historic era to the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While applying the curriculum, the teacher as the researcher, kept checking the difficulty that students experienced in learning and using the inquiry skills. Also the teacher immediately gave feedback to student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Furthermore, by analysing the result of summative task, formative task, student journal and teacher journal, the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 that was shown in the process of learning inquiry skills. Finally, results of action research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and to find out some aspects that need to be improv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 inquiry skills score with t-te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curriculu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ing the students’ inquiry skills. However, the improvement of inquiry skills was uneven for all sub-skills. Students were good at particular sub-skill, but also had difficulties in othe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by analysing the result of action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inquiry skills are improved after following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Second, students’ level of inquiry skills are improved in a step-wise manner. Third, students had difficulties especially in ‘Considering various factors while researching materials(Researching Materials Skill 2), and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materials(Evaluating Analysing Skill 1). Forth, the level of inquiry skills in ‘Determining the material for research(Researching Materials Skill 1)’, saw small increase among all sub-skills. The implication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National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need to clarify the meaning of inquiry skills and the sub-skills of inquiry skills.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curriculum which is focusing on teaching inquiry skills. inquiry skills can improve when we teach it definitely through the curriculum. Third,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should require the teachers to give appropriate feedback for the students after checking each students’ level of inquiry skills. Forth,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should reinforce the activity for student to experience critical thinking process. Fifth, the teacher who are going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according to the study could test students’ level of inquiry skills first, then design the curriculum based on the test result. Sixth, to improve students’ inquiry skills in social studies, the teacher should use various materials in his/her daily lessons. Lastly,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regarding to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First, the follow-up study could design specific curriculum and activities for improving each sub-skills. Especially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for teaching ‘Making a question.’ Second, future research including a large number of students as participants are in need to further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rd,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inquiry skills, the assessment tool for inquiry skills is also necessary. Last but not least, the present study calls in for further follow-up studies in other subject areas, with special focus on key inquiry skills in elementary education.;오늘날의 학교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지식 위주의 교육을 넘어서 “교과의 지식과 기능을 새로운 상황과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백남진, 온정덕, 2014, p.38)을 기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해외교육과정과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존에 강조되어 오던 지식과 더불어“지식을 습득할 때 활용되는 탐구 및 사고기능”이자 “학습의 결과로서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하는 능력”(윤지영, 온정덕, 2017, p.322)인 기능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과 교육에서는 사회과의 기능으로서 탐구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탐구기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교육에서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탐구기능을 직접적으로 가르치고자 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탐구기능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탐구기능의 하위기능 및 계열성을 정리하여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했다. 또한 설계한 교육과정을 5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학생들이 탐구기능을 학습하는 과정 및 결과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설계하는가? 둘째,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실행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문헌과 해외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탐구기능의 의미를 ‘질문 구성하기’, ‘자료 수집하기’, ‘자료 평가 및 분석하기’, ‘결론 도출 및 의사소통하기’로 제시했다. 또한 미국 C3 Framework, 호주 교육과정, 캐나다 온타리오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각 탐구기능의 하위기능과 계열성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탐구설계모형(IDM)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개발했다. 개발한 통합모형에 따라 교육과정 설계는 학습목표 선정, 핵심질문 구성, 수행과제 개발, 학습활동 설계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학습목표 선정은 교육과정 분석과 더불어 해외교육과정의 역사 영역에서 제시하는 일반화된 지식과 탐구기능을 종합한 결과를 활용했다. 또한 선정한 일반화된 지식을 바탕으로 핵심질문을 구성하고, 핵심질문 및 탐구기능의 층위에 따라 수행과제를 개발했으며, 각 탐구기능의 하위기능을 기르기 위한 구체적인 학습활동을 설계했다. 설계한 교육과정은 5학년 2학기 사회 1단원 ‘우리 역사의 시작과 발전’에 적용했다. 학생들은 총 세 개의 소단원을 통해 선사시대부터 삼국 통일까지의 역사를 탐구했다. 각 소단원 학습활동에서는 총체적 핵심질문과 한정적 핵심질문을 바탕으로 탐구기능의 하위기능을 세부적으로 가르치고 이를 활용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기능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탐구기능이 향상되도록 했다. 더불어 총체적 수행과제 및 형성적 수행과제 결과물과 학생일지, 교사일지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탐구기능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했다. 끝으로,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실행한 후 학생들의 탐구기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평가했다. 탐구기능 평가 결과는 탐구기능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점수를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탐구기능은 평가 대상이었던 ‘자료 수집하기’, ‘자료 평가 및 분석하기’, ‘결론 도출 및 의사소통하기’기능에서 모두 향상됐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임이 입증됐다. 그러나 학생들의 탐구기능 수준은 모든 탐구기능의 하위기능에서 동일하게 향상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이 특별히 더 어려움을 겪는 기능과 더 쉽게 익숙해지는 기능이 존재했다. 이처럼 학생들의 탐구기능이 변화하는 양상을 토대로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실행한 결과,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전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탐구기능 수준이 향상됐다. 둘째,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탐구기능 수준이 향상될 때에는 대부분 탐구기능의 계열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향상됐다. 셋째, 학생들은 탐구기능의 여러 하위기능 중 ‘자료 수집 시 다양한 요인 고려하기(자료수집 2)’와 ‘자료의 신뢰성 평가하기(평가분석 1)’에서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실행한 결과, 탐구기능의 하위기능 중 ‘수집할 자료의 종류 결정하기(자료수집 1)’에서 탐구기능 수준이 향상된 학생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사회과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내용체계표와 성취기준에서 탐구기능의 의미와 탐구기능 하위기능의 계열성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탐구기능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과 더불어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탐구기능을 가르치는 학교 또는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탐구기능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비계를 설정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설계한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활동을 더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향후 본 연구와 같이 탐구기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 및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에 앞서 학생들의 탐구기능 수준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학습활동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평소 사회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탐구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가 사회교과서 외에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에 따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탐구기능의 하위기능을 가르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질문 이해하기’로 수정하여 다루었던 ‘질문 구성하기’는 탐구기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한 성향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탐구기능을 학습하는 과정과 탐구기능이 향상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후속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탐구기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초등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각 교과의 기능들을 탐구기능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