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김희영-
dc.creator김희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13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1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8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0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기초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가람유치원의 산들반에서 놀이 중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실행하고, 실행과정에서의 유아 반응과 교사, 연구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의 반응 및 연구자와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2-1.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2-2.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에 따른 교사와 연구자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부권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인 가람유치원 만 5세 산들반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학급 유아 25명과 교사 1명이다. 연구기간은 2018년 3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다.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연구 집단 구성,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한 개선점 인식 및 개선 방안 모색, 1차 실행, 2차 실행, 3차 실행, 종합 평가 및 마무리의 실행과정을 거쳤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면담, 저널작성, 문서 자료 및 놀이 관련 결과물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문제별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 가지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를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에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좀 더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였고, 유아들에게 기존의 교육활동을 보다 놀이스러운 교육활동으로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2차 실행은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에 교사의 교육적 의도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였고, 유아의 진정한 놀이로부터 나온 교육활동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와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통합한 놀이 중심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와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통합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였고,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공간의 융통성 있는 운영을 활성화하였다. 둘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의 반응 및 교사와 연구자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유아의 반응은 놀이에 대해 느끼는 즐거움 향상, 놀이 중심 교육 계획과 운영에 대한 참여 증가, 다양하고 새로운 놀이의 창안, 놀이 속에서 학습 개념 탐구에 대한 관심 증대로 나타났다. 교사는 놀이 중심의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하였고 놀이 중심의 교육 운영에 대한 전문성이 향상되었으며 연구자와의 상호호혜적인 협력 관계가 증진되었다. 연구자는 유아 교육현장의 맥락을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고 협력 관계에 대한 의미를 재인식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놀이 중심 교육의 활성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놀이 중심의 교육이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교사의 노력을 통해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놀이 중심 교육 운영에 활용되어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nd implement management methods to activate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of Garam kindergarten operating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children and the changes of teacher and researcher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chosen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management methods to activate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2. What are the responses of children and the changes of teacher and researchers as a result of the activ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2-1. What are the responses of children following the activ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2-2. What are the changes of teacher and researchers following the activ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5-year-old Sandeul classroom of Garam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university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5 children and 1 teacher. The research period is from March 5th to November 30th, 2018.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model of Kemmis and McTaggart (1998), the research group was organized, then recognized and found improvements of play-based education, and implemented first-action, second-action, third-action,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completion.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 journal writing, documentation and play-related produc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each research probl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three management methods were sought and implemented. In the first action, play-based edu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educational play planned by teacher. Specifically, the curriculum was operated reflecting the interests and needs of children in the educational play planned by teacher, and the existing activity was modified to more playful activity for the children to exercise. In the second action, play-based education wa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emerging play expressed by the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um was operated by applying the teacher's educational intention to children’s emerging play, and the activity derived from the real play of the children was exercised. In the third action, play-based education integrating the educational play planned by the teacher and the emerging play by the children was implemented. The curriculum was operated by integrating the teacher’s educational play and the children’s emerging play, and the flexible management of the free-choice activity time and space is activated. Second, there are different responses of children and different changes of teacher and researchers to the activ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The children responded to the activation with enhanced enjoyment toward play, increased participation in play-based educ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the creation of a variety of new plays, and increased interest in exploration of learning concepts in play. Teacher re-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lay-based education, increased expertise in play-based education management, and enhanced reciprocal cooperation with researchers. Researchers have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play-based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ontex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re-recognized the meaning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ctivating play-based education implemented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corresponding to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that play-based education suggested in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could be diversified through teacher's efforts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interests and needs of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people understand play-based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by being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play-based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놀이 중심 교육 9 1. 놀이와 교육 9 2. 놀이 중심 교육의 의미 13 3. 놀이 중심 교육의 운영 17 B.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놀이 중심 교육 22 1.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놀이 22 2.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놀이 중심 교육의 운영 24 Ⅲ. 연구방법 30 A. 실행연구 30 B. 연구 현장 33 1. 연구 유치원 33 2. 연구 학급 35 C. 연구 참여자 36 1. 연구자 36 2. 교사 39 3. 유아 41 D. 연구 절차 42 1. 준비 45 2. 실행 48 3. 종합 평가 및 마무리 49 E. 자료 수집 및 분석 50 1. 자료 수집 50 2. 자료 분석 51 F. 윤리적 고려 52 Ⅳ. 연구결과 53 A.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운영 방안 53 1. 운영 방안 선정 53 2. 1차 실행: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를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 63 3. 2차 실행: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 83 4. 3차 실행: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와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통합한 놀이 중심 교육 100 B.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의 반응 및 교사와 연구자의 변화 113 1. 유아의 반응 113 2. 교사와 연구자의 변화 124 Ⅴ. 논의 및 결론 135 A. 요약 및 논의 135 B. 결론 및 제언 146 참고문헌 150 부록1. 연구에서 사용한 전사 형식 165 부록2. 면담동의서(교사용) 166 부록3. 면담동의서(법정대리인용) 172 ABSTRACT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109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the Activ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Sandeul Classroom of 5-Year-Olds-
dc.creator.othernameKim Heeyoung-
dc.format.pageviii, 17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