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9 Download: 0

OECD 8개국 국가수준 유아 언어교육과정 비교분석

Title
OECD 8개국 국가수준 유아 언어교육과정 비교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n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ight OECD Countries
Authors
오지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OECD 8개국의 유아 언어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구성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구성은 어떠한가? 1-1.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연령별 연계 및 언어영역 관련 자료는 어떠한가? 1-2.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편성체계는 어떠한가? 2.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2-1.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2.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내용은 어떠한가? 2-3.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노르웨이, 뉴질랜드, 싱가포르, 아일랜드, 일본, 핀란드, 한국, 호주 8개국의 유아교육과정에서 언어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김혜림(2018)이 국가별 교육과정 편성체계 분석에 사용한 도구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OECD 8개국의 유아 언어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언어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제시된 언어교육의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을 기초로 분석기준을 선정하였고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은 연령별 연계, 언어교육 관련 자료와 언어교육과정 제시유형을 나타내는 편성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가마다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연령별 연계 구성을 살펴본 결과, 국가마다 교육과정에서 언어영역을 지칭하는 명칭과 언어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시기는 다르지만, 연령에 따라 언어교육과정이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교육과 관련된 자료는 부모자료와 교사자료가 있으며 국가마다 제시 여부는 다르게 나타났다.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과정 편성체계를 살펴본 결과, 크게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육평가 요소로 분류되었다. 편성체계에서 요소별 제시유형은 통합적으로 제시하거나 언어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국가별 유아 언어교육의 구성요소를 살펴본 결과, 목적 및 목표는 의사소통을 이루는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지향하였다. 교육내용은 일부 국가에서 목적 및 목표에서 강조하던 부분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나 비언어적 단서 요소를 제외한 대부분 요소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모든 국가에서 교사의 전략 및 접근법을 제시하였으며 대부분 통합적 접근법을 따르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연령을 구분하여 제시하거나 환경구성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하는 국가도 있었다. 교육평가는 교육활동 점검 및 반영의 목적 외에도 유아 언어발달 및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서도 이루어졌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교욱 목표 성취도와 예상되는 학습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평가지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ational level languag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ight OECD countries, Norway, New Zealand, Singapore, Ireland, Japan, Finland, Korea, and Australia. The research question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1-1. What are the age-specific and language related resources in each country's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1-2. What is the presented structural system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2. What are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2-1. What are the objectives and goal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2-2. What are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2-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tool that Kim Hye-Rim(2018) developed to analyze the national curriculum structural system. The selected analysis criteria is based on the interpreted language curriculum of the eight OECD countries and precedent studies whose subjects include objectives and goals,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of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each country is composed of age-specific and language-related data, and that the structural types of language curriculum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Examining the age-specific structure revealed that the name and application period of the language curriculum differed in each country and the language curriculum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age. There are parental and teacher resources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and they are different for each country. The structural system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each country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objectives and goal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The presented structural systems are presented integrally or specifically in the language are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structural componen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curriculum in each country, the objectives and goal were comprehensively suggested considering verbal and non-verbal elements of communication, ultimately aiming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The contents showed a tendency to be inconsistent with the emphasis on objectives and purposes in some nations, but most of the elements were distributed evenly except for the non-verbal cu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presented a teacher's strategy and approach in all countries and most of them followed the integrated approach. Also, in some countries, the teaching method was presented based on age or was mentioned in relation to a literacy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 is to check and reflect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also to develop children's language and evaluate environment. In some countries, evaluation index was provided in order to monito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xpected learning outco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