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종-
dc.contributor.author김은실-
dc.creator김은실-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1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1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3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3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0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방암과 전립선암 등 고형암환자의 골 전이와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투여한 후 MRONJ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가 발병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로 의뢰되어 2010년 1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 사이에 MRONJ 확진으로 턱뼈 괴사 관련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유방암, 다발성 골수종, 골다공증의 기저질환이 있는 74명 중 기록이 완전한 69명의 MRONJ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평가항목은 의무기록에 기초하여 (i) 나이, 성별 (ii) 비스포스포네이트 종류,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세부사항 (사용 시작, 치료 기간), (iii) MRONJ 세부사항 (진단 날짜, 이환 부위 및 종류), (iv) 치과 기록 (치과 수술의 병력 및 MRONJ 진단을 위한 의치의 사용을 포함), (v) 전신병력 (제2형 당뇨병,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항혈관형성제의 사용을 포함), (vi) 흡연경력 (vii)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로 치료받은 환자의 경우 가장 긴 시간 동안 사용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발병 위험요소에 따라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유형과 질병으로 분석하여 MRONJ 발병 시간을 조사하였다. SigmaPlot (Systat Software Inc., San Jose, CA, USA)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RONJ의 임상적 특징 본 연구에서의 임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가. MRONJ환자의 연령분포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MRONJ를 가진 69명의 환자의 나이는 45~97세였으며, 70대 29명(42%)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Figure 3). 평균연령은 74.5세(42%)였다. 나. MRONJ 환자의 성별 비율 남성 3명(4.3%)보다 여성 66명 (95.7%)가 많았다. 다. 기저질환의 분포 MRONJ 환자의 기저질환으로는 골다공증(osteoncrosis) 환자가 57명 (78.3%)로 가장 많았고, 유방암(9명, 13%), 다발성 골수종(3명, 4.3%) 순서이다. 라. MRONJ 위험요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중 위험요인으로 치조골 수술의 경우 16명, (23.2%), 임플란트 수술의 경우는 11명, (15.9%), 틀니 사용의 경우는 4명, (5.8%)로 보고되었다. 반면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중 특정한 치과 치료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된 경우도 38명, (55.1%) 있었다. 마. 괴사골 노출 여부 및 이환 부위 괴사 골이 노출된 경우 (23명, 33.3%)보다 비노출 된 경우 (46명, 66.7%)가 더 많았다. 괴사부위 분포를 분석한 결과 하악 (40명, 58%)이 많았고 상악 (24명, 34.8%) 다음으로 상, 하악 동시 (4명, 5.8%) 이환으로 나타났다. MRONJ로 인하여 괴사한 턱뼈 부위는 후방에서 26 증례, 전방에서 2 증례, 우측에서 37 증례, 좌측에서 25 증례 그리고 좌, 우측 증례 5건으로 나타났다. 2. MRONJ 평균 발병시간( TTO: Time to MRONJ onset) (95% CI) 가. 다변수 콕스 회귀 분석에서 MRONJ 관련 인자로는 치과적 수술 (치조골 수술, 임플란트) 및 의치 사용 관련 등이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에 의한 턱뼈괴사증이 연관되어 있었고 항암제 사용은 Zoledronate로 치료받은 암 환자의 발병 시간과의 연관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나.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성분명에 따라 분석한 결과, Zoledronate 투여군(n=12)에서 1.98(1.00 – 2.96) 년, Risedronate (n=12) 3.80(1.97 – 5.63) 년, Alendronate(n=30) 5.25 (3.69 – 6.81) 년, Ibandronate (n=15) 5.67 (3.39 – 7.95) 년, Pamidronate(n=1) 6년 순으로 발병 시간의 짧은 순서로 나타났다. 다. 기저질환에 따라 분석한 결과, TTO의 평균값은 유방암의 경우 1.38 (0.67 – 2.09) 년, 다발성 골수종 3.80 (NA – 7.80) 년, 골다공증의 경우 5.09 (NA – 14.85) 년이었다. 턱뼈 괴사 (ONJ)는 비스포스포네이트 (BP) 및 다른 항흡수제 치료에 심각한 부작용이다. MRONJ의 빈도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유형 및 효능, 투여 및 기저 질환의 경로에 대해 관찰 된 현저한 차이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기간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나 장기 이식술을 받기 전 미리 예방적인 치과 치료를 받고 암 환자나 골다공증 환자에서 장기간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받을 예정된 자에서 마찬가지로 MRONJ 발병 우려가 있음을 설명과 구강위생 관련 예방적 교육 및 구강검진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OBJECTIVES: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MRONJ) is a potentially severe adverse effect of bisphosphonates. Although the risk of MRONJ increases with increasing duration of bisphosphonate treatment, there are no reliable estimates of the MRONJ time to onset up to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ime (TTO)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ultiple myeloma, and osteoporosis. MATERIALS AND N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enrolling MRONJ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t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2010 to August 31, 2018. The patients was developed MRONJ (Medication related necrosis of the jaw) after bisphosphonate treatment and MRONJ accurately diagnosed and operated on by MRONJ with underlying disease of breast cancer, multiple myeloma and osteoporosis of 69 MRONJ patients with complete records of 74 patient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linical features of MRONJ in the 69 patients with bisphosphonate-related MRONJ were between 45 and 97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 distribution was in the 70s and 29 patients (42%). The mean age was 74.5 years (42%). The gender ratio of MRONJ patients was higher in 66 (95.7%) than in 3 (4.3%) men. The underlying disease distribution of patients with MRONJ was osteonecrosis in 57 (78.3%), followed by breast cancer (9, 13%) and multiple myeloma (3, 4.3%). MRONJ risk factors were reported in 16 cases of alveolar bone surgery (23.2%), implant (11 cases, 15.9%) and denture use (4 cases, 5.8%)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On the other hand, among 31 MRONJ patients without history of dental treatment (55.1%) was the highest among the patients without bisphosphonate treatment. The distribution of necrotic areas was the most common in the lower jaw (40, 58%), followed by upper jaw (24, 34.8%) and both upper and lower jaw (4.8, 5.8%). The necrotic area of the jaws was 26 cases in the posterior part, 2 cases in the anterior part, 37 cases in the right side, 25 cases in the left side, and 5 cases in both left side and right side. The mean (95%CI) TTO by the bisphosphonate type, was 1.98(1.00 – 2.96) years in patients treated with Zolendronate (n = 12), 3.80(1.97 – 5.63)years in treated with Risedronate (n = 12), 5.25 (3.69 – 6.81)years in treated with Alendronate (n = 30), 5.67 (3.39 – 7.95)years in treated with Ibandronate (n = 15) and 6years in treated with Pamidronate(n=1). by the disease type, the mean (95%CI) TTO was 1.38(0.67-2.09)years for breast cancer, 3.80 (NA - 7.80)years for multiple myeloma and 5.09 (NA - 14.85) years for osteoporosis.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showed that MRONJ related factors include dental surgery (alveolar bone surgery, implants) and denture use, which are caused by bisphosphonate associated, and the use of antiangiogenics directly not associated, with the TTO in patients with cancer treated with zoledronat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ncidence of MRONJ increases with the duration of bisphosphonates therapy, with notable differences observed with respect to bisphosphonates type and potency, route of administration and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atients who are scheduled to undergo long-term bisphosphonate treatment for cancer patients or osteoporosis patients have a likelihood of developing MRONJ, such as receiving prophylactic dental treatment before receiving radiation therapy or organ transplantation, the process that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8 A. 연구 대상 8 B. 연구 방법 11 C. 자료분석 14 D. 통계적 분석 16 Ⅲ. 연구 결과 17 A. 임상적 특징 17 1. MRONJ 환자의 연령 17 2. MRONJ 환자의 성별 17 3. 기저질환의 분포 17 4. MRONJ 위험요소 17 B. Time to MRONJ onset 23 1. 비스포스포네이트 유형별로 분석한 경우 23 2. 질병으로 분석한 경우 23 3. 질병, 비스포스포네이트 유형별로 분석한 경우 23 C. MRONJ의 TTO와 연관되는 위험요소와의 관계 26 1. 암 환자 26 2. 골다공증 환자 26 Ⅳ. 고찰 27 Ⅴ. 결론 32 참고문헌 35 ABSTRACT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71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턱뼈괴사증 환자의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기간과 위험인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후향적 연구-
dc.title.translatedDuration of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and risk factors in MRONJ : A Retrospective study-
dc.creator.othernameEun-Sil Kim-
dc.format.pagevii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