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건희-
dc.contributor.author박소영-
dc.creator박소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11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1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9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04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건선환자를 대상으로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및 피부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와 피부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건선환자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5일부터 11월 21일까지 일 대학병원에서 건선을 진단받고 외래 내원중인 환자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1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 건선스트레스는 건선스트레스척도(Psoriasis Life Stress Inventory: PLSI), 불확실성은 불확실성척도(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Community Form: MUIS-C), 우울은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피부관련 삶의 질은 피부관련 삶의 질 척도(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 post hoc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피부관련 삶의 질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이 피부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은 46.22±14.37세로 40대 이상이 69.5%로 가장 많았고, 남자가 55.9%, 기혼이 72%이었으며 과거 흡연을 했으나 현재 금연 중인 사람이 26.3%로 높게 나타났다. 건선중증도의 경우 대상자의 55.9%가 객관적 지표인 Psoriasis Area Severity Index (PASI)가 5점 이하인 경증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지표인 자가경증도(Self-Reported Severity Score, SRSS)가 평균 5.09점±1.92점이었다. 건선의 발병연령은 평균 33.54±14.18세로 20~29세에 28.8%로 가장 많았다.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가 53.4%이었고, 49.2%가 Body Mass Index (BMI)상 과체중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4.6%가 건선 이외 다른 질환을 앓고 있었다. 2. 대상자의 건선스트레스는 평균 18.83±9.44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미용‧사회적 측면 16.86±9.07점, 신체적 측면 1.97±0.87점 순이었으며, 불확실성은 평균 69.04±9.39점이었다. 우울은 평균 24.50±11.53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우울 정서 영역 8.08±5.36점, 신체적 저하 영역 8.08±4.80점, 긍정적 정서 영역 6.56±2.32점, 대인관계 영역 1.78±1.47점 순이었으며, 피부관련 삶의 질 점수는 평균 14.19±6.83점이었다. 3. 건선스트레스는 일반적 특성 중 흡연형태(F=3.326, p=.03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관련 특성 중 PASI (F=11.33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F=-3.152, p=.002), 연령(F=4.626, p=.012), 소득 수준(F=3.789, p=.012), 흡연형태(F=8.17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F=-2.395, p=.018), 흡연(F=4.090, p=.019)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관련 특성 중 PASI (F=6.377,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관련 삶의 질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F=4.016, p=.021), 흡연형태(F=7.48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관련 특성 중 PASI (F=13.09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건선스트레스와 피부관련 삶의 질(r=.735, p〈.001), 불확실성과 피부관련 삶의 질(r=.408, p〈.001), 우울과 피부관련 삶의 질(r=.70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피부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선스트레스의 미용 ‧ 사회적 측면(β=.388, p〈.001), 우울의 신체적 저하(β=.341, p〈.001), SRSS (β=.194, p=.005)이었고, 이들 변수는 피부관련 삶의 질을 60.1%를 설명하였으며(F=59.730, p〈.001), 건선스트레스의 미용 ‧ 사회적 측면과 우울의 신체적 저하가 피부관련 삶의 질의 가장 큰 설명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선스트레스의 미용 ‧ 사회적 측면이 높을수록, 우울의 신체적 저하가 높을수록, SRSS가 높을수록 피부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건선환자의 피부관련 삶의 질,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및 우울 모두 중등도 이상으로 확인되었고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선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중증도가 건선환자의 피부관련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건선환자의 건선스트레스와 우울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겠다. ;This descriptive research is for providing a basic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by understanding a degree of psoriasis stress, uncertainty, depression, and dermatology life quality and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on skin related quality of life. 118 psoriasis patient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soriasis Life Stress Inventory (PLSI),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Community Form (MUIS-C),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 from 5th October to 21th November 20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6.2±14.37 years; the age group of 40s is the biggest part. 55.9% of the subjects was male; 72% was the married; 44.9% was non-smoking status. ‘Mild’ degree of Psoriasis Area Severity Index (PASI) as an objective index is 55.9% and the average of Self-Reported-Severity Score (SRSS) in aspect of subjective index is 5.09±1.92. The average age of psoriasis pathogenesis was 33.5±14.18 years and the 20-29 old age group was taken the biggest part as 28.8%. 53.4% of all subjects has been under the disease period for more than 10 years. In case of Body Mass Index (BMI), the overweight and obesity group was 49.2%. 24.6% of the subjects has been having other diseases. 2. The average PLSI was 18.83±9.44; according to subdomains, cosmetic disfigurement-social stigma was 16.86±9.07 and physical aspect was 1.97±0.87. The average MUIS-C was 69.04±9.39. The mean of CES-D was 24.50±11.53; depressive affect was 8.08±5.36, somatic symptom was 8.08±4.80, positive affect scope was 6.56±2.32,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1.78±1.47 by subdomains. The average score of DLQI was 14.19±6.83. 3. PLS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moking form (F=3.326, p=.039), also to PASI (F=11.334, p<.001) of subjects’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MUIS-C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gender (F=-3.152, p=.002), age (F=4.626, p=.012), income level (F=3.789, p=.012), and smoking type (F=8.175, p<.001). CES-D was shown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gender (F=-2.395, p=.018), and smoking type (F=4.090, p=.019) and PASI (F=6.377, p=.002) among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DLQI was shown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4.016, p=.021), smoking type (F=7.489, p=.00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SI (F=13.092, p<.001) in the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4. DLQI had a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each other with PLSI (r=.735, p<.001), MUIS-C (r=.408, p<.001), and CES-D (r=.700, p<.001). 5. Factors affecting on DLQI of the subjects were cosmetic disfigurement-social stigma of PLSI (β=.388, p<.001), somatic symptom of CES-D (β=.341, p<.001), and SRSS (β=.194, p=.005)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60.1% of DLQI (F=59.730, p<.001). Cosmetic disfigurement-social stigma of PLSI, somatic symptom of CES-D were the biggest explanatory factor of the DLQI. The subjec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smetic disfigurement-social stigma of PLSI and somatic symptom of CES-D, the higher the SRSS, the higher DLQI. According to the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patients with psoriasis has low dermatology life quality, and the level of psoriasis stress, uncertainty, depression has been more than moderate. Psoriasis stress, uncertainty and depression were highly associated with lower life quality in psoriasis. Psoriasis stress, depression and subjective severity were also as significant impacts factor of dermatology life quality in patients with psoriasi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soriasis patient to release and management of psoriasis stress and depression of psoriasis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정의 4 Ⅱ. 문헌 고찰 6 A. 건선환자의 피부관련 삶의 질 6 B. 건선환자의 피부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12 Ⅲ. 연구방법 18 A. 연구설계 18 B. 연구대상 18 C. 연구도구 19 D. 자료수집 21 E. 자료분석 21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G. 연구의 제한점 22 Ⅳ. 연구결과 23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23 B. 대상자의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피부관련 삶의 질 27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피부관련 삶의 질 31 D.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피부관련 삶의 질 38 E.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 피부관련 삶의 질의 관계 43 F. 피부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5 Ⅴ. 결론 및 제언 49 A. 결론 49 B. 제언 52 참고문헌 53 부록 65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76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건선환자의 건선스트레스, 불확실성, 우울이 피부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건선환자의 피부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dc.title.translatedEffects of Psoriasis Stress, Uncertainty and Depression on Dermatology Life Quality of Psoriasis Patients-
dc.creator.othernamePark, So Young-
dc.format.pagev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