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윤정-
dc.contributor.author오승은-
dc.creator오승은-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1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1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5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51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037-
dc.description.abstract인체는 호르몬 변화, 산화적 스트레스, 음식 섭취와 신체 활동 감소 등으로 인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격근육량의 감소를 포함한 체구성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근감소증은 연령 증가에 따른 골격근육량과 근력의 손실 증상을 일컫는 것으로, 신체 능력 감소, 삶의 질 저하, 낙상과 사망률 증가 및 높은 의료비용 지출을 초래하게 된다. 이는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영양은 근감소증의 복합적 병인 중 중요한 요인이며,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D, 항산화 영양소 섭취 등과 근감소증 위험 간의 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중년 성인의 근감소증 위험과 관련된 식품 영양 섭취 요인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50-64세 중년 성인들을 대상으로 근감소증 위험과 관련된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알칼리성 식품 섭취 비율과 근감소증 발병 위험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와 제 5기(2008-2011)의 자료를 활용하여, 50-64세 중년 남성과 폐경 후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연구 대상자는 남성 1,466명, 여성 1,527명 중 사지 근육량을 체중으로 나눈 값(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weight, ASM/wt)을 기준으로 건강한 20-40세의 평균에서 표준편차 두 배 값 미만이면 근감소증군, 이상이면 정상군으로 분류하여 남성(근감소증군 35명, 정상군 1,431명), 여성(근감소증군 92명, 정상군 1,4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 습관을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는 연령에서 근감소증군과 정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여성에서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근감소증군과 정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체계측 및 혈압, 혈액 검사 분석 결과, ASM/weight, ASM, 체중, BMI, 허리둘레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신장과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은 여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군별 섭취량과 식품 섭취의 다양성, 알칼리성 식품 대 산성 식품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는 육류 및 그 제품, 유류 및 그 제품, 종실류 및 그 제품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에서는 채소류, 과실류, 유류 및 그 제품, 음료 및 주류와 식품군 점수, 알칼리성 식품 대 산성 식품 섭취의 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을 영양밀도로 분석한 결과, 남성은 단백질과 탄수화물, 여성은 섬유소와 나이아신, 칼슘, 인, 칼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군 및 영양밀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는 섭취 수준에 따라 섭취 유무 또는 삼분위수로 나누어 분위수에 따른 근감소증 위험도를 교차비로 확인을 하였다. 그 결과, 남성에서 단백질 섭취량의 경우, 섭취량이 많을수록 근감소증 위험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연령, BMI, 허리둘레,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model 3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성에서 섬유소 섭취량의 경우, 섭취량이 가장 높은 삼분위수군이 일분위수에 비해 0.47(0.25-0.89)로 근감소증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섬유소 섭취량이 높을수록 낮은 근감소증 위험과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근감소증 위험과 관련된 식품영양 요인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은 육류와 유류 그리고 종실류의 식품 섭취와 다량영양소 섭취, 특히 단백질 섭취와 상관성이 높은 반면, 여성은 채소류, 과실류, 유류 섭취와의 상관성이 높고 이와 관련된 섬유소, 나이아신, 칼슘, 인, 칼륨 섭취와 상관성이 높았다. 특히 여성의 경우, 알칼리성 식품 대 산성 식품 섭취의 비율에서 유의차를 나타냈고, 이와 관련된 섬유소 섭취는 섭취량이 높을수록 낮은 근감소증 위험과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인 50-64세 성인에서 증가하고 있는 근감소증 유병률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적절한 단백질 섭취와 충분한 채소와 과일 섭취를 통한 체내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별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료된다.;Sarcopenia is age-related loss of muscle mass and function. Adequate nutritional intake in elderly population has been emphasized to prevent sarcopen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sarcopenia and foods and nutrients intake, especially in dietary fiber intake and acid-base balance among Korean 50-64 years adults based on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udy subjects were 1,466 men and 1,527 postmenopausal women who participated in health and dietary data. Sarcopenia was defined as an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SM) devided by weight (%) that was greater than two standard deviations below the sex-specific mean for healthy young adults. Dietary variables were assessed using data from the 24-recall method. In men, sarcopenic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ntake meats. Also, in women, sarcopenic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lower ratio of fruits and vegetables to potential acidogenic foods (meats, fish, diary foods, eggs and cereal foods). In men, sarcopenic group consumed less protein and carbohydrat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lso, in women, sarcopenic group consumed less fiber, niacin, calcium, phosphorous and potassium,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women, after adjustment for age, BMI, waist circumference, and energy intake, compared with participants in the lowest tertile of fiber intake, those in the highest quartile had an odds ratio for sarcopenia of 0.47 (95% CI=0.25-0.89; P for trend=0.0240). In conclusion, it is crucial to consume sufficient amounts of fruits and vegetables to maintain adequate acid-base balance as well as efficient protein intake for protecting against sarcopen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1 1. 근감소증 정의 1 2. 근감소증 진단방법 3 3. 근감소증 발병 요인 7 4. 근감소증과 영양소 섭취 10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C. 연구 가설 17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8 A. 연구 대상자 18 B.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설명 20 C. 연구 변수 측정 21 D. 식품의 다양성 평가 23 E. 영양소 질 평가 25 F. 통계 분석 26 Ⅲ. 연구결과 27 A. 연구 대상자의 특성 27 1. 인구사회학적 요인 27 2. 생활습관 요인 30 3. 신체계측 및 혈압, 혈액 성분 33 B. 식품섭취 상태 비교 및 식사의 질 평가 36 1. 식품군별 섭취량, 식품섭취의 다양성 및 식사 산-염기 부하 36 2.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비교 및 평가 39 C. 식품 섭취량과 근감소증과의 교차비 47 D. 영양밀도와 근감소증과의 교차비 53 Ⅳ. 고찰 60 Ⅴ. 요약 및 결론 65 REFERENCES 68 APPENDICES 78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63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50-64세 성인의 근감소증 유무에 따른 식품과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알칼리성 식품 섭취 비율-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ssociations of Foods and Nutrients Intake and Acid-Base Balance in Diet with a Risk for Sarcopenia in 50-64 years Adults-
dc.creator.othernameOh, Seungeun-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