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6 Download: 0

패션모델의 셀프리더십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패션모델의 셀프리더십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fashion model’s self-leadership on their job satisfaction
Authors
정우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정래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self-leadership of fashion models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Although the number of fashion models has increased because of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media and fashion industry in modern society, research on fashion models’ satisfaction to their job or the contributing factors is still lacking. Becoming a fashion model requires a strict self-management because of its unique job characteristic.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fashion models,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ir self-leadership, which is the parent concept of self-management,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In this paper, a self-goal setting, a self-motivation by the work, and an imagination of successful performance were determined as the three critical components of self-leadership via a literature review. For the job satisfaction, the inner satisfaction and outer satisfaction were determined as two crucial factor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self-leadership of fashion models contributes to job satisfaction by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factors. This research found that all three factors of self-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ner satisfaction of fashion model jobs. However, only self-goal setting and self-motivation by the work affected the outer satisfaction. The gender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annual income among occupational factors influenced the outer satisfaction. In conclusion, self-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s the job inner satisfaction. However, the job outer satisfaction is influenced not only by self-leadership but also by other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factors.;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모델의 셀프리더십이 직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미디어와 패션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패션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패션모델을 직업으로 가지는 사람의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패션모델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나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패션모델의 직업특성상 엄격한 자기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자기관리의 상위 개념인 셀프리더십이 이들의 직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셀프리더십을 자기목표 설정, 일 자체의 동기부여, 성공적인 수행 상상하기 3가지 요인으로 설정하였고, 직업만족도는 내적 만족도와 외적 만족도 2가지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패션모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직업적 요인을 통제하여 패션모델의 셀프리더십이 직업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은 패션모델의 직업의 내적만족도에 3가지 요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외적 만족도에는 자기목표설정과 일 자체를 통한 동기부여 2가지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변수 중 성별이 외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직업적 변수 중 1년간 모델 활동으로 인한 수입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셀프리더십은 직업의 내적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외적 만족도에는 셀프리더십 이외의 다른 변수들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