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6 Download: 0

한국적 제품디자인에 대한 인식 연구

Title
한국적 제품디자인에 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recognition for Korean product desig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ableware in Korea, China, and the USA
Authors
이주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Recently, interest in food including Korean cuisine is expanding. There are a lot of programs about food and cooking on air. With the popularity of Hallyu [Korean Wave], many food programs are made such as a foreigner introduces Korean food to his/her friends and foreigners compete one another in Korean food cooking contests. There are also programs where Koreans go to overseas to cook and sell Korean food. In these programs, food is the main subject so it gets a lot of exposure. As a result of these exposures, not only Korea but also many other countries will have a keen interest in Korean food while watching Korean programs. In the programs, they do not use foreign brand products for plating, but they use various domestic brands such as traditional Korean ceramics and traditional brassware. They prefer products that can show Korean classic beauty. It is time to study the domestic tableware that can make food (Korean food) more prominent.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what aesthetic elements are felt as authentic Korean and what images Korean and foreign consumers have for authentic Korean,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they have thought about in the past focusing on aesthetic elements (color, pattern, material and shape) to understand the design awareness of consumers in Korea, US and China on the Korean “tableware” and the authentic Korean image that they have and Korean image of Korea's "tableware" in Korea, America and China.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a survey were performe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domestic brands tableware. A total of 24 tableware products (8 products per item) were selected through the help of the experts. A total of 90 people, 30 in each country from Korea, US and China, were interviewed. A total of 9 products (3 per item) were extracted from the survey result a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design. Three language expressions that consumers think of on the Korean design were also abstra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Excel to induce basic statistics. Based on the extracted nine products and the three language expressions, the second in-depth analysis was made on 15 people (3 people from each country) who were selected out of 90 people. In the depth analysis, representative dishes, cups, and cutlery products were selected.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aesthetic elements such as color, pattern, material, and form for the design analysis. For more detailed evaluation, the consumers’ opinions on the design were also collected. In the depth analysis, representative dishes, cups, and cutlery products were selected by country and analyzed in terms of design color, pattern, material, and form in terms of design analysis method. For more detailed evaluation, we also questioned and analyzed the ideas of each of the design elements selected by consumers. The colors of Korean tableware products were questioned and analyzed through the color image scale of each product. Finally, three language expressions selected out of 16 Korean images were asked in depth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ople from the three countries selected “Baren Brassware and earthware” as the plates and bowls with representative Korean design Koreans and American participants selected “GWangjuyo” products. Chinese selected “Torang” products. All the three countries selected “Ceramic House” products as cups with representative Korean design. Koreans and Americans selected “Kimjianan” products. Koreans and Chinese selected “Gwangjuyo” products. When comparing the results by country, Americans selected “Damun” products and Chinese selected “Kim Seonghun Dojagi” products. In common, all of three countries selected “Gwangjuyo” and “Bareun Brassware” products as Korean imag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Koreans and Chinese selected “Munsal [the frame of a paper sliding door]”. In the comparison by country, they selected “Ilseong Royal”. The image of the overall color scheme of Korean "Tableware" was represented by five words such as "modern", "decent", "elegant", "gentle", and "mild". There was no common language expression that the three countries select in common among the 3 expressions selected from the 16language expression on the Korean image. Koreans and Americans selected "delicate" in common, Americans and Chinese chose "sensuous" in common, and Koreans and Chinese chose "luxurious" in common. In the comparison by country, Americans selected “innovative”, Chinese selected “fresh”, and Koreans selected “classi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Koreans focused on "color, pattern, material and form", Americans focused on "material and color", and Chinese focused on "color and material" as the important design element of Korean tablewa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design factors among the countries, and could induce the key elements of Korean design. This will help to establish Korean design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However, since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re limited to three countries and the participants are limited to those who know Korea to some extent,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The imitations can be supplemented by combining unspecified number of surveys through SNS on the foreigners living overseas in the future.;최근 한식을 비롯한 음식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방송에서는 여러 음식, 요리 관련 프로그램들이 많이 방영되고 있다.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인이 아니라 외국인들이 한식을 친구들에게 소개 시켜주는 예능, 외국인이 한식으로 요리 경연을 하는 프로그램까지 생겨났다. 또한 한국인들이 직접 외국에 나가서 한식을 요리해서 판매하는 모습을 담은 프로그램들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모두 음식이 많이 노출되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이러한 노출로 인해 한국뿐만 아니라 많은 다양한 국가들이 우리나라 프로그램을 보며 한식에 대한 관심을 자연스레 갖게 된다. 프로그램 안에서도 외국브랜드 제품을 플레이팅 에 쓰지 않고 한국 전통의 도자 재질이나 유기 재질 등 여러 국내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의 고전미를 살릴 수 있는 제품 들을 선호하는 것이다. 음식(한식)을 더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국내의 테이블웨어 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미국,중국의 소비자가 갖는 한국의 테이블웨어 에 대한 디자인 인식과 한국적인 이미지를 알아 보기 위해 심미성 요소 (색상, 문양, 재질, 형태) 에 중점을 두고 어떤 심미성 요소들이 한국적으로 느껴지는지, 국내외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한국적 이미지가 무엇인지, 그들이 그 동안 생각해왔던 인식이 무엇인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 사례분석, 설문조사의 과정을 거쳤으며 한국 테이블웨어 의 브랜드만 선정하여 제품들을 골랐다. 그 제품들 중 전문가들의 의견들을 통해 각 품목당 8개의 각기 다른 제품 디자인의 테이블웨어 총 24가지를 선별하였고, 한국, 미국, 중국인을 대상으로 각 나라별 30명씩 총 90명을 대상으로 1차 인터뷰 설문지 조사를 통해 대표적으로 떠올린 한국적 제품디자인을 각 품목별로 3가지씩 총 9개의 제품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한국적 제품디자인에 대한 언어적 표현도 각 3가지를 추출하였다. 자료 처리는 엑셀을 활용하여 기초 통계를 도출하였고 추출된 각 나라별 총 9개의 제품들과 언어적 표현 3가지를 기반으로 이들 90명 중 2차 심층분석을 각 나라별 5명씩 총 15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심층분석에서는 나라별로 그들이 뽑은 대표적인 접시 및 그릇, 컵, 수저 제품들을 디자인 분석 방법으로 심미성 요소인 색상, 문양, 재질, 형태 언급을 분석하였다. 보다 자세한 평가를 위해 소비자가 선택한 디자인적 요소들에 대한 각자의 생각도 질문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의 테이블웨어 제품들의 색상이 주는 느낌을 각 제품당 배색 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색상에 대해 질문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16가지의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언어적 표현 중 대표적으로 꼽힌 3가지에 대한 심층 질문 하고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대표적으로 떠올린 한국적 제품디자인의 접시 및 그릇에서는 국가별 공통점으로 세 나라 모두 ‘바른 유기’와 ‘옹기’ 제품을 한국적 이미지로 선택하였다. 또한 한국과 미국이 결과에서 ‘광주요’ 제품을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국가별 비교로 중국만 ‘토랑’ 제품을 선택하였다. 컵에서는 국가별 공통점으로 세 나라가 모두 ‘세라믹하우스’ 제품을 선택하였다. 한국과 미국은 ‘김지아나’ 제품을 선택하였다. 한국과 중국은 ‘광주요’ 제품을 선택하였다. 국가별 비교로 미국만 ‘다문’ 제품을 골랐고 중국만 ‘김성훈 도자기’ 제품을 고른 것을 볼 수 있다. 수저에서는 국가별 공통점으로 세 나라 모두‘광주요’와‘바른 유기’제품을 한국적 이미지로 선택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이 ‘문살’을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국가별 비교로 미국만‘일성로얄’을 고른 것을 볼 수 있다. 한국 테이블웨어 의 전체적인 배색의 이미지 색상은 ‘모던한’,‘점잖은’, ‘우아한’,‘은은한’,‘온화한’총 5개의 결과가 나왔다. 16가지의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언어적 표현 중 대표적으로 꼽힌 3가지에 대한 각 국가별 공통적으로 뽑은 언어적 표현은 없었다. 한국과 미국이 공통적으로 ‘섬세한’ 을 선택하였고, 미국과 중국인 ‘감각적인’ 을 공통으로 선택하였고, 한국과 중국이 ‘고급스러운’ 을 공통적으로 선택하였다. 국가별 비교로 미국만 ‘혁신적인’형용사를 선택하였고, 중국만 ‘신선한’형용사 만을 선택하였고 한국만 ‘고전적인’ 형용사를 선택했다. 심층 인터뷰 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각 나라마다 꼽은 한국의 테이블웨어 의 디자인요소로 한국은 ‘색상,문양,재질,형태’을 중심으로, 미국은 ‘재질,색상’을 중심으로, 중국은 ‘색상,재질’을 중심으로 언급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별로 디자인 요소에 생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고, 한국적 디자인의 핵심요소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적 디자인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나라가 세 개의 국가로 한정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한국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다소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향후 해외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SNS 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설문을 결합하여 보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