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방임적 양육방식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

Title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방임적 양육방식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변화
Other Titles
The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Self-esteem and Neglected parenting style
Authors
최다솔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성장궤적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방임적 양육방식이 다문화수용성의 성장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중 2차년도, 4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제외한 1,731명(남자 906명, 여자 82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MPLUS 8.0을 이용하여 다문화수용성의 선형 잠재성장모형,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의 병렬과정 잠재성장모형, 방임적 양육방식과 다문화수용성의 병렬과정 잠재성장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처음 시점에서 다문화수용성 수준에는 개인차가 있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다문화수용성 수준의 향상 정도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처음 시점부터 매년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초기값은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본 연구의 처음 시점에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으면 다문화수용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방임적 양육방식의 초기값은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본 연구의 처음 시점에서 방임적 양육방식을 지각하는 정도가 낮으면 다문화수용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변화율은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아존중감 수준의 변화정도가 클수록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방임적 양육방식의 변화율은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방임적 양육방식을 지각하는 수준의 변화정도가 클수록 다문화수용성 수준의 변화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의 초기값은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율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고, 방임적 양육방식의 초기값은 다문화수용성의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종단적 설계에서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초등학교 5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다문화수용성의 성장궤적을 추정하고, 그 성장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것에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또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효과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이라는 개인적 변인, 양육방식이라는 가정적 변인을 탐색하여 통합적이고 전략적 접근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미래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실제 현장에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개선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owth trajectory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neglected parenting style on the growth trajectory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is, 1,731 (906 males, 825 females) except for multicultural families were used for the 2011 data, 2013 data, 2015 data, and 2016 data of the 4th grade pane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Using MPLUS 8.0, we verifie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linear latent growth mod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of the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of neglected parenting styl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and rates of chang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time passes,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creases every year. Second,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The initial values of the neglected parenting style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urth, the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fth, the rate of change of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at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ixth,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initial value of neglected parenting sty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flow of time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ing. In particular, it is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in estimating the growth trajectory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trajectory.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ffectively, it is meaningful to find a practical way of integrated and strategic approach by exploring the self-esteem of personal variable and the parenting styles of family-environment variable. Also, we proposed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find practical ways to effectively enhanc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in actu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