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중학생의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indse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Students Are In Low-Income Families or Not
Authors
김숙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마인드셋,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설명해줄 수 있는 변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학업 상황에서 성취를 이루는 기저 변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인드셋,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 대해 국어, 영어, 수학 과목으로 나누어 과목별로 저소득층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습에 미치는 가정 소득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대상 및 목적에 부합하는「경기교육종단연구(GEPS)」2016년 조사의 중학교 2학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총 데이터 중 유효 자료 5,543개를 가구 소득에 따라 분류하여 저소득층 489명, 비저소득층 4,84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4.0와 Mplus 7.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변인들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과 저소득층 여부에 따른 독립표본 t-검증을 한 후 변인들 간 상관분석, 저소득층 여부에 따른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마인드셋과 국어, 영어, 수학 과목 각각의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마인드셋, 학업적 자기효능감, 국어, 영어, 수학 과목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과목별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고정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고정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국어와 영어 모형에서는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경로계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학 모형은 고정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마인드셋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고정 마인드셋에서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비저소득층 집단에서는 고정 마인드셋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저소득층 집단에서는 고정 마인드셋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고정 마인드셋이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그 과정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개인이 해석하는 지적 성장에 대한 가능성이 과제 성공에 대한 믿음과 유의한 영향을 맺고 학업 성취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은 학습에 있어 스스로 인식하는 자신에 대한 믿음 체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수학 과목에서 비저소득층 학생들은 지적 성장 가능성 여부에 대한 신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학업성취도까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저소득층 학생들의 경우 이러한 믿음이 과제 성공에 대한 믿음을 통하지 않고서는 실제 학업성취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를 위해서는 수준에 맞는 과제 성공 경험과 노력에 대한 격려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사이를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학습동기인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기대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가 우리나라의 학업 성취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서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탐색하여, 수학 과목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로를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수학 과목에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변인들 간 경로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를 탐구하고,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필요한 요인들에 대해 구체적이고 의미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seline variables that the learners achieve in the learning situ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fluence among the variables. Also,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family income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by verifying the coordination effects of low-income famil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s, academic self-efficacy, and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Gyeonggi Education Penal Study 2016 (GEPS 2016) middle school second year data. 5,543 valid data were classified into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group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data from 489 low income and 4842 non-low income households were used.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and Mplus 7.4 programs.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whether the low-income brackets were used, followed by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an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low income bracket. T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Nex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subjects. Finall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of mindse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subjects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are in low-income families or not.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fixed mindse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ademic impa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Korean and English models did not show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low income groups. However, in Mathematics, the path to fixed mindset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low income.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ath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xed mindset and in the path of academic achievement in academic self-efficacy. Thus, it was found that fixed mindse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non-low income group, but fixed mind se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low income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was a factor explaining the process of negative affect on the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he fact that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 growth interpreted by an individu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the task success and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shows the importance of self-aware belief system in learning.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non-low-income students' belief in the possibility of growth led to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low-income students' belief in the possibility of growth did not lead to actual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passing on the belief in task success, showed that self-efficacy is needed to encourage low-income students to succeed in math. The fact that the potential for intellectual growth interpreted by individual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lief in task success and even academic achievement shows the importance of a self-aware belief system in learning. As a consequence, this study verifi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s between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It shows that belief as learning motive, expectation of self a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 mathematic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reasons for differences in the pathways between the variables for low-income students and to provide concrete and meaningfu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factors necessary for academic achievement of low-incom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