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6 Download: 0

학교안전사고 분쟁의 특성 분석

Title
학교안전사고 분쟁의 특성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afety accident disputes : focusing on the judicial precedents and decisions by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Authors
송혜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School, which is the Constitutional educational field for all of Korean citizens, is a place where students spend 12 years. If a student is not safe in school, it means that the entire Korean citizens can be at risk for 12 yea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school, students, parents, teachers, principals, school boards, and superintendents come to face the questions of who is responsible and which compensation should be made for the damage caused by the accident. Acknowledging that school safety issue is not a personal risk that an individual affords but a social risk that a society should pay attention, the School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Compensation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chool Safety Act") was enacted in 2007 to prevent school safety accidents and helps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attendees to quickly and appropriately compensate the damage from the accident. The enactment of the School Safety Act imposes a duty on superintendents and principals to prevent school safety accidents and provides compensational benefits to victims regardless of the superintendents, principals, and teachers’ responsibilities in the event of a school safety accident. Thus, the act protects the lives and bodies of students and staffs from school safety accidents and establishes a practical school safety ne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 proces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based on the case studies related to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and school safety accidents. First, the decisions of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year, claimant, major issue, judgment content, and degree of damage. The cases were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jurisdictional court, litigation subject, major issue, judgment content, and degree of damage. Afterwards, the decisions of the Compensation Assessment Committee (including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which resulted in the lawsuit, were analyzed according to year, claimant, jurisdictional court, major issue, judgment content, and degree of damage. Finally, based on the Contingency Model of Conflict Resolution suggested by Richard Jackson (2000),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dispute proces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by analyzing the case studies and judgments of the Compensational Reassessment Committe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esent conditions of dispute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dispute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features of dispute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some cases from 'School Safety Incident Casebook' published by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Committee in 2015 and ‘School Safety Reduction and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Decision Casebook’ published by the same institution in 2014 were used. The number of disputes used in the study was 125. However, due to the cases with multiple issues in a single case, the total number of reclassified issues according to issues was 17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expla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the decisions made by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The majority of the victims’ school level was high school (32 cases, 43%). In terms of the degree of damage to the victims, 38 cases (50.7%) were reported with more than half of the serious injuries, which was interpreted as a reassessment request for substantial long-term treatment costs. In a similar context, the most frequent issue was about the calculation and criteria of specific amount of the compensation (41 cases, 43.6%). Regarding to the judgment content, 43 cases (57.3%) of dismissing the applicant's claim occupied the largest percentage. The second section expla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the decisions of school safety accidents. 33 cases (66%) were closed at the first trial, followed by 13 cases (26%) at the second and 4 (8%) at the third trial. For the analysis of the litigation subject, 17 cases (34%) in which a victim was a complainant and the Committee was a sole defendant occupied the majority, followed by 11 cases (22%) in which a superintendent was a sole defendant. There were 24 cases (48%) that included the Committee as a defendant, while there were 26 cases (52%) cases that included a superintendent as a defendant. The majority of the victims’ school level was elementary school (21 cases, 42%). Like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cases above, the damage of serious injuries (34 cases, 68%) occupied the majority of the whole cases. In terms of the issue analysis, 29 cases (36.7%) covered the issue of school principal’s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violation of principal's duties on protection and supervision. For the judgment content analysis, winning of a complainant (the victim) was dominant at the first trial (28 cases, 84.8%), while winning of a complainant (the victim) was few (2 cases, 15.4%). The third section expla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dispute cases in which a lawsuit was filed despite the judgment of the School Safety Reduction and Compensation Assessment Committee (including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in terms of the comparisons of judgment content, the Court interpreted the School Safety Act broadly and decided to pay the maximum amount of compensation to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 fourth section explained the context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 of school safety accident disputes. In terms of the school level and degree of damage of victims, the victims’ degree of damage were most severe in high school safety accidents. High school students usually had the most serious injuries in accidents led to disputes. In general, the issue of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was most frequent. In the cases of accidents led to disputes occurred in elementary school, the issue of school principal’s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violation of principal's duties on protection and supervision was similarly frequent in addition to the issue of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In terms of the degree of damage and issue, the degree of damage was most serious in the cases of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The fifth section explained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 of school safety accident disputes. In terms of the dispute intensity and dispute period, the less intensive disputes solved by the decision of the Committee occupied a minor proportion, with less than 5 years of dispute period. Nevertheless, since the cases with one intervention of the third-party and more than three interventions of the third-party had similar dispute intensit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isput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The sixth section explaine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process-consequence factors based on the context-fit model of conflict resolution. When the victim had serious injuries requiring more than three-week treatment due to the accident, the dispute intensity was highest. The intense the dispute was, the more likely the final judgment of compensation amount of the dispute negatively diverged from the original compensation amount claimed by the victim.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afety accidents are differentiated by school level. School safety accidents were most common in elementary school, but there were few cases in which reassessment was requested; most cases were filed against the superintendent. On the other hand, for high school, in spite of the lower frequency of school safety accidents, most of the cases claimed reassessment for serious injuries. For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incidence of school safety accidents is hig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more than other school levels and to give teachers and principals an active role for preven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s as supervisors. For high school, because of the frequent reassessment requests for substantial long-term treatment costs due to serious injuries, the compensation criteria for the treatment costs, including actual compensation examples for accidents involving serious injuries in high school, should be specifically informed to students, parents, and school staffs. Second, studies on the calculation of compensation amount are need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issues revealed that the disputes on specific compensation amount were most frequent in general, and the degree of damage was most serious in the cases with the specific compensation amount issu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laims of compensation more than a certain amount to go through additional assessment. Also, given that the disputes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specific compensation amount were most frequent, raising the compensation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in a basis of the research on actual compensation circumstances. Third, the promotion on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is required. The Committee, which has the three-trial system without additional charge of complainants, is convenient and effectiv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n fact, the disputes solved by the Committee’s judgment had the shortest dispute period less than 5 years, and the final compensation amount was determined close to the original compensation claim by the victim when choosing the Committee’s reassessment over lawsuit.;「대한민국헌법」 제31조에 의해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학교라는 장소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긴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 이런 공간인 학교에서 학생이 안전하지 않다면 이는 전 국민을 긴 시간 동안 위험에 처하게 한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학교안전사고는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개인의 위험이 아닌 사회가 공통으로 안아야 하는 사회위험이 된다. 실제로 학교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학생·학부모·교원·학교·교육청·교육감 등 그 사고로 인한 손해를 누가 어떻게 얼마나 보상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이는 교육현장을 위축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학생·교직원 및 교육활동 참여자(이하 ‘피공제자’)가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입은 피해를 신속·적정하게 보상·배상하기 위해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안전법」’)이 2007년 제정되었다. 「학교안전법」의 제정으로 교육감·학교장 등에게는 학교안전사고의 예방에 관한 책무가 부과되고,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교육감·학교장·교원 등이 그 사고 발생에 책임이 있는지를 묻지 않고 피해를 입은 구성원에 대하여 보상함으로써 학교안전사고로부터 학생·교직원 등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여 실질적인 학교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학교안전법」 제11조에 명시되어 있는 학교안전사고보상공제 사업(이하 ‘학교안전공제사업’)은 17개 시·도 교육감이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생명·신체에 피해를 입은 피공제자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업이다. 매년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보상건수와 보상금액이 증가추세임에 따라 보상금액(공제급여) 결정에 대한 이의도 발생하고 있다. 만약 학교안전공제회의 공제급여 결정에 불복한다면 심사청구를 시도학교안전공제회로 신청할 수 있고, 그 결정에 불복한다면 심사청구에 대한 재심사청구를 학교안전공제중앙회로 신청할 수 있다. 학교안전공제보상심사위원회(재심사위원회 포함)는 심사청구자의 비용부담이 전혀 없는 3심제도로 외부 전문가 위원들을 통해 심리·재결하고 있다.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은 계속 증가추세이나 이 분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학교안전법」 제정 이전에는 「학교안전법」의 필요성과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교원의 법적책임이 주제인 연구가 많았으나 「학교안전법」 제정 이후에는 구체적으로 「학교안전법」상 권리구제, 구상관계, 보상실태 등이 위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학교안전법」 제정 이후의 판례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며 또한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의 해결전략 중 하나인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이하 ‘보상재심사위원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 과정의 특성을 보상재심사위원회의 결정례와 학교안전사고 관련 판례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먼저 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를 연도별·청구인별·주요쟁점별·결정내용별·피해정도별 등으로 특성을 분석한 후, 판례 역시 연도별·관할법원별·소송주체별·주요쟁점별·판결내용별·피해정도별 등으로 특성을 분석하고, 소송으로 이어진 보상심사위원회(보상재심사위원회 포함)의 결정을 연도별·청구인별·관할법원별·주요쟁점별·결정내용별·피해정도별 등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Richard Jackson(2000)이 제시한 분쟁해결의 상황적합모델에 기초하여 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와 판례를 분석하여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 과정의 특성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의 특성은 어떠하며 둘째, 분쟁해결의 상황적합모델에 의한 학교안전사고 분쟁의 특성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의 과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교안전공제중앙회에서 가장 최근인 2014년에 발간한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 재결 사례집’과 같은 기관에서 가장 최근인 2015년에 발간한 ‘학교안전사고 판례집’의 사례를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사례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 사용한 분쟁사례의 건수는 125건이나 한 사례에 여러 가지 쟁점이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쟁점을 기준으로 재분류한 쟁점 사례의 수는 총 173건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의 특성분석 결과에 따르면 피해학생의 학교급은 고등학교가 32건(43%)로 제일 많았다. 이를 2016년도 학교안전사고 발생통계와 비교하면, 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초등학교에 비해서 고등학교에서는 학교안전사고가 비교적 적게 일어나나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의 피해정도는 중상이 절반을 넘는 비율인 38건(50.7%)을 차지했는데 이는 장기적인 치료비용에 대한 실질적인 보전을 받고자 재심까지 청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주요쟁점도 구체적인 보상액의 산정과 기준에 대해 묻는 쟁점이 41건(43.6%)로 가장 많았다. 결정내용과 관련하여서는 청구인의 주장을 기각하는 경우가 43건(57.3%)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학교안전사고 판례의 특성분석 결과이다. 1심에서 분쟁이 종료된 경우가 33건(66%)로 가장 많았다. 소송주체별 분석으로는 피해학생 측이 원고이며 피고는 공제회를 단독 피고로 제기한 소송이 17건(3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시도교육감을 단독 피고로 제기한 소송이 11건(22%)로 많았다. 공제회를 포함하여 피고로 제기되는 소송은 24건(48%)이며 시도교육감을 포함하여 피고로 제기되는 소송은 더 많은 26건(52%)를 차지했다. 피해학생의 학교급은 초등학교가 21건(42%)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학생의 피해정도 역시 결정례 분석과 마찬가지로 중상이 34건으로 전체의 68%를 차지하였다. 쟁점별 분석에서는 학교장의 보호·감독의무 위반 인정여부를 묻는 교장의 책임관련 쟁점이 29건(36.7%)로 가장 많았다. 결정내용 분석결과로는 1심에서는 원고(피해학생)의 승소가 28건(84.8%)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심에서는 항소주체와 상관없이 원고(피해학생)의 손을 들어준 경우가 2건(15.4%)로 굉장히 적었다. 셋째, 학교안전공제보상심사위원회(재심사위원회 포함)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소송으로 진행된 분쟁사례의 특성분석 결과이다. 결정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법원에서는 「학교안전법」의 법리를 넓게 해석하여 피해학생 및 그 가족에게 보상금액을 최대한 지급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학교안전사고 분쟁 상황의 특성을 먼저 당사자의 특성인 피해학생의 학교급과 피해정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의 학교안전사고에서 학생의 피해정도가 제일 컸다. 분쟁상황의 특성을 당사자의 특성인 피해학생의 학교급과 쟁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고등학교에서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 관련 쟁점이 제일 많았으며 또한 학교안전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초등학교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이어지는 사고의 경우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과 더불어 학교장의 보호・감독의무를 묻는 쟁점이 비슷한 수준으로 많았다. 반면 유치원의 경우 학교안전사고 발생통계에 의하면 사고발생건수도 제일 적으며 관련 분쟁의 개수 자체도 굉장히 적었다. 마지막으로 분쟁상황의 특성을 학생의 피해정도과 분쟁이슈인 쟁점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구체적인 보상액 관련 쟁점에서 학생의 피해정도가 제일 컸다. 다섯째, 학교안전사고 분쟁 과정의 특성을 분쟁강도 및 분쟁기간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분쟁강도가 제일 약하여 보상재심사위원회의 결정으로 해결된 분쟁이 분쟁기간도 5년 이하인 경우에 가장 많이 모여 있었다. 분쟁과정의 특성을 분쟁강도와 제3자의 개입횟수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제3자의 개입횟수가 1회인 경우와 3회 이상 개입한 경우의 분쟁강도가 비슷하여 분쟁강도와 제3자의 개입횟수 사이에는 특별한 방향성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분쟁과정의 특성을 분쟁기간과 제3자의 개입횟수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공제회가 많이 분쟁과정에 많이 개입할수록 분쟁기간이 짧아지는 분포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학교안전사고 분쟁 결과의 특성 결과이다. 분쟁결과의 특성을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쟁해결전략인 재심과 소송으로 나누고, 피해학생 측에서 청구한 최초 금액과 최종 결정금액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송보다 재심에서 피해학생 측이 최초로 청구했던 금액과 가깝게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쟁해결전략으로 재심을 선택하는 것이 소송보다 최초 청구금액과 가깝게 결정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곱째, 분쟁해결의 상황적합모델의 특성에 따라 상황-과정-결과 요인간의 종합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상황적 요인에서는 학생의 피해정도를, 과정적 요인에서는 분쟁강도를, 결과적 요인에서는 금액차이라는 요소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학생의 피해정도가 사고로 인하여 3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중상일 때 분쟁강도가 가장 높으며 분쟁이 강해질수록 분쟁결과 최종 결정금액은 피해학생의 최초 청구금액과 적은 방향으로 멀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안전사고와 고등학교에서의 안전사고의 분쟁 진행양상이 다르므로 학교급별 학교안전사고 예방정책을 다르게 펼쳐야 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교안전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나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는 다소 적고, 시도교육감에게 책임을 물으며 소송을 제기한 경우는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안전사고 발생 빈도는 낮으나 대부분 중상 이상의 상해로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는 많았다. 이는 학교급과 상관없이 학생의 피해정도가 모두 중상인 경우가 제일 많음을 고려하면 피해학생 측에서 사고에 대한 과실을 학생이 초등학생일 때 학생본인의 책임보다 학교에 더 책임이 있다고 판단함을 나타낸다. 반면 피해학생측에서 학생이 고등학생일 경우 학교의 책임만큼 학생본인의 책임도 있다고 판단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안전사고 발생 빈도 자체가 높으므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에 다른 학교급보다 더 집중하고, 학교라는 공간에서 대리감독자 책임을 지는 교원과 교장에게 학교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 고등학교의 경우 중상 이상의 상해로 장기적인 치료비용에 대한 실질적인 보전을 위해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등학교에서 제일 많이 발생하는 중상 이상의 사고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예시를 포함하여 치료비용에 대한 공제급여 지급기준을 학생・학부모・교원 등에게 명확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장 빈번한 분쟁의 쟁점인 보상액 산정과 관련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쟁점을 기준으로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과 관련 분쟁사례가 전체적으로 제일 건수가 많았으며 분쟁상황의 특성분석 중 구체적인 보상액 관련 쟁점에서 학생의 피해정도가 제일 컸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학생의 피해에 대한 공제급여 청구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심사를 거칠 필요가 있다. 또한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과 관련된 분쟁이 가장 빈번하므로 보상실태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보상한도 상향에 대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피해학생 측에서 청구한 금액과 더 가깝게 최종 금액이 결정될 수 있는 전략인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는 심사청구자의 비용부담이 전혀 없는 3심제도로 편리하고 효율적인 공적분쟁조정제도(ADR)이다. 실제로 보상재심사위원회의 결정으로 해결된 분쟁이 분쟁기간이 5년 이하로 가장 짧았으며 분쟁해결전략으로 소송보다 재심을 선택하는 것이 피해학생 측에서 청구한 금액과 가깝게 금액이 결정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