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이초원-
dc.creator이초원-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59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5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9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9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7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 implement ways to activate role play in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change and reaction of children and teachers. The With such purposes, research topics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ive ways to activate role plays in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2. What are the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s on ways to activate role play in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This research was performed at the Leaf Research Center, which is the institu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within a university research center in Seoul. Research targets included 12 children, 2 teachers (including the researcher) and 1 teacher assistant of the Nari class. Research period started on April 10, 2018 and ended on November 30, 2018. Research process steps were as follows: Identify & finding ways to solve issues about the support for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initial implementation, evaluation for the initial implementation, secondary search for solutions, secondary implementation and final evaluation. In order to determine research results, the behavior of children and teachers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Also, the researcher did a brief outline on the scene, which was then encoded and categorized for research subject-base analysis. Also, education plans, photographs, peer teacher interviews and researcher journal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ssues in role play of the Nari class (a class for 2-year-old children), the overall physical environment needs to be rearranged considering infant’s interest for the role play, as well as to improve the teachers’ passive attitude towards role plays for infants. Also, support was nee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interaction between infants during the role play as well as to form relationships where infants play with their peers. The initial implement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need. On initial implementation, emergent role play support was provided so that teachers can perform various, appropriate roles on the infants’ play. Furthermore, role play areas were expanded according to infants’ developmental status and interest, and play materials that facilitate role plays were placed at different areas of the class to increase role plays at various places. Also, everyday support was provided so that infants can enjoy role plays with adults and interact with peers during the role play. According to the initial implementation, the teacher’s roles in the infants’ role play became more diverse, and also his/her attitude more active as a result of the teacher’s emergent role play support. In addition, the role play environment within the class was enriched so that infants could enjoy role plays at various areas of the class. Infants were also encouraged to use concrete toys and abstract toys appropriately as needed in order to activate role plays. As a result of activities that facilitated social interaction, it was observed that interaction between infants became more frequent during role plays. Also, acts of playing together were also observ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infants continued to enjoy role plays outside the class, which led to the conclusion that a process supporting everyday role plays besides free play time is also needed. Appropriate support is also necessary to enhance the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infants during role plays to a more sophisticated level. During secondary implementation, teachers were instructed to observe infants’ plays more closely and intervene appropriately to provide emergent support for the infants’ role play in everyday life. Also, just as on the initial implementation, teachers mediated conflicts arising between peers during role plays in order to increas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enriched the contents of the play to increase the amount of time where infants socializ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implementation, teacher’s attitude when providing emergent support on everyday role play became more flexible. Further, infants tried everyday role play more often, and their attitude on sharing pretend play amongst each other became more mature. Using the strategy to enrich play contents, infants were provided with various role play subjects that may or may not be familiar to them so that they could combine diverse role play subjects and play continuously with peers. Infants could also learn to adapt to and solve conflicts among peers naturally through the teacher’s role, who mediated such conflicts. Second, infants’ reactions towards the activation of role play for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were: Increased voluntary participation in role plays, improved level of infants’ role plays a well as forming relationships where infants perceived their peers as playmates. Teachers’ reactions we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mergent role play support process, more flexible attitude when supporting infants’ plays, and recognizing plays that are closely connected to everyday lif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d the necessity for support on role plays in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role plays in detail. I hope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onsite teachers’ educationa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ole plays.;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찾아 이를 실행하고, 실행과정을 통해 영아와 교사의 변화 및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영아 학급을 위한 역할놀이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2세 영아 학급을 위한 역할놀이 활성화 방안에 따른 영아,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 연구소의 영유아교육기관인 풀잎연구소 내에 만 2세 학급 나리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나리반 학급 영아 12명과 연구자를 포함한 교사 2명과 부교사 1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8년 4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다.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활성화를 위하여 영아의 자유놀이 관찰 및 교육계획을 점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문헌 연구를 토대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는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지원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해결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최종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자유놀이시간에 영아 및 교사의 행동을 녹화하고 전사하고, 이와 함께 연구자가 현장노트식 약기를 하여 이를 부호화, 범주화하고 연구 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계획안, 사진자료, 동료교사 면담,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영아 학급인 나리반의 역할놀이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교사가 영아의 역할놀이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개선하고 영아의 역할놀이에 대한 흥미를 고려하여 물리적인 환경의 재정비가 필요하였다. 또한 역할놀이 중에 영아 간의 상호작용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영아가 또래와 놀이하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사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1차 실행을 실시하게 되었다. 1차 실행에서는 교사가 영아의 놀이에 맞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발현적인 역할놀이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역할놀이 주제 및 교사의 상호작용방식을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또한 영아의 발달과 흥미에 맞는 역할놀이영역을 확장하고, 교실 내 역할놀이가 곳곳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풍부하게 구성하였으며, 성인과 함께 역할놀이를 즐기되 역할놀이 중에 또래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일상적으로 지원하는 활동을 실행하였다. 1차 실행 결과 교사의 발현적 역할놀이 지원과정을 통해 교사가 영아의 역할놀이에서 수행하는 역할이 다양해지고 적극적인 태도가 성장하였다. 또한 교실 내에 역할놀이 환경을 풍부화하는 과정을 통해 영아가 교실 내 다양한 장소에서 역할놀이를 즐기는 것은 물론 구조적 놀잇감과 비구조적 놀잇감을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하게 하여 영아의 역할놀이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사회적 교류 증진 활동을 통해서 역할놀이 중에 영아 간 교류 빈도가 증가하고 짧은 시간 동안 함께 놀이기가 나타났다. 한 편, 영아가 교실을 벗어난 장소에서도 역할놀이를 즐기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발현적 놀이지원을 위해 자유놀이 시간 외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역할놀이도 지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역할놀이 중 증가한 영아 간 교류도 조금 더 높은 수준으로 나아가기 위해 적절한 지원이 요구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영아의 일상적 역할놀이를 관찰하고 적절한 교사의 개입을 통해 교실 내외의 역할놀이를 모두 지원하고자 하였다. 또한 1차 실행에 이어 역할놀이 중 영아 간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서 놀이 중 발생하는 또래 갈등을 중재하는 교사의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고, 영아가 역할놀이 중 어울리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놀이 내용을 풍부화하기 위한 전략을 실시하였다. 2차 실행의 결과 일상적인 영아의 역할놀이를 상황에 맞게 지원하는 교사의 태도에서 융통성이 증가하였고, 영아가 더욱 잦은 일상적 역할놀이를 시도할 뿐만 아니라 영아 간에 가작화 내용을 공유하고 일상적 역할놀이를 함께하는 태도가 성장하였다. 역할놀이 중 또래 교류 증진을 위한 활동으로 실시한 놀이 내용 풍부화 전략은 영아에게 익숙한 주제에서부터 그렇지 않은 주제까지 관심을 확장하면서 영아가 다양한 역할놀이 주제와 내용을 통합하여 놀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영아 간 갈등을 중재하는 교사의 역할을 통해 영아가 또래와의 갈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문제를 해결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활성화 방안에 따른 영아의 반응을 살펴보면 자발적인 역할놀이 참여 증가, 영아가 보여주는 역할놀이의 수준의 향상, 또래를 놀이상대자로 인식하고 놀이하는 관계 형성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반응은 발현적 역할놀이 지원과정의 중요성 재인식, 놀이 지원에서의 융통적 태도 증가,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놀이에 대한 재인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구체적인 역할놀이 지원 방안을 제시해주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가 역할놀이를 교육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자 배경 5 Ⅱ. 이론적 배경 6 A. 만 2세 영아의 역할놀이 6 B. 영아의 역할놀이를 위한 지원 8 Ⅲ. 연구방법 17 A. 실행연구 17 B. 연구대상 18 C. 연구절차 22 D. 자료 수집 및 분석 25 Ⅳ. 연구결과 27 A.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활성화 방안 27 B. 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활성화 방안 실행에 따른 반응 73 Ⅴ. 논의 및 결론 83 A. 논의 83 B. 결론 및 제언 89 참고문헌 92 부록1 96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18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2세 영아 학급의 역할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Activation of Role Play in classes for 2-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Chowon-
dc.format.pagev,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